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tilization medium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4초

단백질 공급원 및 체세포와의 공배양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ein Sources and Co-culture on In Vitro Culture of IVF-derived Porcine Embryos)

  • 한선경;구덕본;이규승;황윤식;김정익;이경광;한용만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9-297
    • /
    • 2000
  • 본 연구는 체외성숙, 수정된 돼지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의 첨가 및 공배양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들을 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성숙, 수정된 돼지 수정란을 BSA의 농도가 각각 0.4, 0.8 및 3.2% 첨가된 NCSU 23 배양액 내에서 체외배양하였을 때, 배반포 단계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22.9, 18.4 및 14.6%로서 BSA의 농도가 높을수록 체외발달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높은 농도의 BSA(3.2%)에서 발달한 배반포의 평균 세포수(36.1$\pm$11.8)는 0.4 및 0.8% BSA 그룹의 평균 세포수 (각자 53.2$\pm$27.4, 61.2$\pm$22.5)보다 유의적으로 적은 수를 나타내었다 (P<0.05). 이러한 결과는 높은 농도의 BSA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을 저해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2. FBS의 농도가 10% 및 20%로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양된 돼지 체외 수정란의 체외발달율과 평균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다. 3. 생쥐나 돼지 태아섬유아세포와의 공배양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오히려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돼지 수정란의 체외배양에 있어서 단백질 공급원인 BSA나 FBS의 첨가 농도에 따라서는 수정란의 발달 및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없었으며, 섬유아세포와의 공배양도 돼지 체외수정란의 발달에 부정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Antibiotic Resistant Microbial Contamination (Enterobacter cloacae) Derived from Egg Yolk and Frozen Semen Extender in Porcine In Vitro Fertilized Embryos

  • Kwak, Seong-Song;Jeong, Se-Heon;Jang, Seung-Hoon;Jeon, Yu-Byeol;Nam, Young-Hee;Biswas, Dibyendu;Lee, Wan-Kyu;Hyun, Sang-Hwa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67-272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urce of contamination during semen processing for in vitro uses. In the present study, frozen semen was prepared from liquid semen in our laboratory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experiments due to lack of fresh semen. Antibiotics were added in the frozen semen extender (kanamycin and gentamicin) and in vitro culture (IVC) medium (gentamicin) for further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Nevertheless, proliferations of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in IVC culture drop during culturing of IVF embryos using frozen semen. Randomly 3 samples were taken from the liquid semen, frozen semen and egg yolk. Contaminated IVC medium, frozen-thawed semen, liquid semen and egg yolk were cultured in de Man, Rogosa and Sharpe (MRS) agar medium. Whitish colonies were detected in contaminated IVC drop, frozen-thawed semen samples and egg yolk but no colonies were formed in liquid semen samples. Gram-negative and rod-shaped identical bacteria were found in both frozen-thawed semen sample and contaminated IVC drop and egg yolk samples. Enterobacter cloacae were confirmed by API 20E kit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with identification value (% ID) 94.3% and T index 0.88.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were done according to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by using ampicillin, amikacin, cephaloth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sulfamethoxazole trimethoprim, norfloxacin and ciprofloxacin test. Among them Enterobacter cloacae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amikacin, cephalothin, gentamicin, kanamycin but susceptible to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sulfamethoxazole trimethoprim, norfloxacin and ciprofloxacin. From these findings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is contamination sources might be from egg yolk.

산양의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난자에 따른 공여세포의 조건이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ipient Oocytes and Donor Cells Condi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after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with Caprine Somatic Cell)

  • 이명열;박희성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13-2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caprine embryos after somatic cell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Donor cells were obtained from an ear-skin biopsy of a caprine, digested with 0.25% trypsin-EDTA in PBS, and primary fibroblast cultures were established in TCM-199 with 10% FBS. After maturation, expanded cumulus cells were removed by vigorous pipetting in the presence of 0.3% hyaluronidase. The matured oocytes were dipped in D-PBS plus 10% FBS+7.5 $\mu\textrm{g}$/ml cytochalasin B and 0.05 M sucrose. The reconstructed oocytes were electrically fused with donor cells in 0.3 M mannitol fusion medium. After the electofusion, embryos were activated by electric stimulatio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embryos with bovine cytoplasts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including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 for 7∼9 day. On the other hand, the NT embryos with porcine cytoplasts were cultured in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for 6∼8 day at $39^{\circ}C, 5% CO_2$ in air.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was 36.8% in confluence and 43.8% in serum starvation.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stage embryos was 0.0% in confluence and 18.8% in serum starvation. In caprine-porc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was 76.7% in confluence and 66.7% in serum starvation.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as 3.3% in confluence and 3.0% in serum starv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ynchronization treatment between donor cells.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cleavage(2-cell) rate of cultured donor cells was 30.8% and 17.6% in 5∼9 and 10∼14 passage(P<0.05).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in 5∼9 passage(23.1%) than in 10∼14 passage(0.0%) of cultured donor cells. In caprine-porcine NT embryos,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in 5∼9 passage(86.7%) than in 10∼14 passage(50.0%) of cultured donor cells.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3.3 and 0.0% in 5∼9 and 10∼14와 passage of cultured donor cells. In caprine-bovine NT embryos,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22.6% i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33.9%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28.1% in parthenotes, which was no significant differed. The developmental rate of morula and blastocyst stage embryos with caprine-porcine NT embryos were lower(P<0.05) in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5.1%) than in vitro fertiltzation(26.9%) and parthenotes(37.4%).

돼지동결정액의 체외수정능력에 있어서 Ascorbic Acid 와 Ferrous Sulfate 의 영향 (Effects of Ascorbic Acid and Ferrous Sulfate on In-Vitro Fertility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Porcine)

  • 남희선;박춘근;정희태;이상찬;김종흥;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9-237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전배양시 aseorbie acid (Ase)와 ferrous sulfate (Fe$^{2+}$)가 정자의 수정능력획득, 첨체반응 및 난자내 침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자의 전배양시 0~1.0 mM의 Fe$^{2+}$의 첨가는 비전배양에 비해 높은 첨체반응 (P<0.05) 및 정자침입율을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0~0.5mM의 Ase 첨가 시 첨체반응율에서는 같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정자침입율은 오히려 정자의 전배양 보다는 비전배양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Fe$^{2+}$가 함유 되어있는 배양액내에서 2시간동안 정자의 전배양시 0.1 mM Asc의 첨가는 0.5 mM Ase의 첨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첨체반응율을 나타냈으나 (P<0.05), Ase의 농도사이에서 정자침입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Ase가 함유된 배양액내에서 정자의 전배양시 0.1 mM Fe$^{2+}$를 첨가했을 때 첨체반응율은 Fe$^{2+}$ 무첨가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오히려 가장 낮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외에서 돼지정자의 처리시 Fe$^{2+}$ 또는 Ase의 첨가와 정자의 전배양에 의해 첨체반응과 정자침입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체외성숙, 수정 및 체외배양에서 생산된 소 배반포기배의 ICM과 Trophectoderm세포수에 관한 연구 (ICM-Trophectoderm Cell Numbers of Bovine IVM/IVF/IVC Blastocysts)

  • 김은영;엄상준;김선의;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4
    • /
    • 1996
  • 본 연구는 immunosurgery와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체외에서 소 수정란의 배발달을 유기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CR1배양액을 사용하여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기배의 inner cell mass (ICM)와 trophectoderm(TE)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배반포기배는 체외수정 후 8일째에 얻어졌다. 체외생산된 배반포기배는 배반포강의 확대와 투명대 두께의 감소를 기준으로 초기, 중기 및 팽윤단계로 구분하였으며, 또한 같은 배발달군내의 배반포기배는 다시 두 군으로 나누어 bisbenzimide만을 처리하여 얻어진 총세포수와 immunosurgery와 two polynulc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얻어진 ICM와 TE의 총세포수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 후 8일째 배반포기배의 발달율은 29.3%였으며, 초기, 중기, 팽윤 및 부화단계로 구분하였을 때의 발달율은 각각 8.7, 9.9, 7.6, 3.1%였다. 2) Bisbenzimide를 이용한 배반포기배의 총 세포수는 초기, 중기 및 팽윤단게가 각각 46.9$\pm$8.6, 66.2$\pm$12.5, 122.8$\pm$14.4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CR1이 소 수정란의 발달에 적절한 배양액임을 알 수 있었다. 3) Immunosurgery와 polynucleotide-specific 형광물질을 이용한 differential labelling기법으로 배반포기배의 ICM과 TE 세포수를 초기, 중기 및 팽윤단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ICM 세포수는 각각 12.8$\pm$5.9, 26.3$\pm$8.4, 35.5$\pm$15.0개 이었고, TE 세포수는 각각 30.5$\pm$5.0, 41.3$\pm$8.2, 81.1$\pm$13.4개로 나타나 ICM과 TE 세포수는 초기 배반포기배에서 팽윤 배반포기배로 진행됨에 따라 두배에서 세배 정도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ifferential labelling과 bisbenzimide기법에서 얻어진 각각의 총세포수를 비교하였을 때 총세포수는 발달의 진행 정도에 따라 증가되며 그와 동시에 동일한 군 간의 세포수도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CM과 TE를 differential labelling하는 기법은 수정란의 quality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서 착상전 embryo 발달을 연구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재료 및 소모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Domestic Production of Materials and Consumables for Human IVF-ET Program)

  • 차병헌;전진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85-391
    • /
    • 2011
  • 인간의 불임을 극복하고 치료하기 위한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의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은 1978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성공 사례를 보고하였으며, 국내에서는 1986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 발표된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0년에는 130여 개의 배아생성의료기관에서 연간 42,000 건 이상의 IVF-ET가 시행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시술에 사용되는 재료 및 소모품으로는 난자 채취에 사용되는 난자채취용 주사침(ovum pick-up needle), 채취된 정자를 수세하고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원심분리관(centrifuge tube), 난포액에서 난자를 확인하고 이를 분리할 때 사용하는 페트리 접시(Petri dish), 난자와 배아를 배양하는 배양접시(culture dish),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 사용되는 미세 피펫(ICSI pipette), 배아의 체외배양에 사용되는 배양액(culture medium)과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정자를 자궁에 넣어주는 인공수정에 사용되는 이식관(intrauterine insemination catheter), 배아의 이식에 사용되는 이식관(embryo transfer catheter), 잉여의 배아를 동결하기 위한 동결액(cryopreservation solution) 그리고 체외배양공간을 제공하는 배양기(incubator)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술 재료와 소모품들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해 시술기관의 임상의와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관련 시술 재료와 소모품 국산화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관련 분야의 임상의와 연구원들도 국산화에 대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국산화가 성공되기 위해서는 품질보증과 품질관리와 같은 체계적인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의 발전과 국제적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산회토에서 옥수수와 감자의 시비처리에 따른 양분 흡수 및 용탈 (Nutrient Uptake and Leaching Under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 for Corn and Potato Growth in Volcanic Ash Soil)

  • 강봉균;박양문;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3-259
    • /
    • 2001
  • 나지와 작물재배조건의 밭토양에서 질소 공급원으로 질소질 비료 및 완숙 회비를 시비함에 따른 작물체의 생육 및 양분 흡수와 토양내 양분의 이동, 지하수로의 용탈 가능성을 추정하여 시비양분의 행방을 추정하기 위하여 lysimeter에 무비방 임구, 무비무재배 제초구, 무비재배구, 질소 토양처리구(16, 32, 64kg/10a), 질소+퇴비 토양처리구(16+800, 32+1600, 64+3200 kg/10a), 질소 수용액처리구(16, 32kg/10a), 질소보비(32kg/10a)소식 및 밀식구 13 처리로 하여 전작물 옥수수와 후작물 감자의 생육 및 양분의 흡수, 용탈정도를 조사하였다. lysimeter를 통하여 용탈된 물의 양은 나지구(T1, T2)가 작물 재배구들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전작물(옥수수)과 후작물(감자)의 식물체내 질소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체의 생육은 수용액시비구가 토양시비구에 비해 유의하게 양호하였고, 질소흡수율도 수용액시비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옥수수 및 감자의 건물수량은 질소.퇴비보비구와 증량구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물체내 N, Ca Na, K, Mg의 함량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감자의 총질소 함량과 다른 무기성분의 흡수량간에는 Ca, K, Mg과 각각 0.89$^{**}$ , 0.94$^{**}$ , 0.87$^{**}$ 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유지하고 있어 질소의 흡수가 다른 무기성분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식물체의 실제적인 질소흡수량은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나, 비료로 시용된 질소의 흡수율은 소비구(T4)가 54.9%로 가장 높은 반면, 증량구에서는 31.0-34.0%로 낮아졌다. 토양잔존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아져 다비구일수록 용탈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trigel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소 체외수정란의 발달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Embryo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Matrigel)

  • 김동훈;김세웅;이민정;황인선;배성훈;양병철;임기순;성환후;양보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05-81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Matrigel의 첨가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소 체외수정란은 Ⅰ) SOF+0.8% BSA (SOF-B), Ⅱ) 0.8% Matrigel이 첨가된 SOF+0.8% BSA (SOF-M), 그리고 Ⅲ) SOF+0.8% BSA 배양 후, SOF+10% FBS(SOF-BF)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액 내 Matrigel의 첨가는 배반포 발달율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SOF-B, 26.6%; SOF-M, 28.2%; SOF-BF, 26.2%). 그러나, 부화 배반포의 비율은 Matrigel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OF-B, 23.7%; SOF-M, 48.7%; SOF-BF, 18.5%) (P<0.05). 배반포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는 각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SOF-B, 172.7±35.5; SOF-M, 175.1±37.4; SOF-BF, 172.8±38.1), 또한 세포자연사가 유발된 세포수의 비율도 각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SOF-B, 3.6±3.2%; SOF-M, 4.3±2.6%; SOF-BF, 4.9±4.3%). 본 실험결과는 Matrigel이 소 체외수정란의 부화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세포외 기질 복합체인 Matrigel의 첨가는 무혈청 수정란 배양체계에서 보다 생리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체외성숙 돼지난포란의 체외수정과 배발달에 관한 연구 II. 각종 배양액, 돼지난구세포 및 생쥐태아간세포와의 공동배양이 체외수정 돼지 난포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orcine Follicular Oocytes I. Effect of Various Media and Co-culture with Porcine Cumulus Cellsor Mouse Fetal Fibroblast Cells on In Vitro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Oocytes)

  • 정형민;엄상준;승경록;이상준;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0
    • /
    • 1993
  • 본 연구는 제외생산된 돼지 수정란의 처1외발생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각종 배양액파 돼지난구세포 혹은 생 쥐태아간세포와의 공동배양 효과플 조사하였다 m-KRB, BECM 및 TCM-HEPES 배양액을 공시하 여 제외수정란을 배양한 결과 배반포기까지 발달하는 비율은 전처리구에서 0~1.0%로써 극히 저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수정란은 4-세포기 단계에서 발달이 정지되었다. 한편, 단층세포가 유도된 돼지 난구세포나 생쥐 태아간세포와 함께 제외수정란을 공동배양한 결파 2, 4-, 8~16-, 32-세포기, 상실배가 빛 배반포로 받달하는 비율은 각각 61.1~67.0%, 59.0~58.0%, 42.5~43.1%, 28.4~30.2% 및 20.4~21.0%였다 이러한 결파는 단순배양액에서 체외배양한 수정란의 발탄 성적 보다유의하게 높은 것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세포기 수정란을 체외에서 배양할때 체세포와의 공동배양은 수정란의 체외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and cumulus cell supplementation in in vitro maturation culture media enhances the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 Chatroudi, Mahla Honari;Khalili, Mohammad Ali;Ashourzadeh, Sareh;Anbari, Fatemeh;Shahedi, Abbas;Safari, Somayy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66-172
    • /
    • 2019
  • Objective: In vitro maturation (IVM) of immature oocytes can be useful for some infertile patients. In IVM programs,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pregnancy are low.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oocyte maturation in vi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cumulus cell (CC) supplementation in IVM medium on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Methods: A total of 80 germinal vesicle oocytes from stimulated cycles underwent an IVM program. The oocy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here group I consisted of IVM media only and served as the control, group II consisted of IVM+CCs, group III consisted of IVM+GDF9 (200 ng/mL), and group IV consisted of IVM+CCs+GDF9 (200 ng/mL).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was performed on the IVM oocytes, and the cleavage embryos that were generated were vitrified. Following thawing, the embryos were cultured for 3 additional days, and the viability rates of the developed blastocys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aturation rate of the oocy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 four groups. The fertilization rate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76.5% vs. 46.2%). Embryo formation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blastocyst form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ean viability rates in groups II, III, and IV were 58.16%, 55.91%, and 55.95%, respectively, versus 37.78% in the control group (p< 0.05).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IVM culture media with GDF9 and CCs enhanced the fertilization,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rates of blastocysts generated from vitrified cleavage embry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