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ulic Acid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6초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성란;안지윤;이현유;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30-9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오대, 남평, 추청, 일미 4품종으로부터 각각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의 백미와 미강을 제조하고 품종과 도정도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페놀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현미의 성분 중 지방과 회분 함량이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미강의 지방과 회분 함량은 품종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정도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쌀가루의 호화개시온도가 낮아지고 피크점도(P)와 $95^{\circ}C$ 15분간 유지 후 점도(H)가 증가하였으나 반면 냉각점도, 최종점도, setback 등은 도정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기보다는 품종에 따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93.9-88.8 mg catechin eq/100 g이고 도정한 백미 중에는 30.3-71.9 mg catechin eq/100g 범위였으며, 미강에는 310.0-541.6 mg catechin eq/100g이었다.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 p-coumaric acid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27.9 mg%였으나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고 ferulic acid 조성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중에서는 추청과 일미에서 도정으로 인한 phenolic acid 함량 감소가 컸다.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는 157.8-240.2 mg%, p-coumaric acid는 31.8-90.4 mg% 범위로 나타났고 현미와 백미와는 달리 sinapinic acid, benzoic acid, m-hydroxybenzoic acid의 함량도 높았다.

당근의 알콜불용성 잔사와 셀룰로오스 분획의, p-Hydroxybenzoic Acid 추출에 미치는 시판 식물세포벽분해효소의 영향 (Effect of Commercial Plant Cell Wall Degrading Enzymes on Extraction of p-Hydroxybenzoic Acid from Carrot Alcohol Insoluble Residue (AIR) and Cellulose Fraction)

  • 강윤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33-1637
    • /
    • 2005
  • Driselase, Cellulase, Macerozyme R-200, Macerozyme R-10및 Sumyzyme MC 등 5종의 시판 식물세포벽분해효소가 당근의 세포벽물질(CWM)로부터 제조한 알콜불용성 잔사(AIR)와 cellulose fraction의 f-hydroxybenzoic acid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근AIR의 주된 페놀화합물은 P-hydroxybenzoic acid로 1,977 $\mu$g/g AIR였으며, vanillin, ferulic acid, p-hydroxybenzaldehyde가 각각 55.9, 13.6, 10.6 $\mu$g/g AIR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에 함유되어있는 ferulic acid의 함량은 Driselase, Cellulase, Macerozyme R-200, Macerozyme R-10, Sumyzyme MC에서 각각 2,319, 2,060, 391, 95.2, 34.1 $\mu$g/g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효소와 세포벽물질과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Driselase와 AIR의 반응 후 유리된 p-hydroxybenzoic acid의 함량은 56 $\mu$g/g AIR로 알칼리 (4 M NaOH) 추출한 총량의 2.8$\%$에 해당한다. 따라서 p-hydroxybenzoic acid는 AIR과 셀룰로오스 분획으로부터 이들 효소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유묘생육 및 양분흡수에 관한 목초액의 영향 (Effect of Wood vinegar on Tomato Seedling Growth and Nutrient Uptake)

  • 김승환;최두희;이상민;남재작;김한명;손석용;송범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3-113
    • /
    • 2003
  • 유기ㆍ자연농업 등 환경친화적 농업을 수행하는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목초액의 화학성과 작물생육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여 유기ㆍ자연농업자재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초액의 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비료적 가치는 크지 않았다. 특히 농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00∼1000배 목초액은 별도의 비료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적으로 목초액에 의존할 경우 정상적인 작물생육에 요구되는 양분을 충족시키기는 근본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목초액 농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토마토 유묘의 생육 및 양분 흡수형태를 조사한 결과 500배 희석까지 목초액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뿌리 생육량은 증가하였으나 지상부 생육은 억제되었다. 또한, 뿌리와 경엽 중의 양분흡수는 음이온인 질산태 질소와 인산 흡수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반면에 양이온인 K, Ca, Mg, Na의 흡수량은 증가하였다. P-coumaric acid,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및 acetic acid를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하고 토마토 유묘를 재배한 결과 뿌리의 생육은 chlorogenic acid 또는 ferulic acid 처리로 증가되었고, ferulic acid의 경우 저농도인 10-4M에서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모두 양호하였다. 따라서 목초액을 시용할 때 도장이 억제되고 건전한 작물생육이 유지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목초액 시용에 따른 작물의 지하부 생육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페놀물질간의 상승작용 및 길항작용에 따라 작물생육에 대한 효과는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페놀물질이 포함된 목초액을 작물재배에 사용할 경우 효과발현 정도는 상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목초액은 사용방법 측면에서 경엽처리 보다는 토양관주 방법으로 영농에 이용하면 작물의 근활력 증진 및 작물생육을 조절할 수 있는 대체농자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tinol에 대한 항산화 연구 (The Study on Antioxidation of Retinal)

  • 조춘구;한창규;홍우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70
    • /
    • 2002
  • Retinol에 대한 합성물질과 천연물질의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수용성 합성 항산화제 tertiary butylhydroquulone(TBHQ)와 수용성 천연 항산화제 $\alpha$-glycosyl rutin($\alpha$-G rutin), licorice, pycnogenol, 지용성 합성 항산화제 butylated hydroxytoluene(BHT)와 지용성 천연 항산화제 $\alpha$-lipoic acid, ferulic acid, natural concentrated tocopherol(no-tocopherol)를 각각 0.0, 0.0l, 0.02, 0.05, 0.l0wt% 사용하여 리포좀에 봉입하였으며, 4$^{\circ}C$, $25^{\circ}C$, 5$0^{\circ}C$에서 8주 동안 retinol의 잔류량 변화를 HPLC로 측정하였다. 사용된 항산화제는 retinol에 대하여 모두 산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수용성 항산화제는 licorice>pycnogenol>TBHQ>$\alpha$-G rutin 순으로, 지용성 항산화제는 $\alpha$-lipoic acid>BHT>no-tocopherol>feru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alpha$-lipolc acid, BHT, licorice, pycnogenol을 흔합하여 retinol에 대한 항산화력 상승효과를 알아보았다. $\alpha$-lipoic acid와 BHT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retinol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The Spermatogenic Effect of Yacon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and Their Inhibition Effect of Testosterone Metabolism

  • Park, Jeong Sook;Han, K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2호
    • /
    • pp.153-160
    • /
    • 2013
  • We screened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a 50% ethanol extract of Yacon tubers and leaves on spermatogenesis in rats. As a result, we found that Yacon tuber extracts increased sperm number and serum testosterone level in rat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rude extract of Yacon tubers and leaves contain phenolic acids, such as,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and caffeic acid by HPLC/MS analysis. We were interested in the contributions made by phenolic acid, particularly chlorogenic acid of Yacon tuber extract to the spermatogenic activity. After administering Yacon tuber extract or chlorogenic acid to rats for 5 weeks, numbers of sperm in epididymis were increased by 34% and 20%, respectively. We also administered ferulic acid, which has been reported to be a metabolite of chlorogenic acid and a constituent of Yacon tuber extract to investigate its spermatogenic activity in rats. Yacon tuber extract and ferulic acid increased sperm numbers by 43% and 37%, respectively. And, Yacon tuber extract, and chlorogenic acid showed significantly inhibition effect of testoeterone degradation in rat liver homogenate. We considered that the spermatogenic effect of Yacon tuber extract might be related to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f testosterone degradation. Yacon showed the possibility as ameliorable agents of infertility by sperm deficiency and late onset hypogonadism syndrome with low level of testosterone.

자생종과 재배종 고본의 성분함량 비교 (Constituents Comparison of Components in Native and Cultivated Species of Angelica tenuissima Nakai)

  • 이혜원;최지현;박소영;추병길;천진미;이아영;김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8-172
    • /
    • 2008
  • The root of Angelica tenuissima Nakai (Umbelliferae)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of Korea as a headache, common cold and a fever remedy. A. tenuissima contains ferulic acid and various compounds of essential oil group such as limonene, 3-butylidenephthalide, ${\gamma}$-terpinene, neocnidilide, ligustilide, senkyunolide and neocnidilide. This study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ntents of ferulic acid, z-ligustilide and n-butylidenephthalide between native and cultivated species of A. tenuissima by HPLC. The average contents of ferulic acid, z-ligustilide and n-butylidenephthalide indicated that native species (9 samples) were 0.060%, 0.616%, 0.025% and cultivated species (15 samples) were 0.037%, 0.141%, 0.029%, respectively. Al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Korea.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 (II)

  • Han, Byung-Hoon;Park, Myung-Hwan;Han, Yong-Nam;Josefina B.Manal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75-77
    • /
    • 1983
  • Two phenolic acids were isolated from the hydrolyzed butanol fraction of Aralia continenetalis K. in crystalline form. They were identified by chemical tests and by analysis of spectra of UV, IR and NMR as ferulic acid and caffeic acid.

  • PDF

Lignin을 분해하는 Streptomyces strainsdop 의한 페놀화합물의 분해 (The Degradation of Phenolic Compounds by Lignolytic Streptomyces strains)

  • 김태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6-9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phenol compounds(catechol, ferulic acid, protocatechuic acid, syringic acid, vanillic acid) by Streptomyces halstedii scabies SAI-36, Streptomyces avendulas SA2-14, and Strptomyces badius(ATCC 39117,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atechol showed the degradation efficiency that is lower than 50% in three strains. Ferulic acid and vanillic acid showed high degradation efficiency of 98.8% and 94.5% respectively by Streptomyces lavendulas SA2-14. protocatechuic acid and syringicacid showed high degradation efficiency of 89.6% and 77.9%.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catechol by Streptomyces halstedii scabies SAI-36, Streptomyces lavendulas SA2-14 and Streptomyces badius(ATCC 39117) was low as 49.2%, 40.2% and 20.2% respectively. But the degradation of other phenolic compoumds except catechol by Streptomyces laven-dulas SA2-36 and Streptomyces badius(ATCC 39117).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wo experimental strains are superior ability to control group in degradation of phenol compounds and Streptomyces lavendulas SA2-14 was superior of two experimental strain. This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Streptomyces lavendulas SA2-14 was the best strain in degradation ability for lignin, decoloration abilities for variousdyes, and various enzyme production abilit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ignin can be used as a indicator when selecting Actinomycetes for degradation of non-degradable materials such as phenol compounds.

  • PDF

청미래덩굴 잎(Smilax china L.)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Smilax china L. Leaves)

  • 김주영;성기운;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614-1618
    • /
    • 2014
  •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청미래덩굴 잎을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고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을 TLC와 HPLC로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활성은 ethyl acetate, n-butanol, n-hexane 분획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보다 월등히 높았다. 청미래덩굴 잎의 용매 분획물은 시험균주인 S. aureus에 대하여 12.4~8.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P<0.05).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청미래덩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로 확인 후 다른 분획물들과 HPLC로 분석하여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을 확인하고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나타냈고, ferulic acid가 그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물질로 사료된다.

Intramolecular [2+2] Photocycloaddition and Cycloreversion of Ferulic Acid Derivatives

  • Maeda, Hajime;Nishimura, Keisuke;Yokoyama, Akihiro;Sugimoto, Akira;Mizuno, Kazuhiko;Hosoda, Asao;Nomura, Eisaku;Taniguchi, Hisaji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4권1호
    • /
    • pp.12-15
    • /
    • 2015
  • Intramolecular photocycloaddition of ferulic acid derivatives proceeded in high yields to give head-to-head intramolecular photodimers as three atropisomers. The photocycloaddition was sensitized by triplet sensitizers such as benzophenone, whereas photocycloreversion was promoted by 9,10-dicyanoanthracene (DCA) as an electron-transfer photocatalyst. On the other hand, intermolecular photocycloaddition afforded a head-to-tail photodi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