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utilization efficiency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1초

Leucaena leucocephala and Gliricidia sepium Supplementation in Sheep Fed With Ammonia Treated Rice Straw: Effects on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 Orden, E.A.;Abdulrazak, S.A.;Cruz, E.M.;Orden, M.E.M.;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59-1666
    • /
    • 2000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ucaena leucocephala (leucaena) and Gliricidia sepium (gliricidia) supplementation on intake, digestion, outflow rates,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in sheep fed with ammoniated rice straw (ARS). In experiment 1, three rumen cannulated Japanese Corriedale wether (mean body weight of 35.6 kg) in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ere used. Animals were fed ad libitum ARS alone, or supplemented with 200 g of either leucaena or gliricidia. In experiment 2, twenty-four growing native Philippine sheep with average body weight of $13.5{\pm}0.25k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nd offered similar diets to those of experiment 1. Supplementation increased total dry matter intake and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fiber (p<0.05) without affecting ARS consumption. Nitrogen balance revealed that absorbed and retained 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ucaena and gliricidia.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N utilization and more digestible OM intake brought about by the inclus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resulted in increased (p<0.05) microbial N yield. Efficiency of microbial N supply in supplemente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higher (p<0.05) than the 24.92 g N/kg DOMR for ARS group. Liquid outflow rate was 7.8 and 6.8 %/h, while the solid phase of rumen digesta was 4.4 and 3.8 %/h for the leucaena and gliricidia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5.30 and 2.50 %/h in the control diet. The increase in total DMI resulted to higher (p<0.01) growth performance and efficient feed utilization. Average daily gain (ADG) was 19.3, 34.6 and 33.9 g/d for the ARS, leucaena and gliricidia respectively.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addit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in could increase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subsequently improving N utilization and livestock performance.

충돌확률 모델에 의한 미립 몰리브덴광의 부유선별 효율 향상 연구 (Investigation on the Enhancement of the Flotation Performance in Fine Molybdenum Particles Based on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Model)

  • 양지수;유경근;서주범;한성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3호
    • /
    • pp.38-47
    • /
    • 2024
  • 몰리브데나이트는 몰리브덴의 주요 광물자원으로 고유의 소수성 표면으로 인해 부유선별을 통해 회수된다. 한편, 채광되는 몰리브데나이트의 결정크기 및 품위가 낮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단체분리에 요구되는 광물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부유선별에 투입되는 원광 크기 또한 미립화되고 있다. 미립자는 기포와의 충돌확률이 낮아, 부유선별할 때 효율 감소를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몰리브덴 확보를 위해서는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에 대한 부유선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5-30 ㎛의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의 부유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포크기 축소와 입자응집을 통한 효율 증진으로 접근하였다. 기포-입자 충돌확률을 시뮬레이션과 부유선별 실험을 통해, 미립자의 부유선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기포크기 및 입자응집체 크기에 대한 범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공한 미립 몰리브덴광 부유선별 조건은 향후 몰리브덴 선광 플랜트의 부유선별 공정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Pellet사료(飼料)의 급여(給與)가 병아리의 대사(代謝)에너지와 질소축적(窒素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ffect of Feeding Pelleted Diets on Energy Metabolism and Nitrogen Retention in Growing Chickens)

  • 박창식;권순기;민태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06-211
    • /
    • 1983
  • 한국(韓國)에서 사육(飼育)되고 있는 닭의 육용종(肉用種)과 난용종(卵用種)의 초생추(初生雛 )를 공시동물(供試動物)로 하여 사료(飼料)의 조성분(組成分)과 배합률(配合率)이 동일(同一)한 pellet사료(飼料)와 all-mash사료(飼料)를 급여(給與)하여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과 증체량(增體量) 및 대사(代謝)에너지와 질소축적률(窒素蓄積率)의 차이(差異)를 측정(測定)하여 pellet사료(飼料)를 급여(給與)함으로써 사료(飼料)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을 기대(期待)한 본(本)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各) 주별(週別) 1 수당(首當) 평균(平均) 증체량(增體量)은 5주령(週令)부터 pellet구(區)가 높아졌는데, 9주령(週令)에서 평균(平均) 1 수당(首當) 체중(體重)은 Hubbard의 pellet구(區)가 2,702g이었고 all-mash구(區)는 2,571g으로 pellet구(區)가 131g 더 증체(增體)되었고, Hy-line을 pellet구(區)와 all-mash구(區)가 각각(各各) 812g과 777g으로 전자(前者)가 35g 더 증체(增體)되어 pellet 사료(飼料)를 급여(給與)한 구(區)가 증체율(增體率)이 높은 결과(結果)였다. 2. 9주간(週間)의 1 수당(首當) 사료섭취총량(飼料攝取總量)은 pellet구(區)가 all-mash구(區)에 비(比)하여 육용종(肉用種)은 69g, 난용종(卵用種)은 75g을 더 섭취(攝取)하였다. 이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에 의(依)해서 9주령(週令)까지의 사료효율(飼料效率)을 보면 육용종(肉用種)의 pellet구(區)는 0.38, all-mash구(區)는 0.36이며, 난용종(卵用種)은 0.26과 0.25로 pellet구(區)가 약간(若干) 높았다. 음수량(飮水量)은 난용종(卵用種)에 있어서 pellet구(區)가 all-mash구(區)보다 많았다. 3. 분뇨(糞尿)의 배설량(排泄量)도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과 같이 pellet구(區)가 약간(若干) 많았고 질소(窒素)의 섭취율(攝取率)은 육용종(肉用種)이 57~67%였으며 난용종(卵用種)은 65~73% 였는데 두 품종(品種)이 다 같이 pellet구(區)가 all-mash구(區)보다 1~4% 정도(程度) 개선(改善)되는 것을 인정(認定)하였다. 4. 대사(代謝)에너지의 효율(效率)은 8주령(週令)에서 육용종(肉用種)이 73.4~74.3%였고 난용종(卵用種)은 82.8~83.8%로서 pellet구(區)가 1%정도(程度) 높았다. 5. 생산(生産)에너지를 호흡시험(呼吸試驗)에 의(依)해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대사체중당(代謝體重當) 발생열량(發生熱量)이 pellet구(區)에서 94.1~102.6kcal였고 all-mash구(區)는 106.1~112.6kcal였으며 생산(生産)에너지의 효율(效率)도 41.3~48.9%와 39.0~45.8%로 pellet구(區)가 약(約) 2~3%정도(程度) 높은 것을 인정(認定)하였다. 6. 본(本) 시험(試驗)의 결과(結果)에 의(依)해서 사료(飼料)를 pelleting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效果)는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과 증체량(增體量)이 증가(增加)되었으며 사료효율(飼料效率)도 높아지고 대사(代謝)에너지와 생산(生産)에너지의 이용율(利用率)도 높아지는 것을 인정(認定)하였다. 그러나 pellet사료(飼料)와 all-mash 사료(飼料)의 급여(給與)가 열량증가(熱量增加)의 차이(差異)에 어떤 mechanism으로 영향(影響)하는지는 앞으로 계속(繼續)해서 구명(究明)할 필요(必要)가 있다.

  • PDF

Aflatoxin과 비타민$D_3$ 급여(給與)가 브로일러 병아리의 증체(增体), 영양소이용율(營養素利用率), 경골무기물(脛骨無機物) 및 혈청성상(血淸性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eding Aflatoxin and Vitamin $D_3$ on Body Weight Gain, Nutrient Utilization, Tibia Mineral and Serum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 장윤환;전진석;여영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68-76
    • /
    • 1984
  • Alfatoxin과 비타민$D_3$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브로이러 병아리 336수(首)를 8구(區)로 나누고 aflatoxin $B_1$을 0 또는 0.5 ppm, 비타민$D_3$를 0, 500, 1,000 또는 1,500 IU/Kg 급여(給與)하는 3주간(週間)의 $2{\times}4$요인시험(要因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증체량(增體量),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 사료전환율(飼料轉換率), 정강이 색상(色相), 폐사율(斃死率) 및 각약증발생율(脚弱症發生率)에 있어서 각구간(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乾物),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지방(粗脂肪),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조회분(粗灰分)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섬유(粗纖維)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1). 그러나 비타민$D_3$ 첨가수준간(添加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 P 및 Na의 이용률(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보이지 않았으나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의 Ca이용율(利用率)이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약간 높았다. 탈지건조경골(脫脂乾燥脛骨)의 회분함량(灰分含量)은 각처리간(各處理間)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Ca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0.5 ppm구(區)에서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더 많았으며(P<.05), 비타민$D_3$를 더 많이 급여(給與)할수록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Aflatoxin과 비타민$D_3$가 경골내(脛骨內) Ca을 가속적(加速的)으로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P<.01). 그리고 P의 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급여(給與)로 증가(增加)되었다(P<.05). 그러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없었다. Aflatoxin 급여(給與)는 Na함량(含量)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나타나(P<.01) 1,000 IU/Kg수준(水準)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혈청중(血淸中)의 Ca농도(濃度)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P<.01),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비타민$D_3$ 첨가수준(添加水準)이 높아질때 조금씩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인정(認定)되었다(P<.05). P의 함량(含量)은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역가(力價)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높은 값을 보였다(P<.01). 그리고 비타민$D_3$ 수준(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조금씩 증가(增加)하는 추세(趨勢)를 보였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에는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없었다.

  • PDF

조피볼락의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대조사료 효과; 생사료 및 moist pellet과의 비교 (Effects of a Practical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iet ; Comparison with Raw Fish and Moist Pellet Diet)

  • 이종윤;이상민;전임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1-269
    • /
    • 1995
  • 조피볼락 용 배합 사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우선 간단한 형태의 실험용 배합 사료(대조사료)를 제조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실험 사료의 효과가 인정되면, 이 사료를 대조사료로 하여 반복 실험을 통해 사료의 질을 점차 개선함과 동시에 원가를 낮추는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북양어분(백색 어분)을 주단백원으로 하고 소맥분과 비타민을 첨가한 배합 사료(대조 사료)를 제조한 후, 사육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기존의 생사료($80\%$ 냉동전갱이 + $20\%$ 분말사료) 및 moist pellet $50\%$ 냉동전갱이 + $50\%$분말사료)과 비교하였으며, 어체 품질에 대한 관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평균 체중은 실험개시시 68.5g이었던 것이 11개월 후인 실험종료시에는 330g 내외에 달하였고, 세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P>0.05).증중율 및 일간증중율도 대조 사료나 생사료구간에 차이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사료효율은 대조 사료가 생사료구나 moist pellet구보다 낮은 반면, 일간먹이섭취율은 대조 사료구가 타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일간단백질섭취율은 세 실험구 모두 비슷한 값을 보였다. 사육기간 중의 평균 체중은 세 실험구 모두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되었고, 일간증중율 및 일간먹이섭취율은 세 실험 모두 200g 전후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그 후에는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단백질축적효율 및 지질축적효율도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전어체, 간 및 근육의 수분,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실험종료후 세 실험구를 대상으로 어육의 색, 냄새, 탄력 및 맛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실험구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Functional Oils on Coccidiosis an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in Broiler Chickens

  • Murakami, A.E.;Eyng, C.;Torrent,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981-98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ixture of functional oils (Essential, Oligo Basics Agroind. Ltda) on performance response of chickens challenged with coccidiosis and the determination of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n), the coefficients of protein and ether extrac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fed with diets containing Essential. In Exp. 1,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was used, with one control diet without Essential inclusion with coccidiosis (Eimeria acervulina, Eimeria maxima, and Eimeria tenella) challenged birds and two different inclusion rates of Essential (1.5 kg/ton and 2 kg/ton) with coccidiosis-challenged and non-challenged birds for each inclusion rate, using 10 replicates and 50 birds per experimental unit. After 7 d of coccidiosis challenge, the livability was approximately 10% lower (p<0.05) for the control group. Intestinal lesion scores were lower (p<0.05) in the anterior intestine and the cecum for the chickens supplemented. Feed efficiency and growth rate were improved in birds supplemented with Essential (p<0.05) before the coccidiosis challenge and during the first 7 d post infection. In Exp. 2, a CRD was used, with one control diet without Essential inclusion and one diet with inclusion of Essential (1.5 kg/ton), using nine replications and 33 chicks per pen. The diets with Essential yielded approximately 4% higher AME (p = 0.003) and $AME_n$ (p = 0.001). Essential supplementation increased villus height in the jejunum on d 14 (p<0.05). Villus height:crypt depth ratio for the supplemented birds was larger (p<0.05) in the jejunum on d 7, larger (p<0.05) in the jejunum and ileum on d 14. In conclusion, these functional oils improved the energy utilization and the livability and decreased lesions caused by coccidiosis in supplemented bird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Meat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with Different Slaughter Weight

  • Kim, Il-Suk;Jin, Sang-Keun;Jo, Cheo-Run;Lee, Moo-Ha;Jang, Ae-R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23-27
    • /
    • 2008
  • The Korean native black pig (KNP) have several desirable meat qualities, which are highly demanded by Koreans in spite of its slow growth rate, low feed efficiency, and small litter siz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NP at different slaughter weigh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industry. Ninety female KNP of the same age (220 day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live body weights (30 pigs per each group); live weight of 50$\sim$59 kg (T1), 60$\sim$69 kg (T2) and 70$\sim$80 kg (T3), respectively. After slaughtering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LD) and backfat from each group were obtained after 24 hr chilling. Crude protein content and shear force of LD from T3 was higher than that from T1 and pH of L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at from T1 than from T2 and T3. Color measurement indicated that LD of T2 group had a higher $L^*$-value and lower $a^*$-value than those of T1 and T3. Slaughter weight of KNP generally did not affec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D and backfat but the content of oleic acid (C18:1) of T2 in L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1 and T3. The results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ndustry to promote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KNP, and assist in meeting the Korean consumer's demand.

타고난 면역반응이 활성화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액 항산화계에 미치는 사료중 미역제품 수준의 영향

  • 이혜정;임진택;박인경;최도열;최준영;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8-30
    • /
    • 2004
  • 사료중 미역제품 수준이 타고난 면역반응을 활성화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PS를 주입하여 타고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였다. 미역제품 2.0 % 사료는 뇨산태 질소의 배설량을 감소시켜 질소밸런스와 사료효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미역제품 1.0 % 사료는 타고난 면역 활성화시의 생산성 감소를 완화시켰다. 미역제품 2.0 % 사료는 혈장 SOD의 활성을 낮추었다. 그러나 타고난 면역의 활성화는 적혈구 세포액의 SOD 활성과 혈장 peroxide 수준을 유의하게 높였다. 미역제품 사료는 과산화물분해효소의 활성을 유의하게(P<0.05)높였다. 본 성적은 육계 병아리에서 미역제품 2.0 % 사료는 단백질 분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단백질 축적량을 높여서 육계병아리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미역제품 2.0 % 사료 급여시 급성기 반응 및 정상 병아리의 항산화계효소 활성 감소, 생산성의 증가는 혈액 항산화계의 변화와 연계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II. 시판 사료에 어보산 첨가시 넙치치어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Dietary Herb Obosan III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문영봉;정창화;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1-238
    • /
    • 2000
  • 시판되는 넙치용 부상사료에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을 농도별 (0, 0.6및 1.2%)로 첨가한 후, 넙치의 성장, 사료효율, 비만도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체중의 성장은 실험 8주 후부터 대조군과 첨가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실험종료시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7.8~9.1% 더 증가하였다 (P<0.05). 실험 전 기간을 통해 어보산 첨가군들의 일일성장률은 대조군보다 5.9~7.1%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첨가군들의 사료효율도 대조군보다 13.2-14.2% 더 향상됨을 보였으며, 실험종료시 비만도도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3.2~3.5% 정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특히 어보산 첨가군들 간의 성장 결과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음으로써, 어보산의 넙치 부상사료에 대한 적정 첨가농도는 0.6%로 판명되었다. 어보산 첨가농도별 넙치용 부상 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혈액성상을 분석한 결과, 각 실험군간 유의적 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0.05), 혈청성분은 대조군과 어보산 첨가군들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보산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total protein과 glucose에서 높았고, total cholesterol, GOT와 GPT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특히 혈청 GOT와 GPT에 있어 어보산 첨가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05).

  • PDF

메탄올의 전망(展望)과 그 의미(意味) (The Prospect of Methanol and Its Meaning)

  • 엄성진
    • 공업화학
    • /
    • 제3권1호
    • /
    • pp.1-6
    • /
    • 1992
  • 메탄올은 저급(低級) 탄소원(炭素源)의 활용(活用)이란 측면(側面)에서, 에너지 저장(貯藏) 운송(運送)이란 관점(觀點)에서 점점 관심(關心)을 끌고 있다. 특히 저급탄소원(低級炭素源)으로부터의 메탄올 합성기술(合成技術)은 이미 상업화(商業化)되어 있는 기술(技術)이기 때문에 더욱 현실적(現實的)인 기술(技術)로 대두되고 있다. 메탄올은 발전(發電), 도시(都市)가스, 화학원료(化學原料) 및 운송연료(運送燃料)로 저급(低級) 탄소원(炭素源)을 활용(活用)할 경우(境遇), 상호(相互) 연계(連繫)하는 매개체(媒介體)로 사용(使用)할 수 있으므로 이를 국익(國益) 차원(次元)에서 C1화학(化學) 기술(技術)을 통한 연계방안(連繫方案)을 기술(技術)하려고 시도하였다. 특히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를 자연계(自然界)에서처럼 일종(一種)의 수소저장(水素貯藏) 수단(手段)으로 메탄올 합성(合成)에 이용(利用)함으로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같은 환경문제(環境問題)를 줄이는 방안(方案)으로 제시(提示)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