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Sources and Level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41초

식이 섬유소가 어류단백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Fish Protein)

  • Ryu, Hong-Soo;Park, Nam-Eun;Lee, Ka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1992
  • 단백소화율에 미치는 식이 섬유소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채소류(상치, 깻잎, 고추. 다시마)로부터 추출한 식이 섬유소와 시판용 정제 식이 섬유소 (cellulose, pectin, sodium alginate, gum karaya)를 어류 단백질인 말쥐치 단백질(냉동건조육 및 myofibrils)에 첨가 반응시켜, 단백질 의 소화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시료의 중성세제 추출섬유소 (neutral detergent fiber) 함량은 24.21%(고추) 9.75%(다시마)의 범위였고, 산성세제 추출섬유소 (acid detergent fiber) 함량은 20.85%(고추) 11.97%(깻잎)의 범위였으며, 수용성 섬유소 함량은 13.79%(다시마) 4.41%(상치)의 범위였다. 말쥐치 단백질에 대한 식이 섬유소의 반응 비율을 1 : 1 (wt/wt)로 하고, 37$^{\circ}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때. 말쥐치 단백소화율은 정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1.52%(cellulose) 9.97%(pectin)가 감소되었고. 추출한 식이 섬유소 첨가의 경우, 5.15%(고추) 12.36%(다시마)가 감소되었다. 섬유소의 trypsin 활성저해능은 단백소화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여, ANRC casein에 대한 soybean trypsin inhibitor 22mg/g (cellulose) 61.82mg/g(gum karaya), 49.75mg/g(고추) 171.52mg/g(상치)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 식이 섬유소에 의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변화는 sodium alginate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 어류 단백소화율의 저하는 식이 섬유소가 단백질에 직접 결합하여 비소화성 물질을 형성한 결과가 주도하리라 생각되었다. 말쥐치 단백질과 섬유소를 반응시킨 것을 효소 가수분해시킨 후에 측정한 유리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sodium alginate와 다시마 섬유소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며(75% 이상), isoleucine과 valine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발효탄수화물 첨가 비육돈사료가 초지환원용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Carbohydrate Sources on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for Recycling of Pig Slurry to Grassland)

  • 조성백;황옥화;박규현;최동윤;양승봉;김두환;박성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7-262
    • /
    • 2013
  • 양돈 사료에 발효탄수화물을 첨가하여 돼지의 슬러리에서 악취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VFA 분석결과, 분뇨의 SCFA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구에서 각각 1,893, 1,591, 1,433 및 1,319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p<0.05), 아몬드피와 골든파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VFA의 구성을 살펴보면 SCFA 중에서 아세트산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BCFA 순으로 낮았다. BCFA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98, 92, 78 및 74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p<0.05),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VOC 분석결과, 분뇨의 페놀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97.3, 47.0, 54.3 및 33.3 ppm으로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그리고 p-크레졸 농도가 페놀류 농도의 93~96%를 차지하였다. 인돌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1.8, 1.3, 1.2 및 1.0 ppm으로 발효탄수화물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NH_4}^+$-N의 농도는 대조구, 땅콩껍질, 아몬드피 및 골든화이버 구에서 각각 1,395, 995, 995 및 836 ppm으로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골든화이버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가축의 장내 또는 슬러리에서 발효과정 동안 미생물이 성장을 위해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제한요소로 작용되면, 미생물은 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아미노산이 분해되어 악취물질이 증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골든화이버 구에서 VOC의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골든화이버의 높은 NDF 함량으로(Getachew et al., 2004) 단백질 발효보다 탄수화물 발효가 활발하게 일어나 악취물질의 농도가 낮았다고 판단된다.

양자점이 합체된 복합 박막을 이용한 정수의 최근 발전 (Recent Progress in Qantum Dots Containing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for Water Purification)

  • 박신영;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0권5호
    • /
    • pp.293-306
    • /
    • 2020
  • 물 부족을 포함한 기후 변화의 해로운 결과는 효과적인 정수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또한, 수질 오염 수준이 높아지고 환경 파괴 수준이 심해지면서 오염 물질을 제거하려는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물을 정화하기 위해 반투막을 통한 삼투압 절차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탄소 양자점(CQD), 그래핀 양자점(GQD) 및 산화 그래핀 양자점(GOQD)을 포함한 나노입자를 복합 박막(TFC)에 합체하면 유사한 수준의 염 거부율을 유지하면서 물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 외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친수성을 높이고, 살균 성질을 보이고, 방오 특성으로 인해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의 축적을 방지하면서 막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막는 것을 보여준다. 이 보고서는 양자점이 합체된 정수용 복합 막에서 양자점의 제조 과정, 응용, 기능성, 성질 및 역할을 논의한다.

한국인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이섬유 섭취 상태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by Age and Sex)

  • 이혜정;김영아;이혜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07-121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구축된 한국인의 상용 식품에 대한 식이섬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1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보고서에 나타난 1인 1일 평균 식품 섭취 자료를 토대로 한국인의 연령별, 성별 평균 식이섬유 추정 섭취량을 산출하고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군 및 10대 단일 식품급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연령별 식이섬유의 추정 섭취량 평균치는 1세에서 49세까지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나 50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 기준 식이섬유의 추정 섭취량은 1세에서 64세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12 g/1,000 kcal)의 충족률은 평균적으로 49세까지는 미달되었으며 50세 이후는 충족되었고 미달의 정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류, 곡류, 과실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연령에 관계없이 식이섬유의 3대 주요 급원식품군이며 이 세 식품군으로부터 섬유 섭취량의 약 75%를 얻고 있었다.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에 기여하는 10대 주요 단일식품들의 식이섬유 총 섭취량에 대한 기여비율은 유아기와 노년기에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시기의 식품 섭취의 다양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쌀은 우리나라 유아들과 아동들의 제1의 섬유급원 식품이었고 배추김치와 쌀은 청소년기 이후 노년기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변함없이 가장 중요한 섬유섭취의 급원임이 확인되었다. 연령대별로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의 종류와 순위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연령에 따라 식품 기호도가 상이함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남녀 성별 평균 식이섬유 추정 섭취량은 남성(22.26 g/day 혹은 10.12 g/ 1,000 kcal)이 여성(19.63 g/day 혹은 11.07 g/1,000 kcal)에 비해 절대 섭취량은 높았으나 에너지기준 섭취량은 낮았다. 남녀 모두 식이섬유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식품군은 차이가 없었으며 식이섬유의 단일 급원식품은 남녀 모두 배추김치와 쌀이 1, 2위였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과실류 식품들이 섬유급원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여 남녀별 식품 기호도의 차이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기준을 설정하는데 보다 현실적인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한국 섬유패션 기업과 재벌 발전 역사 고찰 - 기업생명주기이론에 근거하여 - (Review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and Chaebols - Based on Corporate Life Cycle Theory -)

  • 유혜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8-610
    • /
    • 2021
  • Korean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have played a major role not only in developing the Korean economy since Korea's industrialization started in the early 1960s but also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form and expand chaebols (conglomerates of family-owned businesse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ebols, which started the fiber/textile/fashion business before the 1960s and maintained their chaebol status until 2010. The Samsung, Samyang, Kolon, Taekwang, Hyosung, LG, and SK group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including the publications and websites of the chaebol companies, newspapers, magazines, and research articles. The strategies of the companies at the corporate and group levels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rporate lifecycle, which consists of existence, growth, maturity, rebirth, and decline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analyzed companies actively engaged in product line expansion during the growth stage. Vertical integration, especially backward integration, was common during the growth stage. Some groups established new companies to manage additional product lines and integration, while others pursued growth strategies mainly at the corporate level. The rebirth stage occurred in only a few companies and groups. Some seemed to be going through the decline stage, and the rest of the groups exited the textile and fashion business.

대구 지역 성인 여성의 대두식품 기호도와 이소플라본 섭취량 (Preference for Soybean-based Foods and Isoflavone Intake in Female Adults Living in Daegu)

  • 최미자;정윤정;이나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9-42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preferences toward soybean-based foods and levels of dietary isoflavone intake in female adults living in Daegu. In order to determine the subjects' attitudes toward soybean-based foods their degree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along with intake frequency were examined. To estimate their isoflavone intake levels,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were us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47.3 years, 159.6 cm, 56.4 kg, and 22.1 kg/$cm^2$, respectively. And their mean energy, protein, dietary fiber, calcium, and sodium intakes were 1,871.9 kcal, 81.1g, 23.2 g, 604.7 mg, and 5.07 g, respectively. The average amount of isoflavones consumed from soy foods was 29.49 mg/day(daidzein 13.14 mg/day and genistein 16.35 mg/day) as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average amount was 22.97 mg/day (daidzein 10.10 mg/day and genistein 12.87 mg/day), showing that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ssessment amount was 6.52 mg higher than that by 24-hour recall method. The major food sources of the isoflavones were soybean paste and soybeans. For the subjects' degrees of recognition of soybean food, soybean paste receiv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item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oybean-based foods were soybean paste stew and soybean paste soup. Furthermore isoflavo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menopausal women than in the premenopausal women. Overall, these data help elucidate th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soy food consumption and also provide an assessment of dietary soy isoflavone intake in Korean women.

  • PDF

Different Sources and Levels of Copper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of Castrated Black Bengal (Capra hircus) Kids Diet

  • Mondal, M.K.;Biswas,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67-1075
    • /
    • 2007
  • Twenty eight 3-4 month old castrated Black Bengal kids (Capra hircu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urce and level of dietary copper (Cu) concentration on their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Cu was supplemented (0, 10, 20 and 30 mg/kg diet DM) as copper sulfate ($CuSO_4$, $5H_2O$) or copper proteinate (Cu-P).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taining maize (19.5%), soybean (17.0%), deoiled rice bran (56.5%), molasses (4.0%), di-calcium phosphate and salt (1.0% each) and mineral and vitamin mixture (0.5% each) supplements at 3.5% of body weight to meet NRC (1981) requirements for protein, energy, macro minerals and micro minerals, excluding Cu. The basal diet contained 5.7 mg Cu/kg, 122.5 mg Fe/kg, 110 mg Zn/kg, 0.26 mg Mo/kg and 0.32% S. $CuSO_4$ or Cu-P was added to the basal diet at the rate of 10, 20 and 30 mg/kg. Kids were housed in a well ventilated shed with facilities for individual feeding in aluminum plated metabolic cag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n d 0, 30, 60 and 90 to determine hemoglobin (Hb), packed cell volume (PCV), total erythrocyte count (TEC), total leukocyte count (TLC) and serum enzymes (alkaline phosphatase, alanine transferase and aspertate transferase). A metabolism trial of 6 days duration was conducted after 90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source and level of Cu supplementation improved live weight gain (p<0.04) and average daily gain (p<0.01). No significant contribution of source and level of Cu to alter serum serum enzymes was evident. Goats fed Cu-P tended to have higher Hb, PCV and TEC than with $CuSO_4$ supplementation. Cu-P increased digestibility of ether extract (EE, p<0.02) and crude fiber (p<0.05) and showed an increasing trend (p<0.09) for digested crude protein (CP) and crude fiber (CF). Supplemental dose of Cu linearly improved (p<0.02)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E and nitrogen free extract (NFE). Though the absorption of nitrogen (N) was not affected (p>0.10) by both source and dose of Cu, N retention was affected (p<0.04)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ource{\times}Dose$ interaction (p<0.05). Final body weight (BW) was not influenced (p>0.10) by the source of Cu but increasing dose of Cu increased (p<0.04) the BW of kids. TDN intake (g/kg $W^{0.75}$) was higher (p<0.05) with the increased dose of Cu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ource{\times}Dose$ interaction. It wa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Cu from different sources and varying dose level in a concentrate based diet may improve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and plane of nutrition in castrated Black Bengal kids. The effects on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are more pronounced with Cu-P than $CuSO_4$ supplementation. Higher dose of Cu showed better result than lower dose.

지방급원 형태와 수준에 따른 연속배양장치 내 반추위 발효성상, 지방산의 수소첨가 현상 및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Type of Oilseed and Level of Concentrate on Fermentation, Biohydrogenation of Fatty Acids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Production in a Rumen-Simulated Continuous Culture System)

  • 최낙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617-626
    • /
    • 2003
  • 본 연구는 사료 내 농후사료의 비율을 높임으로서 불포화 지방산의 반추위 내 by-pass율의 향상 가능성을 조사하고, 아마종실과 전지대두 급여 시 CLA 생산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연속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지방 급원에 따른 발효 성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사료 내 농후사료 비율이 높은 (80%) 처리구는 농후사료 비율이 낮은 (40%) 처리구와 비교하여 pH는 감소하였으나, 암모니아, 총 휘발성 지방산, acetate, butyrate 및 valerate 농도가 증가되었다. 지방급원 (전지대두 vs 아마종실)과 사료 내 농후사료 비율은 organic matter (OM), total nitrogen, neutral detergent fiber (NDF) 및 acid detergent fiber (ADF)의 소화율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반면에 전지대두는 아마종실과 비교하여 trans C18:1, C18:2 n-6 및 C18:3 n-3 유출율은 증가시켰다. 지방 급원에 의한 CLA flow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사료 내 농후사료 비율이 높을 때와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의 함량이 높았을 때는 증가되었다. 수소 첨가현상은 C18:1 n-9 와 C18:2 n-6에서 지방 급원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아마종실 처리구에서는 C18:3 n-3 과 총 C18 불포화지방산의 수소 첨가현상이 전지대두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은 비율로 발생했다. 한편 사료 내 농후사료 비율이 높을 때 처리구에서 C18:2 n-6, C18:3 n-3 및 총 C18 불포화 지방산의 수소 첨가현상은 농후사료 저 처리구와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충북지역 중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 및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and Development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 김영혜;강유주;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44-252
    • /
    • 2010
  • 본 연구는 충북 도내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24시간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식이섬유 주요급원식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이용하여 조사방법 간의 식이섬유 섭취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식이섬유섭취수준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필요추정량과 비교할 때 남학생은 75.4%, 여학생은 93.8%였다. 단백질은 평균필요량의 남녀 각각 85.8% 및 102.6%의 섭취수준을 보이며 남학생의 경우 다소 부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이 남녀학생 모두 낮은 섭취량을 보인 영양소는 칼슘, 철분 및 엽산 순이다. 전반적으로 남녀학생 모두 영양소의 섭취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회상법에 의한 남학생의 1일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은 $17.6\pm5.3$ g(54.8%), 여학생은 $16.5\pm4.8$ g(68.8%)으로 나타났으며 남녀학생 모두 충분섭취량에 매우 부족한 상태로 남녀학생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 중 두 방법 간의 공통적인 섭취순위를 보인 식품은 1위 백미, 2위 배추김치이며 채소류와 곡류로부터 총 식이섬유의 68.44%의 섭취를 보였고 주요급원식품군별로 분류하면 채소류, 곡류와 그 제품, 과일류, 두류, 해조류 순이었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71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상관성(p<0.05)을 보였다. 백미가 0.82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19종의 식품품목이 상관관계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식이섬유 섭취량의 Pearson 상관계수가 낮고 유의성이 없는 식품을 제외한 후 섭취량을 보정한 결과 상관성이 0.78로 높게 나타났고 유의적인 상관성(p<0.01)을 보였다. 두 방법에 의해 산출된 섭취수준에 따라 각각 4등급으로 분류하였을 때 보정 후 낮은 등급이 일치할 확률이 90.2%에서 92.4%로 높아졌고 평균 식이섬유의 Kappa값은 0.54에서 0.59로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비교적 높은 타당성을 보였으므로 조사지의 수정보완을 통해 청소년의 식이섬유섭취상태 파악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섭취량 보정을 통해 선정된 식품품목 19종을 기초로 하여 학생들의 학교급식메뉴와 기호도를 조사하고 급식과 연계하여 식품품목을 증가시키기 위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식품섭취조사지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한국 거주 중국 대학생 대상 영양교육 효과 - 개인 맞춤형 하루 필요 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

  • 곽가려;김순경;김정원;김미현;김세나;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65-57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intak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were 64 Chin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educated group, 32 students vs. non-educated group, 32 students). Educated group was lessoned as group and/or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four lessons (40min/lesson), '6 major nutrients & function (group lesson)', '6 food group and sources (group lesson)', 'personalized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individual lesson)', and 'smart choice of snacks and eating-out foods (group less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educated group and non-educated group i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ents intake. After education, there were positive improvements on nutrition knowledge: 'function and foods of 6 nutrients', on dietary attitudes: 'type of breakfast' in educated group. In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 there were positive improvements on intake levels of riboflavin, fiber, vitamin B6, vitamin C, folate, Ca and K in the educated group. In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INQ), nutrition adequacy ratio (NAR) and mean nutrition adequacy ratio (MA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ducated group.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intak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rough the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