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g-shui(風水)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5초

풍수이론으로 바라 본 주거환경의 길흉형국 - 은평뉴타운을 중심으로 - (Feng Shui Theory Analysis Of Living Environment Layout of Fortune - Focused on Eunpyeong New Town -)

  • 허종화;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5-62
    • /
    • 2016
  • 본 연구는 풍수이론으로 은평뉴타운을 분석하였다. 우선 주거지를 분석하기 위한 틀(천지인합일, 인지제의, 대환경상지분석, 소환경상지분석, 동선상지분석, 주거지조향분석)을 구성하였다. 그 틀로 은평뉴타운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광역적으로 분석한 대환경상지분석에서 은평구는 서북향에 산세가 열려 있으므로 겨울 서북풍에 노출되어 불리한 풍수형국으로 나타났다. 소환경상지분석은 사신수형국 기준으로 1지구와 2지구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1지구는 배수임산으로 흉지(凶地), 2지구는 비보풍수인 실개천의 복원으로 배산임수의 길지(吉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비보풍수 방식을 적용하여 대상지를 길지로 보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물(水)의 풍수론적 시각에서 본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성의 해석에 관한 연구 - 하회.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Spatial Composition and Location of Traditional Village from the Water of Feng-Shui Theory - in the case of villages of Hawei and Yangdong -)

  • 이응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13-222
    • /
    • 1999
  • This study, from conditions connected with water in Feng-Shui theory, is to find out their influence of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udied villages, Hawei and Yangdong, and then to offer the result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village in the future. The study method is to analyze topography by the map and present state of villages studied, to interprete them on the base of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chi, and then to analyze the relevancy of Feng-Shui theory of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are to be following: Houses of Hawei village are situated on the inside of a winding stream of waterway, while those of Yang dong village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a winding stream of waterway. In case of Hawei village, showed the close inte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present houses and running speed of waterway by positin. Judging from the location, orientation and surroundings of mountains and waterway, topographical composition of Hawei village is Duk su guk, but that of Yang dong village is Juang feng guk. Comparing with Yang dong and Hawei in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the conditions of waterway as being locational factor, for example, the geomancy of situation, orientation, and phisical phenomena(lenth, width, and depth of waterway in front of village) of waterway, ar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in Hawei village being situated on even land than in Yang dong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 PDF

영남지방 비보(裨補)의 기원(起源)과 확산(擴散)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An Origin and Diffusion of the Bibo in Youngnam Region)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8-64
    • /
    • 2001
  • 영남지방 비보의 기원은 가야와 신라의 불교적 비보사탑에서 비롯하며, 고려 및 조선조를 거치면서 국도(國都)에서 풍수적 비보의 성행은 영남지방 비보경관의 조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비보의 확산양상은, 조선 초기까지는 수위(首位)의 공간적 위계(空間的 位階)를 지니는 국도(國都)(개성 한양)를 비보핵심지(裨補核心地)하여 주변지역(周邊地域)의 부 목 대도호부(府 牧 大都護府) 등 대읍(大邑)의 차위중심지(次位中心地)로 확산되고, 대읍(大邑)이 다시 비보중심지(裨補中心地)가 되어 순차적으로 인근 군현(郡縣) 단위의 중소 읍치(中小 邑治)로 비보가 확산되었다. 이윽고 조선 중기 이후 좌지사비(左地士族)들의 촌락 개척과 맞물려 읍치(邑治) 외곽의 주요 士族(사족)의 주거지로 비보가 파급되어 나갔다.

  • PDF

생활주거환경의 방위 만족도에 대한 예측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Forecast in Directions satisfaction)

  • 이옥화;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19
    • /
    • 2014
  • 본 연구는 생활주거환경에서 풍수 명리학의 두 학문을 적용하여 방위 만족도를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8월부터 12월까지 일반인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10대에서 60대를 기준하여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크루스칼-윌리스 검정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개인적인 특성을 생활주거환경에 적응하였을 때 방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거에서 두침의 방위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방위만족도에 대한 예측의 효율성이 증대하였음을 판단된다. 본 연구시사점은 풍수 명리학의 주거환경예측에 대한 방위 만족도가 높게 되는 경우는 주거구조와 구조형태에서 양질의 삶이 항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비쿼터스 주택의 양택론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YangTaek-Theory in Ubiquitous House)

  • 이주현;최영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7-65
    • /
    • 2005
  • This research is about the methods in making computers understand the situation in regards to interaction between House and Human Behavior. In this paper, house is the ubiquitous house, as a future house, adopting ubiquitous computing presenting the interrelation of human and house - interior space, architecture, nature. And the Context Aware Model of ubiquitous house is proposed to embody the ubiquitous house.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systematize the context in the ubiquitous house and suggest a theoretical basis to embody the ubiquitous house interacting between the House ud Human Behavior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ext Aware Model based on FengShui-Theory(sp. YangTaek-Theory). The ubiquitous house is not what operates passively by human but a information-oriented house that can predict the situation and the living patterns of human. For a information-oriented house and informal living context at home, this paper uses FengShui-Theory whose central concern is the interrelation of human and nature. Through these concepts, this research will suggest how to systematize, control and manage the context at home. In the end, it is expected to offer a theoretical basis to embody the intelligent house and apply an environment design communicating between the computers and human.

명당 생가터의 지형 공간구조와 지자기교란에 관한 분석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Topography Spatial Structure and the Geomagnetic Disturbances for the Ideal Spot of Birthplaces - In the Case of Jeollanam-do Area -)

  • 김종섭;김명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43-53
    • /
    • 2012
  •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the topography spatial structure and geomagnetic disturbance for the ideal spot of birthplaces in Jeollanam-do area. Here, representating the ideal spots for birthplaces means those homes that are wellknown to a lot of local residents, It also it speaks on the birthplaces where famous people spend their childhood. We chose three such birthplaces and analyzed them into Feng-Shui regarding the topography spatial structure, and also analyzed them for the geomagnetic disturbances. On the basis of such an analysis, we found a relation between the ideal spot of birthplaces and the geomagnetic disturbances. We studied the impact of geomagnetic disturbances on ideal spot of birthplaces. As a result, three birthplaces turned out to be an ideal spot with regards to our analysis of Feng-Shui and the topography spatial structure, also they had uniformly distributed almost no geomagnetic disturbances with stable the structure of the earth's stratum. Consequently we could know that the ideal spot of birthplaces did not a little affect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of the birthplace residents by liveliness while they lived fetal life until childhood.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의 배치형식에 투영된 풍수구조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s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Palaces of Joseon Dynasty)

  • 정우진;고제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39
    • /
    • 2016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에 나타난 핵심전각의 배치형식을 주산과의 관계로 검토하여 궁궐 축선에 투영된 풍수개념과 그에 따른 계획원리를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 건국 직후 창건된 경복궁은 거대한 분지의 중앙에 입지한 자금성과는 달리 도성 서북쪽에 치우친 곳이면서 백악산의 산줄기가 끝나는 지점에 입지하였다. 태종 때 창건된 창덕궁도 마찬가지로서 삼각산의 또 다른 지맥인 응봉 아래에 궁궐터가 마련되었는데, 모두 산의 정기를 궁궐에 담으려 했던 의도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념은 구체적으로, 궁궐 내부의 정전, 편전, 침전 등 임금과 관련된 주요 건물의 배치가 주산의 내맥에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이행되었다. 특히 대내에 들어와 있는 아미사는 궁궐터가 정해졌던 근거지형이기도 했지만 전각배치가 이루어진 기준점으로 작용하였다. 아미사를 기점으로 하는 축선은 풍수적 의미의 좌향이 건축적 형식으로 구현되는 형식이었으며, 주례에 근거한 전조후침과 삼문삼조를 실현하는 형식으로 통합되어 나타났다. 한편 양궐 모두 아미사가 혈진처(穴盡處)를 이루고 있는 곳 가까이에는 임금의 정침이 우선적으로 입지되었다. 침전의 남쪽에는 보통 편전이 배치되었는데, 이는 임금이 아미사 혈의 순수한 지기를 가장 먼저 점유하고 누리고자 하는 실리를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중축선 배치가 뚜렷한 경복궁의 경우, 하나의 주맥 하에 침전, 편전, 정전이 일원적으로 배치되었고, 내맥이 분산된 창덕궁은 정전과 침전의 축이 형편에 따라 나뉘어 졌다. 정전의 입지형식은 최소한의 풍수적 이점을 취하되 왕의 권위를 드러내는 공간의 질서와 형식이 보다 중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봉황사상을 통해 본 조선시대 지방읍치의 지형해석과 공간개조 (A Study on Topography Interpretation and the Space Remodeling of the Local City by the Phoenix Thought)

  • 신상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63-7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opography interpretation and the space remodeling characteristic of the city by the feng shui though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1. remodeling of the city in the Phoenix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background wants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in the desire to confirm the implications could be. 2. Six cities have confirmed that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by the idea that Phoenix, paulownia, a common landscape elements such as bamboo forests, buildings and places, the egg of the phoenix in relation to landscape, such as Phoenix said that the building area a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lements.

  • PDF

양택론(陽宅論)과 농촌지역(農村地域) 전통가옥(傳統家屋)의 배치형태(配置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Yangtaeknon and Arrangement Forms of Rural Traditional House)

  • 장활진;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37-47
    • /
    • 2000
  •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rural traditional houses which upper-class in Chosun Dynasty Investigation of arrangements and compositions based on theory of Yangtaeknon. 1) Feng-shui Theory : About people who have taker profits by the ground. 2) Eumtaeknon : Locating graveyards brings to the descendants profits. 3) Yangtaeknon : The descendants will have taken profits by arrangement forms of the hous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raditional house by two methods. First method is study on arrangement forms, second is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Yangtaeknon.

  • PDF

중국 전통마을의 반월당(半月塘)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Banwoldang(Half-moon shaped Pond) at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 왕교;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1-129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전통마을에만 반원형의 독특한 형태로 나타난 반월당(半月塘)의 위치와 종합적 기능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에서 밝힌 결과는 반월당이 중국 전통 마을에 나타난 시기는 원(元)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고, 현재 반월당은 기후가 온난하고 농업과 상업이 발달되어 부유층들이 모여 사는 중국 양자강(揚子江)이남 지역의 전통마을에서 주로 찾아 볼 수 있었다. 반월당은 대부분 풍수적 목적으로 가족 사당 앞에 조성되었다. 이는 사당을 보호하는 것이 전체 가족을 수호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의 주요한 풍수적 기능으로는 과거급제, 재물을 모으는 것, 불길을 억누르는 것 그리고 배산임수(背山臨水)형 풍수구조를 보완할 목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 밖의 기능은 마을 공동체적 행사와 휴식, 양어, 방어 기능 등으로 활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전통마을에서 반월당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가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 중국의 현대식의 마을에서는 이를 등한시 여겨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월당은 중국의 독특한 전통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보전해야 될 중요한 유산인바 그 의미와 가치는 중국의 전통 문화로서 계승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