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line caliciviru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eline caliciviruses isolated from cats in South Korea

  • Yang, Dong-Kun;Park, Yu-Ri;Yoo, Jae Young;Choi, Sung-Suk;Park, Yeseul;An, Sungjun;Park, Jungwon;Kim, Heui-Jin;Kim, Jongho;Kim, Ha-Hyun;Hyun, Bang-H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195-202
    • /
    • 2020
  • Feline calicivirus (FCV) infection results in a common upper respiratory disease associated with oral ulceration in cats. Although FCV infection has been reported in cats worldwide, the biologic and genetic features of South Korean FCV are unclea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nd genetic features of South Korean FCV isolates. Crandell-Rees feline kidney (CRFK) cells were used to isolate FCV from 58 organ homogenate samples. The FCV isolates were confirmed by cytopathic effects, immunofluorescence, electron microscopy,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Viral 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VP2 gene and complete genomes of FCVs. Five viruses propagated in CRFK cells were confirmed to be FCVs. The FCV17D283 isolate showed the highest viral titer of 107.2 TCID50/mL at 36 h post-inoculation. Korean FCV isolates did not grow well in Vero, BHK-21, A72, or Madin-Darby canine kidney cells. The FCV17D03 and FCV17D283 isolates had the highest genetic similarity (80.1% and 86.9%) with the UTCVM-H1 and 14Q315 strains, which were isol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n 1995 and 2014, respectively. We isolated five FCVs from cats and detected important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m. FCV isolates did not show any virulent effects in mice.

고양이 3종(FPV, FHV, FCV) 불활화 백신의 효과 (Effect of a trivalent (FPV, FHV, FCV) inactivated vaccine in kittens)

  • 이성민;윤인중;최환원;이근좌;이경열;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1-323
    • /
    • 2005
  •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a trivalent (feline panleukopenia; FPV, feline viral rhinotracheitis; FHV, feline calicivirus infection; FCV) inactivated vaccine in cats. The vaccine was tested for the safety in guinea pigs, mice and cats. Also, it was tested for the efficacy in cats. The vaccine was inoculated to cats at 7~9 and 10~12 weeks of age (conventional schedule) and the serological response to vaccination was assessed and was compared to the unvaccinated group. All cats were bled by jugular venipuncture for FPV, FHV and FCV specific serological test (virus neutralizing antibody, VN) at 7~9, 10~12 and 13~15 weeks. After last bleeding, all cats were inoculated with each virus (FPV : orally $2ml\;10^{7.5}\;TCID_{50}/ml$, FHV : nasally $1ml\;10^{7.0}\;TCID_{50}/ml$ and FCV : nasally $1ml\;10^{7.0}\;TCID_{50}/ml$). The Vaccine verified excellent protective effect in guinea pigs, mice and cats. The VN antibody titers of the unvaccinated group cats against FPV, FHV and FCV were <2~16, on the other hand the vaccinated group cats were $512{\sim}{\geq}4096$, 64~1024 and 64~1024, respectively. When all cats were challenged with virulent viruses, the survival rates of the vaccinated group cats were over 80%, while the survival rates of the unvaccinated group cats were less 20%. The typical clinical signs were not observed in the vaccinated group cats, but the typical clinical signs and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unvaccinated group cats. As the result of tests, the VN values obtained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high enough to protect cats from viral challenges. The trivalent (FPV, FHV, and FCV) inactivated vaccine seemed to be very effective, for prevention of feline viral diseases (FPV, FHV, and FCV).

굴김치 숙성에 따른 노로바이러스 대체 모델 Feline Calicivirus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a Norovirus Surrogate (Feline Calicivirus) during the Ripening of Oyster Kimch)

  • 신순범;오은경;유홍식;이희정;김지회;박큰바위;권지영;윤호동;손광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15-420
    • /
    • 2010
  • In Korea, oysters are used as an ingredient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in early winter. Although viral contamination of oysters, including contamination by norovirus, can provoke gastroenteric illness, little is known of th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to outbreaks. We postulated that Kimchi ripening can reduce the infectivity of norovirus,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carried out a model experiment. Since norovirus is currently regarded as non-culturable, feline calicivirus (FCV) was used as a surrogate to examine the activation of norovirus with Kimchi ripening. In commercial well-prepared Kimchi,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decreased by 2 log every 12 hours and reached the limit of detection after 48 hours during over-aging at $25^{\circ}C$. During storage at $4^{\circ}C$,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decreased slowly and reached 5.00 $TCID_{50}$ after 48 hours. The low pH appears to affect the infectivity of FCV directly via organic acids produced by ripening during over-aging and storage. In neutralized lab-prepared Kimchi (pH 7.0), the infectivity ($TCID_{50}$) of FCV also decreased and reached the limit of detection after 72 hours at $4^{\circ}C$.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substances beside organic acids in Kimchi that originate from the raw materials and are produced during ripening. Among the raw materials, salt-fermented anchovies and garlic showed high direct antiviral activity. The main factor decreasing the infectivity of FCV in Kimchi was the high acidity caused by organic acids, regardless of the type, produced by ripening. Furthermore, unknown secondary products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Kimchi ripening and antiviral materials originating from raw material might contribute to the decreased infectivity of FCV, the surrogate of norovirus.

Prevalence study of respiratory pathogens in Korean cats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Lee, Mi-Jin;Park, Jin-ho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45-153
    • /
    • 2022
  • Pathogens such as feline herpesvirus, feline calicivirus, Bordetella bronchiseptica, Chlamydia felis, Mycoplasma felis and Pasteurella multocida usually cause feline upper respiratory tract disease (URTD). Real-time PCR was used to analyze the detection and prevalence of the most common respiratory pathogens in cats with (n=69) and without respiratory signs (n=31). Pathogens were detected in 53 cats, divided into 37 (69.8%) with a single pathogen, 15 (28.3%) with two pathogens, and 1 (1.9%) with three pathogens. M. felis had the highest detection rate in 29 (42.0%) cats, P. multocida was detected in 18 (26.1%), FHV in 10 (14.5%), FCV in 7 (10.1%), B. bronchiseptica in 3 (4.3%), and C. felis in 2 (2.9%). M. felis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athogen in cats living outdoors without vaccination. Of the 37 cats infected with single pathogen, nasal discharge was observed in 13 (35.1%), ocular signs in 6 (16.2%), drooling in 5 (13.5%), dyspnea in 3 (8.1%), and asymptomatic in 10 (27.0%). In 51 outdoor and 49 indoor cats, pathogens were detected in 35 (68.6%) and 18 (36.7%) cats, respectively. Of the 29 cats infected with M. felis, 22 (75.9%) showed respiratory signs, and 7 (24.1%) were healthy. In the age of the 53 positive cats, 10 (18.9%) were under the age of 1 year, 26 (49.1%) were aged 1~3 years, and 17 (32.1%) were aged 3 years or older. Although the number of cats in the study was small, the results can provide valuable data on the prevalence of URTD in Korean cats.

코리안 쇼트헤어 고양이에서 발생한 크립토코쿠스 감염증 의심 1증례 (A Case of Nasal Cryptococcosis in a Domestic Shorthair Cat)

  • 이진수;김현욱;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5-118
    • /
    • 2013
  • 8세 중성화 암컷 고양이가 만성 비강 삼출과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오른쪽 비강의 출혈농성 삼출이 관찰되었고, 흡기성 호흡곤란과 코골기 증상, 종대된 오른쪽 하악 림프절이 확인되었다. 전혈검사와 혈청화학 검사에서 미약하게 증가한 헤마토크리트 값과 고글로불린혈증이 나타났으며, 혈청학적 및 PCR 기법을 이용한FeLV, FIV, Chlamydophila felis, Feline Calicivirus, Herpesvirus, Bordetella, Mycoplasma felis, H1N1 influenza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오른쪽 비강의 연조직 밀도 상승이 관찰되었고, CT촬영에서는 비중격의 위축과 골 용해가 확인되었다. 추가 검사로 실시한 하악 림프절 세포학 검사에서는 다양한 두께의 염색이 안 되는 협막을 갖는 곰팡이가 관찰되었으며, narrow based budding을 보이는 곰팡이도 관찰되어 크립토코쿠스 감염증으로 잠정진단하였다. 혈청학적 검사에서 크립토코쿠스 항원가는 1 : 32,768로 매우 높게 나왔다.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곰팡이 감염 치료를 위해 fluconazole, clindamycin, tocopherol투여를 실시했으며 약물 투여 후 3일 이내에 환자의 증상은 극적으로 개선되었다. 장기적인 관찰과 추가 항원역가 검사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나 환자는 증상 개선 후 퇴원하여 재 내원하지 않았다.

고려인삼의 세근을 이용한 항균성 물질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Compounds from Korea Ginseng Fine Root)

  • 김아름;이명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44-1250
    • /
    • 2011
  • 인삼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부산물로 취급되어 대부분 폐기되는 세근을 발효공학적 기법으로 항균성 물질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발효에 적합한 균주의 선별과 발효에 사용될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를 선별하여 발효 시킨 후 항균성 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8종의 유용 미생물 중 L. plantarum이 가장 적절한 균주로 선정 되었으며, 영양원인 인삼 세근 분말의 농도는 5%로 밝혀졌다. 또한, 발효 추출물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분석 결과 항균성은 있으나 항바이러스 활성은 미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비발효 추출물 보다 발효 추출물이 약 2배 정도 증가되었고, Gram Positive 균주에서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발효에 의한 항균 활성 물질의 성분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서 HPLC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ginsenoside Rg1, Re, Rd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이 중 가장 많은 함량 변화를 보인 성분은 Rd로 약 50 ${\mu}g/g$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삼 세근 발효물 중 항균 활성을 보이는 주된 물질은 ginsenoside Rd 성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러스에 의한 최근(2010-2019) 국내 식중독 사고와 검출법 및 제어법에 대한 동향 조사 (Recent (2010-2019) foodborne outbreaks caused by viruses in the Republic of Korea along with their detection and inactivation methods)

  • 권승욱;김상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통계 및 바이러스 검출법과 제어법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나타냈다. 국내에서 지난 10년 동안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 사고 488건 중 94.9%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노로바이러스가 국내에서 가장 주요한 식중독 바이러스로 생각된다.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PCR을 이용한 방법이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2020년 12월) 식품 공전에 등록된 방법(고시 제 2010-45호)에 따라 전기 영동을 기반으로 한 one-step RT PCR 및 semi-nested PCR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DNA sequencing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서 검출된 바이러스의 서열을 분석하여 이미 보고된 바이러스의 서열과 비교한 논문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real-time PCR을 적용한 논문들도 보고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전기 영동을 실시하는 conventional PCR을 대신하여 신속하게 정량 검출이 가능한 realtime PCR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 기타 바이러스의 검출에 있어서도 역시 PCR을 활용한 방법이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multiplex PCR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를 동시에 검출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서, 자기 면역력 분리와 퀀텀닷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한 신속 검출법이 제시되고 있어 앞으로 여러 식품에 오염된 바이러스를 현장에서 신속분리 및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노로바이러스는 실험실에서 배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제어 연구는 대체재를 이용한 방법들이 주를 이루었다. 옴 가열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열처리와 초고압, 오존, 감마선, 광펄스 등의 비가열 처리를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의 저감 정도를 살펴본 연구들이 최근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완충용액보다는 식품 샘플에서 바이러스의 저감 정도가 낮게 관찰되었는데 식품 matrix가 이러한 물리적 처리에 간섭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조합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기타 바이러스 제어 연구에 있어서는 열, 광펄스, 고압력 등의 물리적 처리와 더불어 살균제(sanitizer)를 적용한 논문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식중독 바이러스의 저감 메커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물리적, 화학적 처리에 대해서 식중독 바이러스가 저항성을 갖는 이유와 사멸되는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추후 여러 식품에서의 바이러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