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fixa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4초

자가 슬개건과 네 겹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Comparis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genous Patellar Tendon versus Quadruple Hamstring Tendon)

  • 김석중;권오수;최동원;송호욱;강현택;인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4
  • 목적: 자가 슬개건과 네 겹의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슬개건 군이 35.9${\pm}$3.8개월, 슬괵건 군이 27.0${\pm}$2.4개월이었다. 재건술 시 사용한 이식건은 자가 슬개건 군이 20예, 자가 네 겹 슬괵건 군이 21예였다. 최종 추시시 결과 평가는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평가 기준, KT-2000 관절계, 방사선학적 검사와 압통, 감각 이상 등 이식건 공여부 병변을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KDC 평가 기준상 B(거의 정상) 이상의 양호한 결과를 보인 비율이 자가 슬개건 군에서 8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76.2%로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자가 슬개건 군에서 평균 1.50${\pm}$1.31 mm, 네 겹 슬괵건 군에서 1.89${\pm}$1.05 mm로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 사진상 네 겹 슬괵건 군에서 슬개건 군보다 현저한 터널 확장 소견을 보였다. 이식건 공여부 평가상 슬개건 군에서 30%, 네 겹 슬괵건 군에서 9.5%의 합병증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횡고정 핀 및 Intrafix 고정 방법을 이용한 자가 네 겹 슬괵건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임상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공여부 합병증은 적어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좋은 술식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고령환자에서 발생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AO/OTA 31-A2)의 치료 시 골수강내 금속정의 길이에 따른 추시 결과 (The Difference between Short and Long Intramedullary Nailing as the Treatment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AO/OTA 31-A2) in Elderly Patients)

  • 신원철;이은성;서근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32
    • /
    • 2017
  • 목적: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골수강내 금속정의 길이에 따른 방사선적, 임상적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방사선 영상상 AO/OTA 분류 31-A2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되어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한 뒤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5세 이상의 환자 139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을 짧은 골수정(I군)과 긴 골수정(II군)을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106예, 33예로 조사되었다. 방사선적인 평가로 골절의 정복 정도, 골유합까지의 기간, 합병증 발생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 혈색소, 수술 시간, 수술 중 출혈량, 수혈 유무, 입원 기간 및 최종 추시 시 Charnley 고관절 점수를 통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단순 방사선 검사상 전 예에서 good 또는 acceptable한 정복 상태를 얻었다. 골유합까지 평균 4.8개월이 걸렸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II군(57.87분)이 I군(45.65분)보다 수술 시간이 길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3). 수술 중 출혈량의 경우 II군(288.78 ml)이 I군(209.90 ml)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46).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는 두 군 모두 만족스러웠다. 결론: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후내측 골편을 동반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골절 부위의 정복을 잘 시행한 경우 긴 골수정과 짧은 골수정 모두 만족스러운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