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er Product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26초

커피박과 목섬유를 이용한 중밀도섬유판의 제조 및 성능 평가 (Manufacture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edium-density Fiberboard Made with Coffee Bean Residue-Wood Fiber)

  • 양인;이광형;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93-3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분 흡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커피박을 첨가하여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한 다음 물성과 강도특성을 조사하여 커피박의 중밀도섬유판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커피박은 주로 인스턴트커피 제조 시 많이 발생하는 찌꺼기인데 가수분해된 것을 전건무게 기준 3, 6, 9% 수준에서 목섬유와 혼합해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접착제는 요소수지접착제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섞은 중밀도섬유판에 대해 물성과 강도 특성 및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측정하였다. 커피박과 목섬유를 무작위로 섞어 제조한 중밀도섬유판의 휨강도와 박리강도는 모두 KS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박을 층으로 구성한 적층 성형구조 경우에는 모두 기준에 미달하였다. 제조된 중밀도섬유판의 흡수 두께팽창률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보다 낮아 물리적 특성 면에서 현저히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시판용 중밀도섬유판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KS 기준상의 $E_1$급에 부합하였다. 이런 결과는 커피박이 친환경 중밀도섬유판 제조 시 원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밀도섬유판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접착제와 커피박 간의 상호 접착성 및 커피박의 흡착성능 향상을 위한 전환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탄소섬유 면상발열체의 발열 상태 분석을 위한 영상처리 기술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Analyzing the Heating State of Carbon Fiber Surface Heating Element)

  • 조준호;황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83-68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를 이용한 면상발열체의 발열 상태를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분석을 제안하였다. 면상발열체의 제작 방법은 탄소섬유를 작게 잘라 촙 상태로 만든 다음 분산제를 통하여 다시 결합시켜 준다. 그 다음 부직포 위에 분산제를 통해 결합된 탄소섬유 용액을 필터링 한다. 마지막 단계는 필터링된 탄소섬유를 건조 하면 부직포 형태의 면상 탄소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면상발열체는 이렇게 제작된 면상 탄소 섬유에 전기를 인가하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면상발열체를 4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 중 면상 발열체의 발열특성 분석과 면상발열체의 발열속도 분석은 제작된 면상발열체가 정상군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절연 코팅 및 면상 발열체 모듈 분석은 실제 제품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면상발열체에 대해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 분석이다. 면상발열체의 열화상 이미지 분석은 2차원 및 3차원으로 발열 상태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발열의 상위온도 15~20%와 하위온도 15~20%를 이미지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기법이다. 마지막 분석은 제작된 면상발열체의 상태를 화면에 직접 보여줌으로써 제작 과정 중 잘못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상발열체의 이미지 분석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결합하여 발열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d Wastewater Resulting from Food Waste Disposal using a Submerged Polyethylene Hollow Fiber Membrane)

  •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두부비지의 버섯 폐배지 대체 수준이 발효사료의 영양소 함량, 미생물 성상 및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with Tofu By-produc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 주영호;정희한;김동현;이혁준;이성신;김상범;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1-659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MBP) with Tofu By-Product (TBP)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FDs).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using MBP, TBP, rice bran, molasses, and inoculants. The MBP in the basal diet was replaced with TBP at 0, 5, and 10% on Dry Matter (DM) basis for the experimental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rmented at $39^{\circ}C$ for 144 h. Chemical composition, pH,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the FDs were analyz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crude protein content of FDs increased (L, P < 0.001), whereas crude ash content decreased (L, P = 0.002).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subtilis contents in the TBP-replaced F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 < 0.05), whereas pH level and mold count were lower (P < 0.05).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vitro rumen digestibility of DM (L, P = 0.053) and neutral detergent fiber (L, P = 0.024) increased, wheres rumen pH changed (P = 0.026) quadratically.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L, P = 0.001) and iso-butyrate contents (Q, P = 0.003) increas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placement of MBP with TBP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FD.

밤 가공 부산물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in vitro 반추위 배양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 of chestnut hull for ruminant animals us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 정신용;조현선;박기수;강길남;조남철;서성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35-340
    • /
    • 2012
  • 밤의 가공과정에서 임업 부산물로 생산되는 율피(밤껍질)는 밤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사료비 저감을 위한 반추동물의 사료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밤의 가공 부산물인 1, 2차 율피의 반추동물용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와 반추위 발효 특성을 분석하기 하기 위해 1, 2차 율피의 영양소를 분석하고, 48시간 동안 in vitro 반추위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율피의 첨가 수준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 및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의 기본 사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산양 TMR을 이용했으며, 기본 사료와 1차 율피 및 2차 율피의 비율을 달리하여 13개의 처리구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2차 율피 100%, 1차 율피 100%, 2차 율피와 1차 율피의 1:1 혼합구, TMR 100% 및 TMR을 2차 율피, 1차 율피 또는 1, 2차 율피 혼합으로 각각 5%, 10%, 15% 대체한 처리구이다. 율피의 일반 성분분석에서 1차 율피는 2차 율피에 비해 섬유소(NDF, ADF, 리그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비섬유소탄수 화물의 함량은 낮으나, 그 외의 영양소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71.97%)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42.80%)가 가장 낮았다. 2차 율피의 첨가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건물소화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1차 율피의 첨가에 따라서는 소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 발생량은 2차 율피 처리구에서 48시간 가스 발생량 및 발생 속도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TMR을 율피로 15%까지 대체하였을 때 가스 발생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H 또한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6.33)에서 가장 낮았고, 1차 율피(6.5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2차 율피는 반추동물의 사료 자원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며, 1차 율피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료가치가 떨어지나 조사료를 일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율피의 사료 가치를 보다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 소화, 성장 및 기호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 situ Nutrient Degradability of a By-product Feed-based Silage

  • Kim, Y.I.;Oh, Y.K.;Park, K.K.;Kwak, W.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201-20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a by-product feed (BF)-based silage. Before ensilation, the BF-based mixture was composed of 50% spent mushroom substrate, 21% recycled poultry bedding, 15% ryegrass straw, 10.8% rice bran, 2% molasses, 0.6% bentonite, and 0.6% microbial inoculant on a wet basis and ensiled for up to 4 weeks. The BF-based silage contained on average 39.3% moisture, 13.4% crude protein (CP), and 52.2% neutral detergent fiber (NDF), 49%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37.8% physically effective $NDF_{1.18}$ on a dry matter (DM) basis. Ensiling the BF-based silage for up to 4 weeks affected (p<0.01) the chemical composition to a small extent, increased (p<0.05) the lactic acid and $NH_3$-N content, and decreased (p<0.05) both the total bacterial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from $10^9$ to $10^8$ cfu/g when compared to that before ensiling. These parameters indicated that the silage was fermented and stored well during the 4-week ensiling period. Compared with rice or ryegrass straws, the BF-based silage had a higher (p<0.05) water-soluble and filterable fraction, a lower insoluble degradable DM and CP fraction (p<0.05), a lower digestible NDF (p<0.05) fraction, a higher (p<0.05) DM and CP disappearance and degradability rate, and a lower (p<0.05) NDF disappearance and degradability rat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eap, good-quality BF-based roughage could be produced by ensiling SMS, RPB, rice bran, and a minimal amount of straw.

발효된 음식폐기물의 사료화 잠재력에 관한 연구 (Potentials of the Fermented Food Wastes as the Animal Feed)

  • 김남천;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13-20
    • /
    • 1995
  • 음식쓰레기를 고속발효시켜 동물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인하대학교 병원과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환자급식용으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를 일정량 채취하여 140L들이의 고속발효기에서 발효시켰다. 첨가제로서는 수분조절 및 영양분의 균형을 위하여 건조한 비지와 톱밥을 습중량으로 약 40~50% 섞었고 종균제를 내용물 총량의 1/300 정도 넣었으며 $46{\sim}52^{\circ}C$의 발효온도에서 40~48시간 발효시켰다. 건조비지를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단백질과 조회분, 칼슘, 인의 함량이 시판되는 돼지사료보다 약간 떨어졌으며, 톱밥을 수분조절제로 사용한 경우는 조섬유의 함량만 크게 높았고, 기타 다른 성분은 크게 낮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때 건조비지를 첨가제로 사용했을 때만이 보조사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고 하겠다.

  • PDF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ound Absorption Properties of Sandwich Particleboard (SPb)

  • ISWANTO, Apri Heri;HAKIM, Arif Rahman;AZHAR, Irawati;WIRJOSENTONO, Basuki;PRABUNINGRUM, Dita S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32-40
    • /
    • 2020
  • While the utilization of wood as a raw material in related industries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population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wood from natural forests has continued to decline. An alternative to this situation is the manufacture of particleboard from non-wood lignocellulose material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sandwich particleboard (SPb) using bamboo strands as reinforcement. In this study, strandsof belangke bamboo (Gigantochloa pruriens W) and tali bamboo (Gigantochloa apus) were utilized. The non-wood particles included sugar palm fibers, cornstalk, and sugarcane bagasse. The board was made in a three-layer composition of the face, back, and core in a ratio of 1: 2: 1. The binder used was 8% isocyanate resin. The sheet was pressed at a temperature of 160℃ for 5 min under a pressure of 3.0 N/㎟. Testing included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the JIS A 5908 (2003) standard, while acoustic testing was based on ISO 11654 (1997) standards.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bamboo strands as reinforcement has an effect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Pb. Almost all the types of boards met the JIS A 5908 (2003) standards, with the exception of thickness swelling (TS) and internal bond (IB) parameters. Based on the thickness swelling parameter, the C-type board exhibited the best properties. Overall, the B-type board thatused a belangke bamboo strand for the surface and sugarcane bagasse as the core underwent the best treatment. Based on the acoustical parameter, boards using a tali bamboo strand for the surface and sugar palm fiber as the core (E-type board) exhibited good sound absorption properties.

A Growth and Yield Model for Predicting Both Forest Stumpage and Mill Side Manufactured Product Yields and Economics

  • Schultz Emily B.;Matney Thomas G.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305-309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nd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a growth and yield model that supports both forest and mill side volume and value estimates. Traditional forest stand growth and yield models represent the forest landowner view of yield and economics. Predicted yields are estimates of what one would expect from a procurement cruise, and current stumpage prices are applied to investigate optimum management strategies. Optimum management regimes and rotation ages obtained from the forest side view are unlikely to be economically optimal when viewed from the mill side. The actual distribution of recoverable manufactured product and its value are highly dependent on mill technologies and configurations. Overcoming this limitation of growth and yield computer models necessitates the ability to predict and price the expected manufactured distribution of lumber, lineal meters of veneer, and tonnes of air dried pulp fiber yield. With these embedded models, users of the yield simulator can evaluate the economics of possible/feasible management regimes from both the forest and mill business sides. The simulator is a forest side model that has been modified to produce estimates of manufactured product yields by embedding models for 1) pulpwood chip size class distribution and pulp yield for any kappa number (Schultz and Matney, 2002), 2) a lumber yield and pricing model based on the Best Opening Face model developed by the USDA Forest Service Forest Products Laboratory (Lewis, 1985a and Lewis, 1985b), and 3) a lineal meter veneer model derived from peeler block tests. While the model is strictly applicable to planted loblolly pine (Pinus taeda L.) on cutover site-prepared land in the United States (US) Gulf South, the model and computer program are adaptable to any region and forest type.

  • PDF

Polyamide-66/Glass fiber 블렌드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 및 안경테 소재로써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bility of Material of Polyamide-66/Glass Fiber Blends Composition to the Eyewear Frame)

  • 손진영;이지은;최경만;배유환;김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5-371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출형 안경테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12 수지인 TR-90을 대체하기 위하여 폴리아미드-66에 유리섬유(glass fiber)를 함량별로 블렌드하여 각 조성물의 물리적, 열적 특성을 평가하여 안경테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방법: 유리섬유의 함량 변화에 따른 폴리아미드-66 조성물의 특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함량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의 기계적강도, 열적 특성, 코팅성 및 절삭가공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TR 안경테 제품과의 성능 비교 및 안경테로써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폴리아미드-66/유리섬유 조성물의 특성 평가 결과, 유리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성형수축율이 감소하며,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0 wt%인 경우 인장강도는 $498kg/cm^2$에서 30 wt%가 함유된 경우 $849kg/cm^2$까지 증가하였다. 코팅성 평가 결과 유리섬유 5 wt%에서는 코팅강도가 4 B였고, 그 이상에서는 5 B로 매우 우수한 코팅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30 wt%의 유리섬유가 블렌드된 경우 기계적 강도가 크게 향상되나 이와 더불어 경도가 상승되며, 점도가 증가하여 사출온도가 높아지며, 제품에 플로우 마크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섬유가 블렌드된 폴리아미드-66의 도료 코팅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전반적으로 물성 및 가공성 등을 평가해볼 때, 유리섬유의 함량이 약 10 wt% 내외의 경우 안경테로써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