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ulic Acid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8초

유색미 혼합 재배시 수량 및 현미 품질 (Rice Yield and Quality in Mixed Cropping of Several Colored Rice Cultivars)

  • 신종희;한채민;권중배;원종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85-94
    • /
    • 2022
  • 혼반용 유색 찰 현미 생산을 위해 품종의 혼합 재배 기술을 이용하면 노동력 절감과 더불어 수량증대로 인한 농가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된다. 유색미의 경우 현미 색이나 품종별로 항산화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혼반용으로 적합한 유색미 품종의 선발과 재배기술의 생력화를 위하여 유색미 혼합재배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유색미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화합물의 정성 및 정량분석 결과 황갈색 계열의 품종 및 자원은 Ferulic acid와 Salicyl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적미 계열의 품종 및 자원은 Ferulic acid, Gentisic acid, Catechin 함량이 높았다. 흑미 계열의 경우 Ferulic acid, Caffeic acid, Cinnamic acid 함량이 높았고 적미, 녹미 등 다른 계열의 유색미에 비해 Quercetin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녹색계열의 녹원찰벼의 경우 Ferulic acid, Coumar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Coumaric acid 함량이 다른 계열의 유색미에 비해 높았다. 블랜딩 유색미 생산을 위해 품종을 혼합하여 재배할 경우 주당수수, 등숙율 증가로 단일품종으로 재배하는 것보다 수량이 18~20% 증수 되었으며, 혼합재배 유형 중 1품종 1열 재배에서는 녹원찰, 종자혼합 재배에서는 청풍흑향찰, 한강찰과 아랑향찰은 혼합재배 유형 모두에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Production of Vanillin from Ferulic Acid Using Recombinant Strains of Escherichia coli

  • Yoon Sang-Hwal;Li Cui;Lee Young-Mi;Lee Sook-Hee;Kim Sung-Hee;Choi Myung-Suk;Seo Weon-Taek;Yang Jae-Kyung;Kim Jae-Yeon;Kim Seon-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4호
    • /
    • pp.378-384
    • /
    • 2005
  • Vanillin is one of the world's principal flavoring compounds, and is used extensively in the food industry. The potential vanillin production of the bacteria was compared to select and clone genes which were appropriate for highly productive vanillin production by E. coli. The fcs (feruloyl-CoA synthetase) and ech (enoyl-CoA hydratase/aldolase) genes cloned from Amycolatopsis sp. strain HR104 and Delftia acidovorans were introduced to pBAD24 vector with $P_{BAD}$ promoter and were named pDAHEF and pDDAEF, respectively. We observed 160 mg/L vanillin production with E. coli harboring pDAHEF, whereas 10 mg/L of vanillin was observed with pDAHEF. Vanillin production was optimized with E. coli harboring pDAHEF. Induction of the fcs and ech genes from pDAHEF was optimized with the addition of 13.3 mM arabinose at 18 h of culture, from which 450 mg/L of vanillin was produced. The feeding time and concentration of ferulic acid were also optimized by the supplementation of $0.2\%$ ferulic acid at 18 h of culture, from which 500 mg/L of vanillin was obtained. Under the above optimized condition of arabinose induction and ferulic acid supplementation, vanillin production was carried out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media, M9, LB, 2YT, and TB. The highest vanillin production, 580 mg/L, was obtained with LB medium, a 3.6 fold increase in comparison to the 160 mg/L obtained before the optimization of vanillin production.

Plant Phenolics Ferulic Acid and P-Coumaric Acid Inhibit Colorectal Cancer Cell Proliferation through EGFR Down-Regulation

  • Roy, Nabarun;Narayanankutty, Arunaksharan;Nazeem, PA;Valsalan, Ravisankar;Babu, TD;Mathew, Deep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8호
    • /
    • pp.4019-4023
    • /
    • 2016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CRC) or bowel canc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ncer diseases, needing serious attention. The cell surface receptor gene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provoking CRC. In this pharmaceutical era, it is always attempted to identify plant-based drugs for cancer, which will have less side effects for human body, unlike the chemically synthesized marketed drugs having serious side effects. So, in this study the authors tried to assess the activity of two important plant compounds, ferulic acid (FA) and p-coumaric acid (pCA), on CRC. Materials and Methods: FA and pCA were test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on the human CRC cell line HCT 15 and also checked for the level of gene expression of EGFR by real time PCR analysis. Positive results were confirmed by in silico molecular docking studies using Discovery Studio (DS) 4.0. The drug parallel features of the same compounds were also assessed in silico. Results: Cytotoxicity experiments revealed that both the compounds were efficient in killing CRC cells on a controlled concentration basis. In addition, EGFR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the presence of the compounds. Docking studies unveiled that both the compounds were able to inhibit EGFR at its active site. Pharmacokinetic analysis of these compounds opened up their drug like behaviour.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lant compounds for targeting diseases like CRC.

목재부후균으로부터 Laccase 효소의 생산 및 유도 (Appearance of Laccase in Wood - Rotting Fungi and Its Inducibility)

  • 안드레 레오노비취;리리아나 지안프레다;죠오지 로갈스키;마그다 야색;욜란타 루테랙;마리아 바실레브스카;엘리지베타 말라책;안드레 다비도비취;모니카 핑크브츠;그리지나 기날스카;마그다 스타스책;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3호
    • /
    • pp.29-36
    • /
    • 1997
  • 목재부후균으로 부터 락케이스 효소의 생산 및 유도를 위하여 여러가지 유도약품(inducer)을 사용하였다. 이들 가운데 ferulic acid, pentachlorophenol 및 2,5-xylidine이 매우 높은 락케이스 활성을 나타나게 하였으며, 거의 동일한 유도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들 약품 이외에도 sinapic acid, syringic acid 및 coffeic acid 등도 높은 락케이스 활성을 주었는데, 산의 형태가 알데히드류보다도 높은 유도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실험한 48개 균주 가운데 38개 균주가 락케이스를 생산하였으며, 이 가운데 32균주가 ferulic acid에 의해 강한 효소유도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락케이스 효소의 검출이 어려웠던 Abortiporus biennis 및 Gleophyllum odoratum에서도 높은 락케이스 효소의 유도를 가능하게 하였다. 아울러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낸 균주로서는 Cerrena unicolor 였으며, 그 락케이스 효소활성이 무처리 및 inducer 첨가시 각각 40,000 및 60,000 nkat/l 정도였다.

  • PDF

네종 작물에 대한 Juglans regia L.의 알레로패티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Walnut Plants (Juglans regia L.) on Four Crop Species)

  • Hussa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93-100
    • /
    • 1991
  • Juglans regia L. 나무밑에는 다른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그 임상토양, 수용추출액, 빗물 등을 써서 작물을 심어 본 결과 발아와 생장이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 억제물질을 찾기 위해서 Juglans regia L. 나무의 수용추출액과 빗물을 종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여 feru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gallic acid를 분리확인했으며, 이 물질들이 억제작용에 관계한 것으로 추정한다.

  • PDF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페놀성 성분 비교 연구 (Differences in Phenolic Compounds between Korean Ginseng and Mountain Ginseng)

  • 유병삼;이호재;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20-124
    • /
    • 2000
  •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 그리고 중국산 장뇌산삼에 포함되어 있는 총 페놀성 성분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들의 함량에서는 몇 가지 특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Cinnamic acid와 p-hydroxybenzoic acid는 재배인삼보다 장뇌산삼에서 각각 3~4배, 2~3배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sculetin은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에서 중국산 장뇌산삼보다 더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KM-1의 경우 $47.2\mu\textrm{g}/g$으로 가장 높았다. Ferulic acid와 caffeic acid의 경우 KM-2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인삼의 적변현상에 관련된 성분으로 사료된다. Ester 상태의 총 페놀성 성분 함량은 장뇌산삼에서 재배인삼보다 3~4배 더 높았다. Panax ginseng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성 성분들은 완전한 성장연령이 지난 후에는 총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 함량과 존재 형태에 있어서는 서식지별 또는 재배방법 등에 따라 구분되는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Pleurotus ostreatus의 laccase 작용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case from pleurotus ostreatus)

  • 김규중;신광수;맹진수;강사욱;하영칠;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8-156
    • /
    • 1987
  • Extracellular laccase (E.C. 1.10.3.2)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Pleurotus ostreatus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ctation, protamine sulfate precipitation, DEAE-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00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estim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o be 58,000 and the isoelectric point was 3.7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enzyme was about $45^{\circ}C$ and the optimum pH was 6.5. The enzyme was found to be stable at temperature below $35^{\circ}C$ and rapidly inactivated at higher temperatures. Km values for ferulic acid, vanillic acid, dihydroxyphenylalanine (DOPA) were 48.6.$\mu$M, 0.52mM, and 2.73mM,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enzyme has much higher affinity towards ferulic acid. The reaction products of the enzyme were separated by TLC and HPLC.

  • PDF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을 달리한 쌀의 지방산 및 페놀산 함량 비교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in Rice with the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인호;전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1-726
    • /
    • 1996
  • 쌀의 영양, 가공 및 저장 등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 별로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산과 페놀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oleic 및 linoleic으로서, 배아는 palmitic 20.0%, oleic 33.3% 및 linoleic 43.0%의 함량을, 미강은 palmitic 17.3%, oleic 45.1% 및 linoleic 34.5%의 함량을, 백미는 palmitic 23.4%, oleic 26.2% 및 linoleic 46.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 지방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oleic은 외층일수록, linoleic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백미의 경우 oleic acid는 외층일수록,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페놀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유리 페놀산 321.0mg%, 페놀산 에스터 299.7mg%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212.4mg%이었다. 백미는 유리 페놀산 118.omg%,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56.0mg%이었고 페놀산 에스터는 추출되지 않았다. 페놀산의 구성성분은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의 함량이 86.2%로 가장 높았으며 sinapic 및 syringic acid는 35.7~36.6%, p-coumaric acid는 16.7%이었고 vanill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백미는 ferulic acid 12.3%, sinapic acid 4.1%, p-coumaric acid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로 조사한 총 페놀산의 함량은 배아가 0.18%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은 외층일수록 함량이 높았고 백미는 미량존재 하였던 성분이 분획에 따라 함량이 분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In Vitro Free Radical and ONOO- Scavengers from Sophora flavescens

  • Jung, Hee-Jin;Kang, Sam-Sik;Hyun, Sook-Kyung;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534-540
    • /
    • 2005
  •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CH$_2Cl_2$-soluble fraction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furnished fiv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 ers: trans-hexadecyl ferulic acid (1) cis-octadecyl ferulic acid (2), trans-hexadecyl sinapic acid (3), (-)-4-hydroxy-3-methoxy-(6aR,11aR)-8, 9-methylenedioxypterocarpan (4) and desmethylanhydroicaritin (8), along with nine known inactive compounds: (-)-maackiain (5), xanthohumol (6), formononetin (7), (2S)-2'-methoxykurarinone (9), (2S)-3${\beta}$,7,4'-trihydroxy-5-methoxy-8-(${\gamma},{\gamma}$- imethylallyl )-flavanone (10), (2S)-7,4'-dihydroxy-5-methoxy-8- (${\gamma},{\gamma}$-dimethylallyl ) -flavanone (11), umbelliferone (12), kuraridin (13), and trifolirhizin (14). Compounds 1-4 and 8 exhibit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t IC$_{50}$ values of 33.01 ${\pm}$ 0.20, 57.06 ${\pm}$ 0.16, 39.84 ${\pm}$ 0.36, 35.83 ${\pm}$ 0.47, and 18.11 ${\pm}$ 0.04${\mu}$M, respectively. L-Ascorbic acid, when used as a positive control, exhibited an IC$_{50}$ value of 7.39 ${\pm}$ 0.01 ${\mu}$M. Compounds 1-4 and 8 also appeared to exert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s on authentic ONOO-, with IC$_{50}$ values of 5.76 ${\pm}$ 1.19, 15.06 ${\pm}$ 1.64, 8.17 ${\pm}$ 4.97, 1.95 ${\pm}$ 0.29 and 4.06 ${\pm}$ 2.41 ${\mu}$M, respectively. Penicillamine (IC$_{50}$= 2.36 ${\pm}$ 0.79${\mu}$M)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addition, compounds 2,4,6,8, and 10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오죽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black bamboo leaves)

  • 배현경;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0-564
    • /
    • 2014
  • 오죽 잎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용매분획하고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활성,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용매분획물 중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FRAP활성이 모두 가장 강하였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모든 시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 중에서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 성분을 분리하여 정량하였으며 이 중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오죽 잎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천연 식품보존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