• 제목/요약/키워드: Fiber content

검색결과 2,395건 처리시간 0.023초

비닐색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rap Color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Grass Silage)

  • 김종근;정의수;서성;김맹중;이종경;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3-138
    • /
    • 2006
  • 본 시험은 비닐색이 목초 라운드베일 사일라 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연구소에서 2년간 수행되었다.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 비닐의 색을 백색, 흑색, 녹색 등 3 처리를 두고 각각 3롤의 라운드베일 사일리지를 조제하였다. 비닐 색에 따른 일반성분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일리지의 pH에 있어서 백색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흑색과 녹색은 유의성이 없었다(p<0.05). 건물 함량은 녹색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초산과 낙산 함량은 비닐색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젖산 함량도 차이가 없었다. 사일리지의 품질 등급과 건물 손실율 역시 비닐색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조제시 비닐색은 사일리지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의류의 인식과 수용에 관한 질적 연구 : 56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The Qualitative Study for User Needs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Focused on Women Aged 56 and Over)

  • 백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55-65
    • /
    • 2009
  • 스마트 의류란 생활전반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이 접목된 기능성이 있는 의복이다. 소비자의 인식과 필요성을 알기 위하여 브레인스토밍, 개인면접, 포커스그룹미팅, 그리고 컨텐츠 분석을 실시하였다. 10명의 인터뷰 면접자와 포거크그룹 패널은 뉴욕 이타카에 거주하는 56세에서 64세의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스타일 및 연령에 따른 의생활 질문으로 자극을 한 후, 2개의 스마트 의류견본과 더불어 주제에 따른 토론과 분석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다양한 수준에서 비교를 위해 이타카 지역 밖에 거주하는 타켓 연령대에 근접하는 3명에 대한 개인 인터뷰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노년 여성들의 스마트 의류에 대한 필요성은 확연하게 나타났다. 즉, 노화에 따른 시력저하 및 체온조절을 위한 디바이스가 요구되었으며, 의생활에서는 체형변화를 감안한 피트성이 높은 미적 디자인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신중하게 구성되고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디자인으로 개발만 된다면 스마트 의류는 노년 여성의 자율성 증진을 이상적으로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미강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on Oxidative Stability of Corn Oil)

  • 연제영;이선미;양진우;곽지은;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13-1517
    • /
    • 2016
  • 옥수수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미강 추출물을 옥수수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 공액이중산가 그리고 비타민 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은 추출방법에 따라 USM(unsaponifiable matter of the rice bran), MEO(methanolic extract of the rice bran oil) 및 MEDR(methanolic extract of the defatted rice bran)로 분류한 3가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과산화물의 경우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저장 9일까지 BHT의 수준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추출물보다 과산화물 생성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공액이중산가의 경우 MEDR은 저장 12일까지는 BHT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다가 저장 15일부터 급격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경우 ${\alpha}$-토코페롤(T)과 ${\alpha}$-토코트리에놀(T3)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85%, MEO는 약 67%, MEDR은 약 59%가 감소했지만, ${\gamma}$-T와 ${\gamma}$-T3의 함량 변화는 저장 초기와 비교하여 USM은 약 25%, MEO은 약 29%, MEDR은 약 15%로 ${\alpha}$-T와 ${\alpha}$-T3보다 감소율이 현저히 낮았다. 결과적으로 미강 추출물은 MEDR> MEO> USM 순으로 산화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다산과 일품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미강 추출물 중 MEDR은 천연 항산화제로 그 이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다.

In vitro system에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using an in vitro System)

  • 김지혜;정창호;최귀남;곽지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2-716
    • /
    • 2009
  •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및 $H_2O_2$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및 FRAP방법을 이용하여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72-99% 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고, LDH release assay 결과 0.5 mg/mL 농도에서 47% 정도의 LDH 방출량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neutral red uptake assay 결과 모든 농도에서 vitmain C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의 뛰어난 보호효과는 알츠하이머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온도 및 $CO_2$ 농도 상승에 따른 무의 건물생산 및 일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Plant Biomas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Radish Exposed to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 서태철;장윤아;남춘우;오상석;엄영철;한점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27
    • /
    • 2012
  • 상승 온도와 상승 $CO_2$ 농도 처리가 무의 생장량, C/N율, 그리고 식품 일반 영양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기 온도보다 $2{\sim}2.5^{\circ}C$ 범위의 온도 상승은 무의 건물생산을 26~39% 범위의 감소를 가져오며, 대기 $CO_2$ 농도가 220~230ppm 상승함에 따라서 건물생산의 감소가 9~15% 범위로 어느 정도 줄어들지만, 온도 상승에 의한 감소 효과를 극복하지 못했다. 온도 상승은 무의 T/R율을 봄에는 86%, 가을에는 60% 증가시켰으며, C/N율을 낮추고, 조단백질, 조지방, 그리고 회분의 함량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상승 $CO_2$ 처리는 C/N율은 높이고 조단백질, 조섬유, 그리고 회분의 함량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앞으로 온도 상승과 $CO_2$ 농도 상승 정도에 따라 무의 건물생산, T/R율, C/N율, 그리고 일반 영양성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적정 급액농도 (Optimum Concentration of Supply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s of Sweet Pepper using Coir Substrates)

  • 김호철;차승훈;김철수;이혜진;이용범;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14
    • /
    • 2008
  • 코이어 배지(코코넛 분말:섬유=70%:30%, v/v)를 이용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에서 공급 배양액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자 EC 2.5, 3.0, 3.5 및 $4.0dS{\cdot}m^{-1}$의 농도를 공급하였다. 생육 기간 동안 배양액의 급액 농도에 따른 슬라브 내의 EC는 급액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배액의 pH는 안정적이었으며, EC는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EC $7.3dS{\cdot}m^{-1}$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도 높았다. 초장은 급액농도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광합성율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전반적으로 높았다. 과중은 급액 농도 EC $4.0dS{\cdot}m^{-1}$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과형은 급액 농도 EC $3.5dS{\cdot}m^{-1}$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웠다.

산삼 배양근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탐색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 박성진;유선미;김영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29-736
    • /
    • 2012
  • 산삼 배양근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산삼 배양근 70% 에탄올 추출물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산삼 배양근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당질 61.72%, 조단백질 17.36%, 조지방 0.23% 및 조회분10.90%이었고, 산삼 배양근 100 g의 함유 열량은 323.97 kcal로 분석되었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함량은 16.15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 지방산 0.26 g, 불포화지방산 0.62 g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 사포닌의 함량은 25.87 mg/g으로 분석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11.2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24.7~31.6%의 범위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1,000{\mu}g/m{\ell}$에서 0.06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삼 배양근 70%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바닥 선인장의 항산화활성 및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연구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actus Powder added)

  • 한임희;이경애;변광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43-451
    • /
    • 2007
  •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qual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s the functional foodstuffs, it's seeds, stems and fruits were analyzed. In addition, we performed quality evaluation on cookies manufactured with cactus powder added. The results showed the soluble nitrogen-free component levels in the cactus to be very high. The highest component levels were crude fiber(48.75%) and crude fat(7.38%) in the seeds, crude ash(15.39%) in the stems, and moisture(11.26%) and crude protein(8.79%) in the frui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actus were evaluated based on peroxide values(POV),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value),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using the DPPH method. The POVs for soybean oil containing a 0.05% concentrated water extract from each part of the cactus revealed a remarkable antioxidant effects on peroxidation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TBA values were 63.65% in BHT, 60.67% in the stems, 57.31% in the fruits and 49.16% in the seeds. The EDAs were 30.26% in the stems, 25.89% in the fruits, and 25.65% in the see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water soluble materials from the cactus were 3.14 g/100 g in the fruits, 2.93 g in the stems and 2.11 g in the seeds. For the cookies, as the amounts of fruit and stem powder increased, the spreadness was significantly lowered, but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lor degree of the cookies changed from dim to intense as more fruit powder was added, resulting from a decrease in the L- and b-values and a significantly increased a-value. With the addition of stem powder, the L- and a-valu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b-value was lowered compared to the control as more stem powder added. For texture changes of the fruit cook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gummi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brittleness. The stem cookies, however, showed only differences in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and not in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Finally, an overall sensory preference was found with the 1% fruit powder and 3% stem powder additions.

친환경 무농약 재배와 관행 재배 쌀의 특성비교 (Comparison of Rice Properties Between Rice Grown Under Conventional Farming and One Grown Under Eco-Friendly Farming Using Hairy Vetch)

  • 이승현;김민영;김한용;고상훈;신말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84-1690
    • /
    • 2010
  • 일반 멥쌀인 동진1호 품종으로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를 이용하여 친환경 무농약 재배와 관행 재배한 쌀로 현미와 백미로 도정하여 수분흡수력,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 및 밥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쌀알의 수분흡수력은 친환경 재배 쌀이 도정에 관계없이 모두 높았으며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친환경재배 쌀이 회분과 지방질은 관행재배 쌀이 더 높았고 현미가 백미보다 높았다. 총 전분함량, 물결합능력, 팽윤력은 백미가 현미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친환경재배 현미가 가장 높고 친환경 백미 관행재배 쌀순이었다. 쌀가루 호화액의 초기 호화온도는 현미보다는 백미, 관행재배보다는 친환경재배 쌀이 더 낮았고 피크 점도는 반대 경향을 보여 친환경재배 백미가 가장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밥의 관능평가 결과 관행재배와 친환경재배 모두 차이조사와 기호조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로부터 친환경재배 쌀의 가공적성이 더 좋은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며 밥을 지었을 때는 두 재배방법간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흰쥐에서 다시마 식이가 메트폴민의 체내동태 및 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Diet on the Pharmacokinetics of Metformin and Glucose Absorption in Rats)

  • 최한곤;장보현;이종달;김정애;유봉규;용철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3
  • Drug interactions with food, on occasion, lead to serious nutrition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body as well as alterations of pharmacological effect. It, therefore, should be necessary to take drug interactions with food into consideration for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s. Diabetes mellitus is a heterogeneous group of disorders characterzed by abnormal glucose homeostasis, resulting in hyperglycemia, an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icrovascular, macrovascular, and neuropathic complications.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of diabetes mellitus remains unclear. Three basic objectives in the care of diabetic patients are maintaining optimal nutrition, avoiding hypo- or hyperglycemia and preventing complications. Laminaria japonica is a brown macroalgae which can be used as a functional diet due to high content of diatery fi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minaria japonica diet on the pharmacokinetics of metformin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were employed in this study. Blood concentrations of oral hypoglycemic agent, metformin, were measured by HPLC and resultant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RSTRIP. The mechanisms of drug interaction with food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k_{a},\;t_{1/2},\;C_{max},\;t_{max}$, and AUC. Administration of metformin in normal and diabetic rats treated with Laminaria japonica die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AUC, $C_{max},\;and\;k_a$, and increase in $t_{max}$, compared to those with normal diet. This might result from adsortion of metformin on components of Laminaria japonica, causing delayed absorption. The oral glucose test showed that Laminaria japonica diet could lower blood glucose level probably through either inhibiting the activity of disaccharidases, intestinal digestive enzymes, or delaying the absorption of glucose. More studies should be followed to fully understand pharmacokinetic changes of metformin caused by long-term Laminaria japonica di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