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al pige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초

Parasite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by fecal examination from some areas in Seoul, Korea

  • Kim, Se-Min;Lee, Sang-Eun;Kim, Neunghee;Kim, Hera;Kim, Youngseob;Lee, Juhyoung;Cho, Shin-Hyeong;Lee, Won-Ja;Park, Bae-Keun;Jung, Bae-Dong;Kim, Hyeon-Cheol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7-8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helminths parasites from collected fecal samples of 410 feral pigeons (Columba livia) in 3 different areas of Gwangjin-gu, Seongdong-gu and Dongdaemun-gu in Seoul from December, 2011 to July, 2012 in Korea. The fecal samples were examined through by the centrifugation method using formalin-ether solution. The overall prevalence of parasites in the pigeons was 29.27% (120/410). Two nematodes (Tetrameres spp. and Capillaria spp.) and one protozoa (Eimeria spp.) were identified. In the case of nematodes, Tetrameres spp. dominated numerically (58, 14.15%), followed by Capillaria spp. (10, 2.44%) and oocysts of Eimeria spp. were detected in 78 cases (19.02%). This investigation introduces the result of examination on the prevalence of parasites in feral pigeons from some areas in Seoul for the first time.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깃털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Feathe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이상희;김명진;이유진;한아름;심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92-504
    • /
    • 2014
  • 집비둘기는 도시지역에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축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비둘기 알은 생물 자체를 죽이지 않고도 생물축적의 경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료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알은 유기 오염물질 축적은 잘 되는 반면, 납, 카드뮴 같은 특정 중금속은 저농도로 축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금속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을 위해 대체 시료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비둘기의 세척깃털을 이용하여 중금속 축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도시지역인 서울 한강공원과 농촌지역인 함평군 함평공원을 대상으로 2013년 4월~5월에 집비둘기 개체 포획 및 알 채집을 실시하였고, 생체 조직, 세척깃털, 알의 중금속 5종(Pb, Cd, Total Cr, Ni, As)에 대한 축적 농도를 분석하였다. 중금속 5종의 생체 조직 내 축적 특성을 보면, 납(Pb)과 카드뮴(Cd)은 나머지 3종(Total Cr, Ni, As)에 비해 생체 조직 내 축적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납은 다른 중금속에 비해 지역 간 비교에서도 두드러진 농도 차이를 보였는데, 뼈, 간, 혈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도시지역인 한강공원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깃털에서도 나타났다. 알 시료(알 내용물, 껍데기)는 깃털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 납이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깃털 중에서는 꼬리깃과 날개깃이 각각 신장 및 뼈 조직의 납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금속 배출경로 요소(깃털, 알, 배설물 등) 중 하나인 깃털로 축적되는 납 농도는 다른 요소(예: 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환경 오염요소(대기, 토양, 먹이 등) 내 납 농도가 서로 차이나는 지역들 내의 집비둘기의 생체 축적농도 차이를 깃털이 어느 정도 반영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알 껍데기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Eggshell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박종혁;이유진;심규영;김명진;신영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6호
    • /
    • pp.561-5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알 껍데기 시료의 중금속 축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알의 중금속 축적을 연구한 자료들을 정리하여 알 껍데기와 내용물의 축적특성을 비교 검토한 후 집비둘기 알 껍데기의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집비둘기(Columba livia)를 포함한 19종의 조류 알을 대상으로 카드뮴(Cd) 등 8종의 중금속 축적농도를 검토한 결과, 알 껍데기 중금속 농도의 변동계수(표준편차/평균)는 알 내용물에 비해 대체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알 내용물 속 배(embryo)가 중금속 독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생리적 항상성 통제기작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알 껍데기는 서식환경 등에 따라 중금속 축적 변동이 알 내용물보다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서식환경에 따른 중금속 축적 변동을 알 내용물보다는 더 적절히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집비둘기 알 껍데기가 체내 장기 조직 등의 유해 중금속(납, 카드뮴) 축적농도 패턴을 반영하는 지를 검토한 결과, 도심지역 한강공원이 체내 장기 조직 등에서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높은 납과 카드뮴 축적농도를 보였고, 이러한 차이는 알 껍데기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알 내용물에서는 지점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 내용물 속 배(embryo)의 안전한 발달을 위해 중금속 축적을 통제하는 항상성 기작이 알 내용물에 더 강화되어 나타나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알 껍데기가 서식환경에 따른 중금속 축적 변동을 알 내용물보다는 더 적절히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서울지역에 서식하는 집비둘기 Columba livia의 깃털을 이용한 중금속오염 모니터링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aminations using Feathers of Feral Pigeons Columba livia in Seoul)

  • 김정수;이두표;구태회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91-96
    • /
    • 2003
  • 집비둘기 Columba livia 깃털의 중금속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서식하는 집비둘기를 서식지 환경에 따라 공단, 상업, 공원 및 주거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들을 채집,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다. 깃털 중 철(Fe)의 농도는 공원지역에서, 망간(Mn)은 공업지역과 공원지역에서, 구리(Cu)는 공원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각 원소별로 지역간에 유의차가 존재하였다(ANOVA, p<0.05). 또한 아연(Zn)은 도심상업지역에서, 납(Pb)은 공업지역에서, 카드뮴(Cd)은 주거지역이 다른지역에 비해 약간 높았지만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에서의 중금속농도와 깃털에서의 중금속농도와의 상관관계는 구리(r²=0.983, p<0.01)와 카드뮴(r²=0.632, p<0.01)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나타났지만, 다른 원소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오염 지표종인 집비둘기의 생체조직 내 중금속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Tissue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as a Bio-monitoring Indicator)

  • 이장호;이종천;박종혁;이유진;심규영;장희연;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502-51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환경오염 모니터링 지표종인 집비둘기(Columba livia)의 생체조직 내 중금속 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환경시료은행 자체 모니터링 지점(한강공원, 함평공원)에서 채집된 집비둘기 시료를 분석하고, 집비둘기를 포함한 국내외 조류 총 17종의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생체조직 내 중금속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유해 중금속인 카드뮴은 한강공원과 함평공원 모두에서 신장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비율을 보였고, 국내외 집비둘기 사례와 기타 사례 총 34개 중 31개에서도 조류종과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 신장이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나타냈다. 유해 중금속인 납은 한강공원과 함평공원 모두에서 뼈가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나타냈으며, 기존 연구사례 총 30개 중 17개에서 뼈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신장(10개 사례), 간(3개 사례)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납의 주요 축적 조직은 뼈라고 볼 수 있다. 아연은 한강공원에서 간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함평공원에서는 뼈에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기존 연구사례 총 16개 중 13개에서는 뼈에 가장 높은 축적농도 비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간이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 등을 중금속의 생화학적 축적특성(뼈 생성과정에서 납-칼슘의 경쟁관계, 중금속 흡착 단백질(메탈로치오네인)의 역할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는 향후 집비둘기의 오염물질 축적 모니터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환경시료은행 시료 채취, 분쇄, 저장과 개선방안 고찰 (Sampling and Cryogenic Pulverization and Storage of Environmental Samples and Improvement of Operating Procedure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 이장호;이종천;김명진;한아름;이유진;바데 라빈드라;김민성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23-839
    • /
    • 2012
  •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SBs) are playing pivotal role in monito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ecosystem based o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collected regularly and stored in cryogenic condition. In Korea,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was established in 2009 an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sampling, and cryogenic milling and storage had been prepared during 2007-2010. Since then, the tentative SOPs for the seven kinds of specimens (shoot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leaves of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and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eggs of Feral Pigeon (Columba livia var. domestica), muscles and organ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Freshwater Bivalve (Unio (Nodularia) douglasiae)) have been put to test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s well against the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The SOPs were improved by reflecting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nd the following discussion regarding the selection of specimen (Feral Pigeon suffering from a control management), sample size (a problem of decreasing number of sampling trees related to increasing sampling time) and period (a problem related to a bud growth), and sampling methods etc.. In addition, barcod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specimen information,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cryogenic storage to regulat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he liquid nitrogen level were also developed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control of the samples. Lastly, the safety guide and emergency protocol were augmented to guarantee a safe work environment with the cryogenic facility. These improvements of the SOP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NESB.

대기 및 토양 오염의 지표로서 비둘기 조직의 연농도 (Lead Concentrations of Pigeon's Tissue as Indicator of Lead pollution in Air and Soil)

  • 변영우;황태윤;이중정;김창윤;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15-26
    • /
    • 1996
  • 환경오염의 생물학적 감시수단으로서의 비둘기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기 및 토양의 오염이 다르다고 생각되는 대구시 도심지의 도로변, 대구시의 공원과 경주시에서 비둘기를 포획하여 각 조직내 연농도를 측정하고, 그 장소에서 대기 및 토양내의 연농도를 측정하였다. 대기 중의 연농도는 대구시 도심지역이 $0.11{\mu}g/m^3$, 대구시 공원지역이 $0.05{\mu}g/m^3$, 경주시가 $0.03{\mu}g/m^3$을 대구시 도심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연농도는 대구시 도심지역이 $4.96{\mu}g/g$ 대구시 공원지역이 $2.65{\mu}g/g$, 경주시가 $0.01{\mu}g/g$로 대구시 도심지역이 역시 가장 높았다. 비둘기 조직내 연농도는 대구시의 도심지 도로주변에 서식하는 비둘기에서 위장을 제외한 간장, 폐장, 신장, 대퇴골, 혈액에서 대구시 공원 비둘기와 경주시의 비둘기보다 유의하게 높은 연농도를 보였으며(p<0.01), 비둘기의 조직내의 연농도는 세 지역 모두 대퇴골에서 가장 높았다. 비둘기의 각 조직 중 연농도와 대기 중 연농도는 대퇴골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외 위장을 제외한 간장, 신장, 혈액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토양 중 연농도도 대기 중 연농도와 마찬가지로 대퇴골에서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간장, 신장에서도 토양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장기별로 대기 중 연농도가 토양의 연농도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아 비둘기 조직내 연 축적은 소화기를 통한 흡수보다 호흡기를 통한 흡수가 더 주된 경로로 추측된다. 비둘기의 조직간의 연농도는 혈액과 신장간의 연농도의 상관계수가 0.4850,대퇴골과 폐장간의 상관계수가 0.4848, 대퇴골과 간장의 상관계수가 0.4842로서 유의 한 상관관계(p<0.001)를 보였으며, 그 외의 조직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대도시 중심지에서 서식하는 비둘기에서 위장을 제외한 모든 채집조직에서 대도시 공원이나, 중소도시에 서식하는 비둘기의 조직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은 연농도를 보였으며 이 세 곳에서 대기와 토양내의 연농도와 각각 비둘기 조직내의 연농도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오염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 가능한 동물 중 대도시에서 흔히 구할 수 있고 다른 동물에 비해 그 지역의 오염 정도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생리적, 행동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대기 및 토양 오염에 대한 생물학적 지표로 비둘기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비둘기 깃털을 이용한 납 오염 모니터링 (The Use of feral Pigeon's (Columba livia) Feathers as a Monitor for Lead Pollution in Korea)

  • 남동하;이두표;구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238
    • /
    • 2002
  • 비둘기 깃털을 이용하여 섬지역(경기도 덕적도), 도심지역(서울), 공단지역(여천, 안산, 울산, 부산)의 납 오염 수준을 모니터링 해본 결과, 깃털의 평균 납 농도는 섬지역이 2.55 $\mu\textrm{g}$/wet g, 도심 지역이 4.99 $\mu\textrm{g}$/wet g, 공단지역이 3.08~9.01 $\mu\textrm{g}$/wet g, 으로 각 지역간에 유의한 농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다만, 여천 공단의 경우 다른 공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섬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납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각 지역간 깃털의 납 농도는 대기오염 농도와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 농도가 비교적 낮은 덕적도와 여천 공단의 경우 간과 깃털 조직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p<0.05) 그외의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간 농도에 비해 깃털의 농도가 높았으며, 두 조직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덕적도와 여천 공단지역의 깃털 중 납의 대부분은 체내 조직으로부터 깃털로 이행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체내 조직에서 깃털로 이행된 양보다는 외부로부터 깃털에 부착된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Application of Topical Rocuronium Bromide Dosing by Ocular Size in Four Species of Wild Birds

  • Haerin Rhim;Sunjun Jung;Namsoo Kim;Jae-Ik H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4호
    • /
    • pp.59.1-59.13
    • /
    • 2023
  • Background: Rocuronium bromide has been evaluated as a mydriatic agent in birds, but the species applied were limited and the dose and effect were variable.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opical rocuronium bromide as mydriatics in 4 species according to horizontal palpebral fissure length: Feral pigeon (Columba livia),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Northern boobook (Ninox japonica), and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Methods: A total of 32 birds (8 for each species) were included as pre-releasing examination. Rocuronium bromide was instilled in one randomly selected eye of each bird based on palpebral fissure length criteria (0.5 mg/50 µL for pigeons, 1 mg/100 µL for kestrels and boobook owls, and 2 mg/200 µL for eagle owls). The contralateral eye was used as control and treated with normal saline. After instillation of the drug, pupil diameter, pupillary light reflex, intraocular pressure,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were evaluated at 10 min intervals up to 180 min and at 30 min intervals up to 360 min.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mydriasis was obtained in all birds (p < 0.001). However, in boobook and eagle owls, marked mydriasis persisted until 360 min. Side effects including corneal erosion and lower eyelid paralysis were common, which was observed in 26/32 birds. Blepharospasm was also noted during this study. No systemic adverse signs were observed. Conclusions: Rocuronium bromide could be a good mydriatics option for 4 species of bird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lowest effective dose to reduce drug-related sid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