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CEO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지식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여성CEO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Knowledge Management: Focusing on Female CEO)

  • 박철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1-26
    • /
    • 2016
  • 기업들은 대내외적으로 불투명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여성 인력 활용의 중요성과 기업가정신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급변하는 환경 변화로 인해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여성 특유의 감수성, 섬세성, 창의력, 직관력이 주목받으면서 여성들은 전통적인 성향에서 벗어나 직업을 갖고 여성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사회적 역할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역할 변화로 여성CEO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CEO의 기업가정신(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개념의 고찰과 기업가정신이 지식경영성과 촉진을 위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도출된 시사점은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위험감수성이 대체로 여성CEO의 지식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CEO의 경우 기업가 정신이 자기효능감과 연결되어 특정 과업성과에 원하는 결과를 거둘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여성CEO들이 진취성, 위험감수성, 자기효능감 등의 매개 과정을 통해 기업 경영을 잘 이끌어 나갈 수 있고, 스스로 믿음을 가지고 지식경영을 한다면 높은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특유의 장점과 특성을 살려 기업가정신에 의한 경제활동이 장기적인 경기 침체의 극복은 물론이고 거시적으로 경제적 성장과 발전을 이끌며, 국가의 신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기업가 정신을 가진 여성CEO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정책 방향 제시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Female Corporate Founders on Managerial Achievements)

  • 민경세;안상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1-20
    • /
    • 2011
  • 본 연구는 창업 여성CEO들을 대상으로 여성CEO의 특성과 경영성과 사이에는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 여성CEO의 특성과 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문헌을 토대로 여성CEO의 특성요인으로서 경력 특성, 행위적 특성, 역량 특성 등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 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여성CEO의 경력 특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전공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직장 또는 창업경험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여성CEO의 행위적 특성과 경영성과 사이에서는 창업동기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패 가능성이나 위험에 대한 대처 노력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 여성CEO의 역량 특성과 경영성과에서는 관리적 역량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가적 역량 요인과 기술적 역량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Female Executives and Corporate Investment: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ese Listed Firms

  • PHAN, Quynh Tr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0호
    • /
    • pp.305-31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gender of top executives and corporate invest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tends to how the sensitivity of investment to cash flow varies with the gender of leaders. Finally, the effect of the gender of leaders on firm investment is also tested across firm types (state firms vs. private firms and high-growth firms vs. low-growth firms). Based on the dataset of Vietnamese listed firms over 2007-2017, the fixed-effect model i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women as chairs of the board tend to lower corporate investment, whereas the gender of CEOs (Chief Executive Officers) does not influence the investment level. Moreover, top female executives ar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sensitivity of investment to cash flow. These regression results also show that top female executives only have an impact on the rate of investment in private and low-growth fi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board of directors in selecting a chairperson in line with the firm's strategie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lso meaningful for policymakers who should monitor the separate role of the CEO and chair of the board in a company.

가족친화적 기업환경이 여성관리자의 자아효능감과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on Women Managers' Self-efficacy and Career Success)

  • 김필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4호
    • /
    • pp.49-57
    • /
    • 2012
  • This study aims examining a few elements representing a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such as the attitude of CEOs, corporate culture, the support from direct supervisors and their influence on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ttitude of CEOs as one of the representing elements for family-friendly corporate environment was found to affect the sense of self-efficacy and the career success of married women managers with positive effects. Second, the support of superior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of women managers. Finally, the sense of women's self-efficacy turned out to affect career success of women managers. For the use of female resources as a growth power, the attitude of CEOs wh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the support of supervisors will play a very important part, and in order to build a corporate culture with gender equality, promotion and policy-making on corporate as well as government level are required.

멜라토닌이 생쥐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과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latonin on the Maturation of Mouse Germinal Vesicle(GV)-Stage Oocytes and Apoptosis of Cumulus Cells In Vitro)

  • 나경아;김은선;엄진희;김정호;윤성일;이동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2008
  • 멜라토닌(N-acetyl-5-methoxytryptamine)은 포유동물의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과 생체 리듬 등을 조절하고 난소 기능과 번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강력한 scavenger로서 항산화제의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멜라토닌이 생쥐 난구세포-핵낭(germinal vesicle, GV) 시기 난자 복합체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3주령의 ICR 암컷 생쥐의 난소에서 회수된 난자-난구세포 복합체를 0, 0.1 nM, 10 nM, 1,000 nM의 멜라토닌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제1극체의 방출 여부를 확인하여 성숙율을 확인하였다. 체외성숙 후 TUNEL assay와 성숙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체외성숙된 난자에서는 세포자연사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난구세포에서는 관찰되었으며, 1,000 nM을 첨가하여 배양한 군의 난구세포는 유의하게 낮은 세포자연사를 나타냈다. 그리고 1,000 nM의 멜라토닌을 첨가한 군의 난구세포에서 멜라토닌 수용체의 mRNA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체외성숙 배양액에 첨가된 멜라토닌은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줄여줌으로써 생쥐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기공과 교육과정 제고를 위한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Dental Technician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to Improve the Dental Technology Curriculum)

  • 정효경;박남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1-41
    • /
    • 2019
  • Purpose: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dental technology's sub-major curricula by determining and researching dental technicians'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Methods: 170 dental technicians working in Daegu, Korea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9 January 2018 and 23 February 2018. Results: 1. The highest level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by the awareness levels of importance in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was shown in the occupational ethics, followed by technological skills, interpersonal skills, self-development levels, problem-solving skills, information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and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communication skills, and mathematical skills. 2. Female dental technicians put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on writing documents and managing time, while males stressing on basic statistics. 3. Dental laboratory CEOs and managers put high values on resource management skills, while head technicians valuing information skills more. 4.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mportance in some dental technology fields did not match those of the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in the fields of porcelain, crown and bridge, and orthodontics.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wareness levels concern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tance in some fields of dental technology differ from those of dental technology laboratories. Developing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urriculum, it seem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for the respective fields of dental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