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caregiv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79초

요양보호사의 마음건강, 관점수용, 노인 돌봄태도 및 정량 뇌파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Quantitative Encephalogram among Caregivers)

  • 원희욱;손해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8-9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quantitative encephalogram among caregivers. Methods: In this mixed method research, 14 female caregivers at an elderly care facility in Y city were participated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31st, 201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Brain wave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encephalogram in the prefrontal lobe. High frequency and high level of care task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of brain waves, caregivers experienced high level of physical strain &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Mental fitness (p<.05) and perspective taking (p<.001) were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the elderly. Moreover, physical strain & stress wa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p<.05, p<.001). High frequency and high level tasks were excretion and position change & movement care related task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as an evidence for supporting care tasks based on concrete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caregivers using self-reported index as well as neurophysiological indicators including brain waves.

뇌졸중환자 가족간병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for Patients with Stroke)

  • 권원안;김한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2호
    • /
    • pp.25-3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crease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of 156 patients with stroke who consented to be interviewed. Among 156 caregivers, we analyzed 120 caregivers. We evaluated on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Result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with CVA were high at 82.55% in male, 55.83% in infarction, 53.33% in the left hemiplegia, 47.50% in sixties, 80.83% in 1 recurrence rate, 27.50% in 1-2 years of disease period.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were high in above sixties, female in gender, existence in religion, married in marital status, high school in educational level, below 1 million-won in monthly income, spouse in relationship with patient, below 1 years in total caring period. Third, it showed that stress of family caregivers above 3.0 score has 8 items. Forth, the patient's characteristic that have the influence on the stress was significant in the period of disease(p<0.05).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caregivers that have the influence on the stress were the monthly income, caring period(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was correlated with the time in hospital, the income and nursing period.

  • PDF

노인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부양자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 using Day Care Service)

  • 노현정;최연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using day care servic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 different day care services in D city, with a total of 146 female caregivers as participants. All participants were at home caregivers whose patients were senior citizens older than 65.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0 of 2008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Quality of life among caregivers of day care servic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tate of health, other caregivers, job, and family income. Quality of life among caregivers showed correlation with caregiving burden. The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were state of health, other caregivers, job, and family income and caregiving burden. A combination of these predictors accounted for 43.5%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using day care services is influenced by caregiving burden. Development of day care service programs is necessary in order to reduce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의 간호요구에 따른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감 (The Care 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 based on Nursing Needs of Long-term Care lnsurance Grade)

  • 김미경;박다혜;안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7-16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의 간호요구도와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감을 경감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J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받은자와 함께 거주하며 돌봄을 제공하는 주 수발자 15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7.0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의 간호요구도 중 심리사회적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의 일반적 특성 중 장기요양보험 수급유형과 장기요양 등급에 따라서는 신체적 간호요구와 심리적 간호요구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 수발자의 부양부담감 중 신체적 부양부담감이 가장 높았고, 노인 장기 요양 보험 등급자과의 관계가 배우자인 경우와 수입이 적고, 여자인 경우 부양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는 1일 간병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보험급여유형이 일반에 비해 기초생활수급자가, 주 수발자의 성별이 남자에 비해 여자가 부양부담감이 높았으며, 돌봄 제공자의 수가 많을수록 부양부담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이 배우자폭력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 to Partner Violence among Adult Children Caregiver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재엽;황현주;전지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235-263
    • /
    • 2016
  • 본 연구는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이 배우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부산의 각 지역 데이케어센터 및 요양기관의 치매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기혼인 치매환자의 자녀 22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고, 빈도분석, 평균비교 및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울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37.6%, 즉 3명 중 1명 이상의 치매환자 자녀가 배우자에게 지난 1년간 적어도 한차례 이상 정서적 폭력이나 신체적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나 배우자폭력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우울 평균은 1.00으로 일반인(M=0.73)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부양부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치매환자 자녀의 부양부담은 배우자폭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양부담과 배우자폭력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우울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부담, 우울을 줄이고 배우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요양보호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의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방문목욕 이용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female Elderly using a Long-Term Care: Centering on Users of Home-Visit Bath)

  • 신건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45-135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중 방문목욕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방문목욕을 받으면서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는 무엇인가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보호서 비스를 이용중인 8명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하고 서비스 이용과정 중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경험을 질적자료로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신체적 측면에서는 방문목욕서비스를 받는 동안 변화된 여성노인의 신체적 요인을 살펴보면 서비스 이용 후 몸이 건강해지고 편해졌으며 신체적으로도 나아지고 있다고 믿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신의 신체적 장애로 인해 방문목욕을 받는 것에 대해 자신의 몸을 보이는 것을 추잡하고 부끄럽게 여기다가 방문목욕을 편하게 여기게 되었다. 또한 요양보호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목욕서비스 이외에 정서적측면에서 지지를 받음으로 자신에 대한 존재가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 결과 장애로 인해 부끄럽고 불편하며 추잡스럽게 자신을 여기던 부정적 태도에서 장애를 지닌 자신의 신체적 상태를 수용하고 받아들임으로 방문목욕서비스를 편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변화의 과정이 나타나 장애수용이 현실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계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기요양보호에서 노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정서적 안정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여 현실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의 개입과정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에게 있어 긍정적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 요양보호사임을 고려할 때 단지 요양보호사로써의 역할을 벗어나 노인의 강점과 긍정성을 발견하고 강화시키는 멘토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의 마련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장기요양기관, 방문요양기관, 복지관 등과 건강보험관리공단이 통합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권역별로 장기요양보호를 이용하는 가정 및 긴급·위기가정에 대해 지원하는 통합사례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뇌손상 가족 간병인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The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amily Care-Givers who Have a Patient with Brain Damage)

  • 전은미;이성아;구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36-344
    • /
    • 2017
  • 본 연구는 뇌손상 진단을 받고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환자의 가족 간병인 340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증상을 알아보고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일반적 특성, 간병활동 특성, 근골격계 자각 증상이였다. 본 연구의 조사 기간은 2014년 3월부터 4월이며, 재활병원 및 요양병원에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에 따른 자각증상 호소율은 신체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요인분석의 결과는 목의 경우 초졸의 학력이 영향을 끼쳤고, 어깨의 경우 여자, 나이 50~59세, 학력 중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가 영향을 끼쳤다. 팔/팔꿈치의 경우 나이 40~49세, 학력 대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손/손목/손가락의 경우 나이 50~59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다리/발의 경우 나이 50~59세, 간병기간 6개월 이내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의 경우 학력 초졸 중졸 고졸, 간병기간 1년 이내와 1년 7개월 이상 2년 이내, 독립보행 불가능 변인이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명 별 간병활동 특성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간병활동 동작으로는 이동하기와 보행이었다.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요인에 대해서는 간병 기간 1년 이내가 전체 통증에 유의한(p<.05)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뇌손상 환자의 가족 간병인은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활동 특성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생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뇌손상 환자를 돌보는 가족 간병인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므로 이러한 요인에 대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예방 교육과 연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Shower Carrier based on the Need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 Cho, Deok-Yeon;Ko, Cheol-Woong;Chun, Keyoung-Jin;No, Kon-Wo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79-388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developed a new shower carrier prototype to reduce caregivers' muscle burden and to increase use convenience by reflecting the needs of domestic long-term care institutions. Background: In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s, one of the ADL(Activities of Daily Life) factors is bathing/showering. Recently, bath/shower-assisting equipment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in care institutions to reduce the caregivers' care cost, but most of the domestic equipment was designed to imitate foreign products and rarely reflected the needs of care institutions. Method: Based on Korean elderly people's body information, the bed size(length: 1,900mm, width: 650mm) was set-up, and a variable headrest with a newly designed headform was developed to provide the comfort for the elderly and convenience for caregivers. To reduce caregivers' muscle burden on transferring and showering activities, a 3-step column lifting module equipped with dual actuators(lowest/highest levels from the ground: 600/1,100mm, Stroke: 500mm) was developed, and the wheelbase parameter(length: 1,250mm, width: 580mm) was defined securing the turn-over safety of the shower carrier. The drivability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prototype and foreign product, and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through the tests. Result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hower carrier prototype was secur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subjects through the drivability tests largely decreased in the prototype, compared to the foreign product. Conclusion: In this study, a new shower carrier prototype was developed to possibly reduce caregivers' muscle burden and to increase use convenience based on the need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It was expected that the drivability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could be relatively superior to that of the foreign product. Appl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optimal development of a shower carrier including other equipment to effectively care for the elderly.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아동 초기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자 반응성의 단기종단적 매개효과 (The short-term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responsiveness in the effect of mother's smart devic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overindulgence tendency)

  • 김연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81-2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어머니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영향과 반응성의 매개효과를 단기종단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5세 유아-어머니 144쌍(남아 73명, 여아 71명)을 대상으로 시점 1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6개월 후인 시점 2에서 유아의 몰입경향성과 모-아 상호작용 동안 양육자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의존과 유아의 몰입경향성은 어머니 보고를 통해, 양육자 반응성은 모-아 상호작용 녹화 자료에 대한 관찰자 코딩을 통해 수집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점 1에서의 유아의 몰입경향성을 통제했을 때, 시점 1에서의 어머니의 과의존 경향성은 시점 2에서의 양육자 반응성을 매개로 시점 2의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을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양육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특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성격별 보호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Protectiv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Trauma Level and Posttraumatic Growth of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 전병주;곽현주;이경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98-6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치매 발병에 따른 가족 보호자의 외상에 주목함으로써 가족 보호자의 외상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가족 보호자 204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으며, 성별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 20.0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수준은 가족 보호자의 여성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공식적 영역의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은 남성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수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여성 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영역 그리고 남성 집단은 사회적 지지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영역에서 각각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성별에 따른 비교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집단별로 외상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 후 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사회적 지지의 성격을 고려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올바른 커뮤니티 케어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