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cancer patients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23초

Prognostic Factors and Clinical Outcome in Parotid Gland Tumors: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from the Eastern Black Sea Region of Turkey

  • Kandaz, Mustafa;Soydemir, Gulsen;Bahat, Zumrut;Canyilmaz, Emine;Yoney, Adn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169-1174
    • /
    • 2016
  • Purpose: To review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parotid gland tumors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69 patients with parotid gland tumors, with a median follow-up of 52 months (range, 2-228 months). and a median radiotherapy dose of 60Gy (range, 30-69 Gy). Results: There were 24 (35%) females and 45 (65%) males, at a ratio of 1/1.9. Median age at presentation was $58.9{\pm}17.2$ (range 13-88) years. The most common histology was adenoid cystic carcinoma (33%)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28%). The mean overall survival (OS) was $65.3{\pm}8$ (95% confidence interval [CI], 49.6-81.1) months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40.0{\pm}7$ (95% CI, 26.2-53.7) months. The -1, -3, -5 and -10 year OS rates were 78%, 52.4%, 35.3% and 19.6% respectively. The mean disease free survival (DFS) was $79.2{\pm}10$ (95% CI, 59.3-97.1) months and the median disease free survival was $38{\pm}13$ (95% CI, 7.05-88.7) months. The -1,-3,-5 and -10 year DFS rates were 71.9%, 50.1%, 43.7% and 30.1% respectively. On univariate analysis, the OS was significantly better with female sex (p<0.005), < 50 age (p<0.021), T stage (p<0.0001), absence of lymph node involvement (p<0.0001), lower tumor grade (p<0.0001), abse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p<0.002), absence of perineural invasion (p<0.0001), absence of extracapsuler extension (p<0.0001), surgical margin negativity (p<0.006), ${\leq}60Gy$ radiotherapy dose (p<0.0001) and absence of distant metastasis (p<0.027). Conclusions: Employing existing standard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a possible treatment that was found to be mainly effective in patients with parotid gland carcinomas.

Overall Survival of Filipino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 Single-Institution Experience

  • Albano, Pia Marie;Lumang-Salvador, Christianne;Orosa, Jose;Racelis, Sheryl;Leano, Modesty;Angeles, Lara Mae;Ramos, John Donn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769-4774
    • /
    • 2013
  • This paper is the first to present the incidence and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SCCHN) from the extreme northern part of the Philippines. We retrospectively retrieved the records of patients with histologically-confirm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oropharynx, hypopharynx and larynx at the Mariano Marcos Memorial Hospital and Medical Center, Ilocos Norte, Philippines, from 2003 to 2012 and analysed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Of the 150 cases, only 80 (53.3%) were still living when the study was terminated. Median age at initial diagnosis was 61.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7:3. The majority of the cases had tumours in the oral cavity (50.7%), followed by the larynx (36.7%). Sex (log rank=1.94, p value/${\alpha}$=0.16), tumor site (log rank=0.02, p value/${\alpha}$=0.90), tumor grade (log rank=1.74, p value/${\alpha}$=0.42), and node stage (log rank=0.07, p value/${\alpha}$=0.80) were not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of our cases. Only 45 (30.0%) had no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N0) at presentation and 12 (8.0%) had already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Among the 150 patients, 71 (47.3%) were not able to receive treatment of any kind. Oddly, treatment (log rank=1.65, p value/${\alpha}$=0.20) was also shown to be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The survival rate of those who underwent surgery, radiotherapy, or both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who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Only the tumor stage (log rank=4.51, p value/${\alpha}$=0.03) was associated with patient survival. The overall mean survival was 49.3 months, with survival rate diminishing from 88.3% during the 1st year to 1.80% by end of the study. This relatively low survival rate of our cases only reflects their poor access to quality diagnostic and treatment facilities.

탄력밴드를 이용한 PNF 운동이 유방암 절제술에 속발한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부종, 관절가동범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열린 홀딩과 닫힌 홀딩의 차이-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Using Elastic Bands on Edema, Range of Motion, and Pain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Differences between Open-Hand and Closed-Hand Grips)

  • 조예진;이상열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NF intervention using elastic bands on edema, range of motion (ROM), and pain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according to their hand grip type. Methods: The subjects were 14 female patients who were at Stage II lymphedema after undergoing mastectomy for Stage II breast cancer.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7) and a control group (n = 7).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treatment program four times (one time under the therapist's instructions and three times as self-exercise)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repeated an upper limb PNF pattern exercise for 30 min using elastic bands after receiving a manual lymph drainage treatment for 1 hour. Her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PNF exercise with an open-hand grip by putting their hands into the loops of elastic bands and keeping their fingers spread out.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PNF exercise with a closed-hand grip by holding the loops of elastic bands with their fingers. In both groups, the subjects' edema, ROM, and pa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2, 3 and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oth groups demonstrated edema reductions, ROM increases, and pain reductions in four areas of the upper limbs. Notably,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larger ROM increases in flexion, extension, and abduction as well as greater edema and pain reduc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elbow of the four upper limb areas for edema reductions and in extension for ROM increas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exercise therapy-based approaches using elastic bands in post-mastectomy patients with upper limb lymphedema ca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type of hand grip (open or closed), which is the body's most distal part. Therefore, these approaches should be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distal parts of the patient's body for their effective ap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

Sex-related Differences in DNA Copy Number Alterations in Hepatitis B Virus-Associ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 Zhu, Zhong-Zheng;Wang, Dong;Cong, Wen-Ming;Jiang, Hongmei;Yu, Yue;Wen, Bing-Ji;Dong, Hui;Zhang, Xiao;Liu, Shu-Fang;Wang, Ai-Zhong;Zhu, Guanshan;Hou, Lif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225-229
    • /
    • 2012
  • Background: Males have a higher preval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an females in general, but the reasons for the sex disparity are still obscure. DNA copy number alteration (CNA) is a major feature of solid tumors including HCC, but whether CNA plays a role in sex-related differences in HCC development has never been evaluated. Methods: High-resolution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was used to examine 17 female and 46 male HCC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n Shanghai, China. Two-tailed Fisher's exact or ${\chi}^2$ tests was used to compare CNAs between females and males. Results: The overall frequencies and patterns of CNAs in female and male cases were similar. However, female HCC tumors presented more copy number gains compared to those in males on 1q21.3-q22 (76.5% vs. 37.0%, P = 0.009), 11q11 (35.3% vs. 0.0%, P = 0.0002) and 19q13.31-q13.32 (23.5% vs. 0.0%, P = 0.004), and loss on 16p11.2 (35.3% vs. 6.5%, P = 0.009). Relative to females, male cases had greater copy number loss on 11q11 (63.0% vs. 17.6%, P = 0.002).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11q11 gain correlated with 19q13.31-q13.32 gain (P = 0.042), 11q11 loss (P = 0.011) and 16p11.2 loss (P = 0.033), while 1q21.3-q22 gain correlated with 19q13.31-q13.32 gain (P = 0.046).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NAs may play a role in sex-related differences in HBVassociated HCC development.

유방암 환자의 통증, 우울 및 불안 증상 조절에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과 (The Effects of Aroma Self Massage in Hands on Pain, Depressive Mood and Anxiety in Breast Cancer Patients)

  • 손근주;김명자;이준영;이재복;김수현;김정아;정회현;최승완;최윤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18-29
    • /
    • 2005
  • 목적: 아로마테라피는 진통 효과, 항우울 및 항불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대체 의학의 한 종류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아로마 오일로 손 마사지를 교육시킨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활력 징후, 통증의 강도, 우울, 그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능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유방암 환자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맹검 무작위 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로마 자가-치료군(n=15)은 2주간 집에서 스스로 아로마 오일(프랑켄센스 버가못, 라벤더)을 사용하여 하루 2회 손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대조군(n=17)에게는 어떠한 중재도 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0, 1, 3 주에 3회에 걸쳐 통증 강도(Visual Analogue Scale: VAS, $0{\sim}10cm$), 불안(State-anxiety in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및 우울(Beck Depression Inventory Scales: BDIS), 스트레스(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수정판) 등을 조사하여 두 군 간의 자가치료 전, 후의 변화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로마 자가치료 후 환자의 동반 증상 변화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통증 강도는 대조군과 비교시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VAS score $0.83{\pm}1.01\;vs\;0.38{\pm}0.86$, P=0.0046). 동반 증상의 수도(P=0.044), 우울 정도(P=0.001) 그리고 불안정도도아로마 자가 치료군(P=0.008)에서 2주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정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0.05{\pm}0.85\;vs\;0.04{\pm}0.20$ P=0.1519), 우울 정도, 불안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자가치료 순응도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수축기 혈압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4.53{\pm}14.43mmHg\;vs\;0.0{\pm}7.22mmHg$, P=0.152). 자가 치료군에서 환자들은 두통(20%), 감각이상(6.7%), 오심(6.7%)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이들 모두 일시적인 것으로 자가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들에게 아로마 손 마사지 교육을 시킨 후 자기 스스로 2주간 시행한 결과, 통증강도, 우울 및 불안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 PDF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에서 방사선과 항암제 치료성적 (Postmastectom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안성자;정웅기;남택근;나병식;송주영;박승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7-24
    • /
    • 2004
  • 목적: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암 환자의 치료성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유방절제술 후 여성 유방암 병기 II-III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포는 $23\~77$세였고 중앙 연령은 46세로 77명은 변형된 근치적유방절제술을, 5명은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1명은 단순유방절제술을 받았다. 80명($96\%$)의 환자에서 액와림프절 전이 소견을 보였고 병리학적 병기상 11명이 2기초, 23명이 2기말, 44명은 3기초, 5명은 3기말이었다. 방사선치료는 80명의 환자에서 "hocky-stick 조사문"을 사용하였고 방사선치료 선량의 중앙값은 일일 1.8 Gy, 총 50.4 Gy였다. 74명($89\%$)의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이 병행되었으며, 54명($65\%$)의 환자에서 CMF 혹은 doxorubicin이 포함된 약제가 투여되었다. 추적기간은 $8\~17$개월로 중앙값은 82개월이었다. 결과: 5년 및 10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65\%$$49\%$이었다. 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에서 병기 2기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한 환자군에서 유의한 생존율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국소재발률은 $16\%$였으며, 방사선치료 후 $4\~84$개월(중앙값: 20개월) 사이에 발생하였다. 국소재발을 보인 13명 중 6명은 국소 재발 단독으로, 그 외 7명은 원격전이와 동시에 국소재발이 발생하였다. 방사선 치료시기와 관련하여 수술 후 6개월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군 에서는 국소재발률이 $141\%$인 반면 6개월 이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27\%$였다(p=0.24). 국소재발과 관련하여 시행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의 병행 유무가 가장 유의한 예후인자 였다. 그러나 방사선과 항암제의 병행 방법에 따른 생존율이나 국소재발률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체 환자의 약 1/3에서 방사선치료 후 $2\~92$개월(중앙값: 21개월) 사이에 원격전이가 관찰되었고 가장 흔히 침범되는 장기는 골이었다. 17명($20\%$)의 환자에서 방사선폐렴이 확인되었고 방사선 완료 후 $2\~7$개월(중앙값: 3개월) 사이에 발생하였다 이중 $65\%$ (l1/17)의 환자에 서는 단순흉부촬영상 폐섬유화 소견이 잔존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가 필요하였던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제의 병행 치료는 방사선 단독치료에 비해 종양의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유방암 PET-CT 검사에서 Prone(복와위)자세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Prone Position on PET-CT in Breast Cancer)

  • 박훈희;김세영;김정열;박민수;임한상;정석;강천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44-48
    • /
    • 2008
  • 유방암은 FDG PET-CT에서 예민도는 80~96%, 특이도는 75~95% 정도이며, 유방촬영(mammography) 소견상 판단이 어려운 수진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검진으로서의 조기 암 검출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PET-CT에서 대부분의 검사는 앙와위(supine position)으로 검사되어 전신검사(whole body scan)에서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유방영상을 획득된다. 반면에 보정구를 이용하여 복와위(prone position)으로 영상을 획득할 경우, 유방을 중력에 의존하여 보다 원형에 가깝게 표현함으로써 영상의 진단가치를 높일 수 있기에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유방암으로 의심되거나 확진 된 여성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F$-FDG 주사한 뒤 60분 후 supine position으로 whole body PET-CT scan 시행 후, 보정구를 이용하여 prone position으로 병변에 대한 추가검사(lesional scan)를 시행하였다. 각각 획득된 영상은 핵의학과 의사로부터 blind test를 하였고, PET-CT 영상의 SUV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30명 중 27명의 환자에게서 prone자세가 진단 용이성과 정확한 판별률이 높았으며, 나머지 3명의 경우는 병소가 1 cm 이하의 크기로 인하여, MRI상에는 나타났지만 PET-CT에서는 진단에 의미있는 관찰을 할 수 없었다. supine position과 비교하여 prone position은 구조물의 중력에 의한 변형수치가 낮아, 병변의 구별이 곤란한 경우 명확하게 감별되었다. 각 자세에서 SUV분석은 유의수준 0.004로 유의하였다. Supine position을 통한 PET-CT 전신검사 후의 보정구를 이용한 prone position로 병변에 대한 lesional scan은 두 자세의 비교가 모두 가능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결정적으로 진단에 영향을 주었다. 두 가지 자세의 영상비교에 있어 prone position이 원발성(primary) 병변의 진단은 물론, 미세전이(micrometastasis)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prone position을 기반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정량적 분석과 함께 극복한다면 병변의 진단에 있어 보다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여성 갑상선암 환자의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Effects of Anxiety, Depression,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Thyroid cancer)

  • 이인숙;박창승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63-176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 갑상선 암환자의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갑상선암을 진단 또는 치료받고 일 병원 내분비외과 외래를 방문중인 갑상선암 환자를 편의 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이 완료된 106명의 자료를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질은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불안은 신체기능과 정서기능, 사회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확실성은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난 여성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불안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후속 연구들에서는 보다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치료시기의 대상자를 표집하여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소세포폐암 환자의 암성 통증에 대한 전침치료의 즉각적 진통 효과 1례 (Acute Analges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a Cancer Pain in a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 a Case Report)

  • 홍미나;이지혜;박혜림;이혜윤;조민경;한창우;박성하;김소연;권정남;이인;홍진우;최준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9-694
    • /
    • 2014
  • We report a female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in the extensive stage(T3N3Mx). After 6 cycles of chemotherapy combined radiation therapy, she received inpatient Korean medical care including herbal medicine, acupuncture therapy and concurrent western oral medications of opioid analgesics and anti-anxiety agent. The chief complaint was right side thoracic wall pain which had started after chemotherapy and was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analgesics. For this condition, we treated her with 2Hz of constant electrical stimulation on Jiaji (Ex-B2) points T5-T7 laterally (right) using three needles for 20 minutes once a day for 9 days. With every session of electrical acupuncture treatment, thoracic pain decreased acutely.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cluding Jiaji (Ex-B2) point stimulation might be tried for lung cancer patients with uncontrolled thoracic pain at least for the acute analgesic effect.

구강암 경부임파절 전이에 대한 술전 평가의 정확성 (ACCURACY OF PREOPERATIVE ASSESSMENTS FOR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ORAL CANCER)

  • 이재준;남웅;차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151-156
    • /
    • 2006
  • 술전 경부 임파절 평가의 정확성은 신체검사와 방사선학적 소견 모두에서 정확성의 한계를 보였으며, 정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의사와 방사선의사간에 의견 교환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 촬영, 세침 흡인세포검사(FNAC) 등의 보조적인 임파절 평가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전체 정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강암의 원발 부위가 고위험군인 경우에는 가음성도 비율이 높고,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전체 정진율이 낮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볼때, 지금까지 알려진대로 예방적 경부 곽청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