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단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의 압축성형에 있어서 섬유배향에 관한 연구 (The Planar Orientation of Fibers During Compression Molding of Short-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 김혁;전상기;이동기;한길영;김이곤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4-43
    • /
    • 1996
  • In this study basic equations of fiber orientations is ci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fiber orientations of short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 under compression molding are governed by slope of flow speed in x-y direction. Fiber orientation angle of mold is also found to increase with closure speed and the compression ratio. At the middle of the mold, the slope of flow speed is larger in x-direction than in y-direction. At the wall of the mold, the shope of flow speed in y-direction occurs due to the effect of friction, hence affects the fiber orientation. The effect of partial flow, which incurs y-direction orientation causes to increase the fiber orientation angle at the fore part of the flow.

  • PDF

모르타르 보의 복합재료 보강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ortar Beam Stengthened by Composite Material)

  • 차승환;정일섭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8
    • /
    • 2000
  • Excellent environmental durability and handy installation procedure as well as high specific strength and stiffness have introduced fiber-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 materials into the civi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field. This study presents the considerably enhance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mortal beams by being reinforced with epoxy-bonded carbon fiber sheets(CFS). Three point bending and Charpy impact tests were performed on both of bare and reinforced mortar specimens. The influences of length, and the number of reinforcing plies were investigated. Strength reduction due to pre-existent notch was lessened dramatically. The acoustic emission(AE) measurement revealed the progressive damage process in reinforced specimens.

  • PDF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압축성형에 관한 연구 -제I보 : 니들펀칭횟수에 따른 물성치 및 컵형 압축성형성- (A Study on the Compression Moldablity for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Part 1 : The Mechanical Propertis and the Cup-type Compression Moldability for Numbers of Needling―)

  • 오영준;김형철;김이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31-39
    • /
    • 1999
  • 최근에 플라스틱 복합재료는 고강도, 초경량이라는 재료의 우수한 성질과 높은 생산성으로 인해서 그 활용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그 중 섬유강호 플라스틱 복합재료는 가장 각광받는 재료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열간 압축성형법을 이용하여 성형조건을 변화시켜 성형한 후 성형품의 성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압축 성형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유동 속도차에 의한 섬유와 모재간의 분리현상이다. 이 분리현상으로 인해 성형품은 불균질해지고 이방성이 되어 기계적 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섬유구조 및 기하하적 형상 등 성형조건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니들펀칭 횟수 NP=0 punches/$\textrm{cm}^2$인 경우 성형시 모재와 강화재간의 분리현상이 증가하여 성형품의 성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펀치의 반경 rp=1mm일 경우 압축성형에 의한 큰 형상변화에 의하여 역시 분리현상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형공정 인자들이 제품의 성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니들펀칭 횟수를 변화시켜 복합판을 제작한 후, 펀치의 반경을 변화시켜 고온 압축성형 하였을 때 일어나는 불균질도와 성형품의 두께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이에 미치는 금형 코너부의 반경 및 니들펀칭 횟수의 영향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를 보고한다.

  • PDF

고온다습 조건($82.2^{\circ}C$)에서 2열 볼트 체결 복합재 조인트의 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of Two Serial Bolt-Fastened Composite Joints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Humid Condition)

  • 김효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30-36
    • /
    • 2009
  • 복합재 부품의 전형적인 조인트 형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2열 볼트 체결 탄소섬유강화 복합재의 파손강도와 파손 모드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상온과 고온다습 조건에서 적층과 형상을 변수로 실험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하중-변위 선도는 두 가지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각 파손 모드는 하중-변위 선도로 특징지어진다. 고온다습 조건의 파손형태는 베어링 파손 모드이며, 베어링 파손 모드에서 파손 강도는 유효강성의 영향이 크지 않다고 분석된다. 고온다습 조건의 파손강도 감소는 침투한 수분에 의해 섬유와 모재의 층간 결합부의 물성 저하에 기인한다.

인장 및 전단점성비를 고려한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의 압축성형에 있어서 3차원 유한요소해석 (3-D Flow Analysis for Compression Molding of Fiber-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with Ratio of Extensional & Shear Viscosity)

  • 조선형;윤두현;김형철;김이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1999
  •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 복합재의 성형과정 중에는 유동특성에 미치는 금형내 충전패턴의 제어나 섬유배향 및 섬유함유율과 같은 성형공정 인자들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등온상태에서 두께가 얇거나 두꺼운 성형품을 압축성형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유동선단과 압력분포, 속도구배 등을 예측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복합재는 비압축성 뉴턴유체로 하였으며, 성형공정 변수들에 미치는 미끄럼 지배상수 $\alpha$와 점성비 $\zeta$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한 내용을 보고한다.

  • PDF

탄소나노튜브로 보강된 탄소섬유복합재의 제조 공정과 모드 1 파괴인성 (Processing and Mode 1 Fracture Toughness of Carbon Fiber Composites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 김한상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5호
    • /
    • pp.39-43
    • /
    • 2011
  • 탄소나노튜브로 보강된 고분자 수지에 대한 연구는 지난 20년간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탄소섬유복합재의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도 최근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탄소섬유복합재는 탄소섬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섬유 방향의 기계적 물성은 상당히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했으나, 수지에 의해 좌우되는 기계적 물성은 아직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 특히, 층간의 분리 (delamination)는 탄소섬유복합재의 가장 전형적이며 치명적인 파손의 원인중 하나이다. 이 층간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알아보는 모드 1 파괴인성 실험 (혹은 double cantilever beam, DCB test)을 다양한 작용기로 기능화된 SWNT가 첨가된 탄소섬유복합재 시편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부직포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층을 이용한 시편의 경우 10.6%의 파괴인성 증대를 보였다.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FRP 복합재료의 비파괴결함평가 (Nondestructive Evaluation in the Defects of FRP Composites By Using Terahertz Waves)

  • 임광희;김지훈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2-258
    • /
    • 2012
  • A study of terahertz waves was made for the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composite materials. The terahertz systems were consisted of time domain spectroscopy (TDS) and continuous wave (CW). The composite materials investigated include both non-conducting polymeric composites and conducting carbon fiber composites. Terahertz signals in the TDS mode resembles that of ultrasound; however, unlike ultrasound, a terahertz pulse was not able to detect a material with conductivity. The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laminates were utilized for confirming the experimentation in the terahertz NDE. In carbon composites the penetration of terahertz waves is quite limited and the detection of flaws is strongly affected by the angle between the electric field direction of the terahertz waves and the intervening fiber directions. A refractive index (n) was defined as one of mechanical properties; so a method was obtained in order solve the "n" in the material with non-conductivity.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erahertz radiation are investigated for the NDE of FRP composites.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 적층판의 유전성질 예측을 위한 적층판 법칙 (Laminating Rule for Predic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E-glass/Epoxy Laminate Composite)

  • 진우석;이대길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1-145
    • /
    • 2005
  • Since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polymeric laminate composite can be tailored effectively by adjusting its composition and regulating the stacking sequence, it is plausible material for fabricating the radar absorbing structures (RAS) of desired performance. In order to design the effective electromagnetic wave (EM) absorber with the fiber reinforced polymeric laminate composite, its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should be available and could be regulated easily in the target frequency bands. In this study,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E-glass/epoxy laminate composites were measured by the free space method in the X-band frequency range ($8.2\;{\sim}\;12.4\;GHz$). In order to describe the dielectric behavior of laminate composites of arbitrary stacking sequences,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the laminating equations for estimating dielectric properties were proposed, and experimentally verified. From the comparison of the predicted and measured data, the proposed method predicted well the experimentally measured data.

  • PDF

연속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압축성형성에 관한 연구 -제II보 : 압축성형성에 미치는 상관계수의 영향- (A Study on the Compression Moldability for Continuous Fiber-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Part II : Effect of Correlation Coefficient on Compression Moldability-)

  • 오영준;김이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0
  •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압축성형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유동 속도차에 의한 섬유와 모재의 분리 및 섬유 배향이다. 섬유의 분리.배향에 의해 성형품은 불균질해지고 이방성이 되어 기계적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분리.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섬유구조 및 성형조건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니들펀칭횟수를 증가시켜 섬유구조를 변화시키면 모재와 강화재간의 함침성은 양호해지고, 압축성형후 섬유의 배향은 잘 이루어진다. 즉, 제품의 성형성은 좋아진다. 그러나 파단, 두께감소 등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공정에서 제품의 용도, 생산비 등을 고려하여 제품의 성형성을 명확히 함은 중요하다. 또한, 제품의 성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마련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형품에 미치는 섬유구조(NP=0, 5, 10, 25, 50 punches/$cm^2$) 및 성형조건($r_p$ = 1, 25, 50 mm)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나아가 제품의 성형성에 대한 정의 및 척도를 마련하였다. 일차원 평판 성형품에 대해 섬유함유율을 통해 불균질도를 구하고, 화상처리를 통해 섬유배향을 구한 후 이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를 얻었다. 또한 컵형 압축 성형시 복잡한 음력상태에 의해 플랜지부에서 발생하는 주름현상을 불균질도 및 면적비를 통해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제품의 성형성을 상관계수 및 면적비를 통하여 나타내었다.

  • PDF

Property improvement of natural fiber-reinforced green composites by water treatment

  • Cho, Dong-Hwan;Seo, Jeong-Min;Lee, Hyun-Seok;Cho, Chae-Wook;Han, Seong-Ok;Park, Won-Ho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6권4호
    • /
    • pp.299-314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natural fibers (jute, kenaf and henequen)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lactic acid) and polypropylene) and thermosetting (unsaturated polyester) matrix composites were well fabricated by a compression molding technique using all chopped natural fibers of about 10 mm long, respectively. Prior to green composite fabrication, natural fiber bundles were surface-treated with tap water by static soaking and dynamic ultrasonication methods, respectively.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flexural properties,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each green composite system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single fiber microbonding test, 3-point flexural test, and dynamic mechanical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ic resi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incorporating the natural fibers into the resin matrix and also the properties of untreated green composites were further improved by the water treatment done to the natural fibers used. Also, the property improvement of natural fiber-reinforced green composites strongly depended on the treatment method. The interfacial and mechanical results agreed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