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anchovy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초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6. 저식염 멸치젓 및 조기젓의 정미성분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6.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Yellow Corvenia)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2
    • /
    • 198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인 젓갈을 식염농도를 낮추어 저장성이 있으면서도 풍미에 손색이 없고 또한 기호에 맞는 저식염젓갈을 가공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KCI을 $50\%$ 까지 대체하여 식염농도를 $4\%$ 까지 낮추어 제조한 저식염멸치젓과 조기젓 숙성중의 정미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완숙기(숙성 60일경)의 멸치젓에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lysine, alainne, leucine, valine, isoleucine, histidine, threonine 및 glycine 등 8종이었고, 조기젓(숙성 90일경)에서는 lysine, leucine, alanine, valine, threonine, isoleucine, glutamic acid 및 methionine 등 8종이었다. 그리고 멸치젓 및 조기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57\%$$41\%$ 범위였으며, 저식염젓갈과 재래식젓갈제품 상호간의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멸치첫, 조기젓 모두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완숙기의 멸치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총 creatinine질소의 비율은 $5.5{\sim}6.2\%$범위였고, 조기젓에서는 $8\%$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저식염젓갈은 어종에 관계없이 재래식으로 담근 젓갈에 비해 별 손색이 없었으며 멸치젓 및 조기젓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핵산관련물질과 총 creatinine이 보조적인 구실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초고추장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a)육젓필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 권순재;윤문주;이재동;강경훈;공청식;제해수;정제헌;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26-732
    • /
    • 2014
  • A traditional Korean seafood (fermented anchovy) is made from the muscle and viscera of anchovies Engraulis japonic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orting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Salt-fermented anchovy fillets were prepared by fermenting anchovies with salt (15%) at $5^{\circ}C$ for 15 days, and then cold air drying the fillets for 1 hour. Each batch of dried fermented anchovy fillets (60 g) was filled with 35 g of mixed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red pepper paste 64%, vinegar 2%, starch syrup 13%, sugar 14%, coke 6%, soju 0.4%, crushed garlic 0.3%, ginger 0.3%), placed in a can (RR-90), seamed using a vacuum seamer, and sterilized for either Fo 9 or 11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After sterilization, we measured the pH,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mino-N,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fillets. We did not detect viable bacterial counts in cans subjected to either sterilization treat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between the two. In fact, most sensory evaluators reported difficulty distinguishing the products. Thus, our results show that sterilization for Fo 9 min is preferable to that for Fo 11 min in the preparation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AEDA법에 의한 한국산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1. 시판 멸치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a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1.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2-318
    • /
    • 1999
  • Volatile compounds in salt fermented anchovy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 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V SDE/ 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8) in sample were ethyl methylbutanoate(candy like/sweet) and 2 ethyl 3,5 dimeth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Besides these compounds, 6 odorants such as ethyl 3 methylbutanoate(sweet/floral/ candy like), 3 methylbutanal(dark chocolate like), (Z) 4 heptenal(rancid/fish like), (methylthio) propanal(soy sauce /baked potato like), (E,Z) 2,6 nonadienal(melon /cucumber like) and (E,E) 2,4 decadienal(fatty/cooked soybean like) were potent in odor value of salt fermented anchovy. Seven amino acids having high taste value in sample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sour and umami taste), lysine, alanine(sweet), histidine, valine, and methionine(bitter).

  • PDF

A Study on the Rapid Hydrolysis of Fish Using Prote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Anchovy Jeotkal

  • Kim Sang-Ho;Kim Young-Min;Seong Hee-Kyung;Choi Su-Il;Kim Seon-Bong;Han Bong-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36-43
    • /
    • 1999
  • A study on the hydrolysis of anchovy using prote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anchovy jeotkal (a salt-fermented fish)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rapid process of liquefied anchovy jeotkal. Five kinds of proteolyt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sp.-l, Photobacterium sp., Volcaniella sp., Staphylococcus sp.-2 and Bacillus sp., were isolated from the anchovy jeotka1 that fermented with $20\%$ NaCl at room temperature for 2 months. Those grew well at $40^{\circ}C$, pH 7.0 on TPY broth with $2.0\%$ NaCl. The optimal hydrolysis temperature, pH, time and proteolytic bacteria densities for hydrolysis of minced anchovy were$40^{\circ}C$, 7.0, 6 hours and $1.8\times10^8$ cells/g raw anchovy, respectively.

  • PDF

감마선 조사된 멸치액젓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 육홍선;차보숙;김동호;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92-1200
    • /
    • 2004
  • 감마선 조사(10 kGy)된 멸치 액젓의 유전독성 학적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과 E. coli WP2 uvrA 균주를 사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Escherichia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활성대사효소계 미적용 및 적용하에 실시하였고, ICR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in vivo 소핵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감마선 조사(10kGy)된 멸치액젓은 위의 3가지 in vitro실험에서 비조사 된 멸치액젓과 마찬가지로 음성으로 나타났다. 또,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멸치 액젓의 in vivo소핵세포실험에서도 소핵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10kGy까지 감마선 조사된 멸치 액젓은 위 수행된 in vitro 및 in vivo 유전독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음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전독성학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in Olive Oil)

  • 권순재;이재동;윤문주;정재헌;제해수;공청식;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75-1184
    • /
    • 2014
  • 상온에서 저장이 용이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멸치를 fillet 작업한 후 식염 15%를 첨가하여 $5^{\circ}C$에서 15일간 숙성시킨 후 $16{\pm}1^{\circ}$에서 1시간 냉풍건조 시켰다. 반건조된 멸치육젓필레 85 g을 올리브유 60 mL와 함께 통조림관에 살쟁임한 후 이중밀봉기로 밀봉하여 Fo 값이 9 및 11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을 제조하였으며, 각 살균 조건별로 제조한 시료에 대하여 내용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o 값이 9 및 11분이 되도록 살균한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의 경우 모든 살균조건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외관도 변함이 없었다.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의 일반성분은 원료 멸치에 비해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고, 조지방, 조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증가하였다. 수분 함량의 경우 Fo 값이 높게 살균될수록 감소하였고, 조지방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조단백질과 회분은 함량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살균조건의 차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원료 멸치보다 가열살균 처리한 멸치육젓필레 기름담금통조림의 그 값이 더 높았다. 그리고 Fo 값이 높게 살균된 제품의 휘발성염기질소 값이 더 컸다. TBA 값은 고온가열 살균 후 약간 감소하였고, 가열처리정도에 따른 TBA 값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아미노질소 함량은 Fo값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였고, 염도는 고온가열처리 정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색조의 경우 Fo 값의 증가에 따라 명도, 적색도 및 색차의 값은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황색도는 미미하나마 그 값이 감소하였다. 각 시료 통조림의 조직감을 레오메터로써 측정한 결과 Fo 값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조, 냄새, 맛 및 조직감은 Fo 값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고, 관능검사원들이 관능적 차이를 구별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살균원가가 가장 저렴하고 상업적 살균 조건에도 만족되는 Fo 값 9분으로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멸치액젓 유래 저분자 물질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Biocompounds Purified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 최근표;서정길;김상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1-326
    • /
    • 2003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biocompounds purified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fermented at $15\pm3^{\circ}C$ for 5 years were investigated. The fermented anchovy sauce showed 5 peaks on gel chromatography pattern. Antioxidant activity of peak 2 was $82.7\%$ followed by $42.6\%$ of peak 1. Main antioxidant compounds of peak 1 were glutamic acid and lysine, but those of peak 2 were not confirmed by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코오지를 이용한 속성 저식염 멸치젓의 미생물상과 효소활성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y in Processing of Accelerated Low Salt-Fermented Anchovy by adding koji)

  • 백승화;임미선;김동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2-397
    • /
    • 1996
  • 저식염 멸치젓을 속성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Asp. oryzae와 Bacillus sp.로 만든 zdh지를 첨가하고 숙성중 미생물상 변화와 효소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젓갈 숙성 중 미생물상은 단백질분해균과 혐기성 균수는 숙성 40일경, 호기성 균수는 20일경에 많았다. 단백질분해균과 지방질분해균, 호기성균, 혐기성 균수는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젓갈 숙성중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숙성 20일 경에, 지방질 가수분해효소는 숙성 30일 경에 높았다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는 Asp. oryzae 코오지 첨가구가, 지방질 가수분해효소는 Bacillus sp. 코오지 첨가구에서 높았다.

  • PDF

B. subtilis JM3 Pretense로 제조한 멸치액젓의 품질특성 (Qualify Characteristics of Accelerated Anchovy Sauce Manufactured with B. subtilis JM3 Pretense)

  • 박종혁;유상권;김영명;김동수;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00-605
    • /
    • 2006
  • 본 연구는 멸치액젓의 풍미를 유지시키면서, 발효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숙성된 멸치액젓에서 단백분해능이 뛰어난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를 분리 정제한 다음 숙성초기의 멸치액젓에 첨가하여, 멸치액젓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B. subtilis JM3 단백분해효소 첨가량 및 가수분해시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고, 젖산량은 4%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제일 높았다. 아미노질소, 휘발성염기질소 및 가수분해도는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갈변도는 4% 효소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가수분해가 가장 높게 나타난 2시간째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단백분해효소 첨가구가 향 및 맛에서 좋은 평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