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and water intake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2초

천연의 점토광물질 발효산물 급여에 의한 친환경 고품질 원료돈육 생산 (The Environment-Friendly High Quality Pork Production by feeding the Fermentation Products of Natural Clay Mineral)

  • 조진국;양승학;황성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55-64
    • /
    • 2012
  • 축산물 생산은 집약적 사육환경으로 인한 각종 병원균이 내재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어 항생제 및 각종 사료첨가제등의 사용이 날로 증가해왔다. 한편, 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농축산물 생산에 있어서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특수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복합미량원소(Se, Ge, Zn, S)를 강화시킨 점토광물질 발효 산물이 돈육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Large White와 Yorkshire 교잡종 80두를 대조구와 실험구로 임의 배치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점토광물질 발효산물을 사료 내 0.3% 첨가 급여했을 때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사료효율, 도체의 pH, 육색의 명도와 대퇴부의 밝기 등은 일반사료를 급여한 군과 비슷하였으나, 지육율은 2.7%, 도체육의 적색도는 12%, 보수력은 10% 개선되고 가열감량은 6% 감소하였다. 또한 면역기능조절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비육돈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증식 및 cytokine 분비 능을 조사한 결과, PBMC는 증식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PS와 Con A를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더욱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ytokine의 분비량도 TNF-${\alpha}$의 경우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고 원적외선 수치가 높은 점토광물 발효산물을 급여함으로써 면역능력이 강화되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성 높은 고품질 친환경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Red Color Light at Different Intensities Affects the Performance, Behavioral Activities and Welfare of Broilers

  • Senaratna, D.;Samarakone, T.S.;Gunawardena, W.W.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1052-1059
    • /
    • 2016
  • Red light (RL) marked higher weight gain (WG) and preference of broilers compared to other light col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intensities of RL affect the performance, behavior and welfare of broilers. RL treatments were T1 = high intensity (320 lux), T2 = medium intensity (20 lux); T3 = dim intensity (5 lux), T4 = control/white light at (20 lux) provided on 20L:4D schedule and T5 = negative control; 12 hours dark: 12 hours day light. Cobb strain broilers were used in a Complete Randomize Design with 6 replicates. WG, water/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FCR), mortality, behavior and welfare were assessed. At 35 d, significantly (p<0.05) highest body weight ($2,147.06g{\pm}99$) was recorded by T3. Lowest body weight ($1,640.55g{\pm}56$) and FCR (1.34) were recorded by T5. Skin weight was the only carcass parameter showed a significant (p<0.05) influence giving the highest (56.2 g) and the lowest (12.6 g) values for T5 and T1 respectively. Reduced welfare status indicated by significantly (p<0.05) higher foot pad lesions, hock burns and breast blisters was found under T3, due to reduced expression of behavior. Highest walking ($2.08%{\pm}1%$) was performed under T1 in the evening during 29 to 35 days. Highest dust bathing ($3.01%{\pm}2%$) was performed in the morning during 22 to 28 days and highest bird interaction (BI) ($4.87%{\pm}4%$) was observed in the evening by T5 during 14 to 21 days. Light $intensity{\times}day$ $session{\times}age$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walking, dust bathing and BI. Light intensity significantly (p<0.05) affected certain behaviors such as lying, eating, drinking, standing, walking, preening while lying, wing/leg stretching, sleeping, dozing, BI, vocalization, idling. In conclusion, birds essentially required provision of light in the night for better performance. Exposed to 5 lux contributed to higher WG, potentially indicating compromised welfare status. Further researches are suggested to investigate RL intensity based lighting regimen that favors for both production and welfare of Broilers.

Supplementation of Dried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Weaning Pigs

  • Jin, X.H.;Heo, P.S.;Hong, J.S.;Kim, N.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79-986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weaning pigs. A total of 120 weaning pigs ($28{\pm}3days$ and $8.04{\pm}0.08kg$ of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one of five treatments, based on sex and body weight, in 6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by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Supplementation level of dried mealworm was 0%, 1.5%, 3.0%, 4.5%, or 6.0% in experimental diet as treatment. Two phase feeding programs (phase I from 0 day to 14 day, phase II from 14 day to 35 day)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ll animals were allowed to access diet and water ad libitum. During phase I, increasing level of dried mealworm in diet linearly improved the body weight (p<0.01), average daily gain (ADG) (p<0.01)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0.01). During phase II, ADG also tended to increase linearly when pigs were fed higher level of dried mealworm (p = 0.08). In addition, increasing level of dried mealworm improved the ADG (p<0.01), ADFI (p<0.05) and tended to increase gain to feed ratio (p = 0.07)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As dried mealworm level was increased, nitrogen retention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s well as crude protein were linearly increased (p = 0.05). In the results of blood profiles, decrease of blood urea nitrogen (linear, p = 0.05) and increas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linear, p = 0.03) were observed as dried mealworm was increased in diet during phase II.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munoglobulin A (IgA) and IgG concentration by addition of dried mealworm in the growth trial. Consequently, supplementation of dried mealworm up to 6% in weaning pigs' diet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immune responses.

사전 고온 적응이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ly Heat Conditioning on Performance in Broilers exposed to Heat Stress)

  • 윤형숙;황보종;양영록;김지민;김연화;박병성;최양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7-303
    • /
    • 2014
  • 생애 초기 고온 적응은 이후 고온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닭이 고온 저항성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일령의 고온 적응이 이후 고온 스트레스를 받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생추 아버에이커를 23시간 점등 1시간 소등의 조명 환경 조건을 가진 동일한 크기의 두 사육실에 수용한 후,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급여하였다. 5일령에 사전 고온 적응구는 24시간 동안 $37^{\circ}C$의 고온에 노출된 후 정상의 온도로 돌려졌고, 대조구에서는 정상적인 감온 일정에 따라 사육되었다. 21일령에 두 사육실의 육계는 각각 두 집단으로 나누어 총 4처리구(CON+CON: control+control; CON+HS: control+heat stress; HC+CON: heat conditioning+control; HC+HS: heat conditioning+heat stress)로 배치하였고, 이 상태에서 7일간의 환경 적응 기간을 가졌다. 28일령에 하나의 사육실에 있는 육계는 3일 동안 고온 스트레스($21^{\circ}C{\rightarrow}31^{\circ}C$)에 노출되었고, 대조구는 실온상태에서 사육되었다. 고온 스트레스 결과,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P<0.05), 직장온도와 폐사율은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전 고온 적응의 효과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사전 고온 적응의 효과는 종계의 나이나 계통의 차이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적용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복적인 고온환경이 사전고온 적응한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eated High Ambient Temperature on Performance in Broilers Heat-Conditioned at an Early Age)

  • 황보종;양영록;윤형숙;김지민;박병성;최희철;최양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7-265
    • /
    • 2015
  • 생후 초기에 고온을 경험하게 되면 이후 고온환경에 대하여 저항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일령의 병아리에게 단시간 고온을 경험하게 한 다음, 29일령에 1차 고온환경을 경험한 육계에서 반복된 고온환경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버에이커 초생추를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사육실에 수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조명 환경 조건은 점등 23시간, 소등 1시간이었다. 사전 고온 적응구는 5일령에 $37^{\circ}C$의 고온에 24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정상 온도로 돌려졌고, 대조구의 감온 일정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21일령에 육계를 기존에 수용된 사육실에서 반을 다른 사육실로 옮겨, 한 사육실 내 대조군와 열 적응구가 각각 4개의 Pen에 배치되게 하였다. 1)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양자 모두를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CON+CON), 2) 사전고온 적응을 경험했지만 고온환경을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HC+CON), 3) 사전고온 적응 없이 고온환경만 경험한 육계집단(CON+HS), 4)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모두를 경험한 육계집단(HC+HS) 을 가지는 이원배치법(HC vs. HS) 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29일령부터 3일 동안 고온환경에 노출된 육계들은 43일령부터 재차 고온환경을 경험하였다. 고온환경 처리구에서 사육실 온도를 $32^{\circ}C$($2^{\circ}C$/1 h)까지 올려 3일 동안 유지하였으며, 대조구는 $22^{\circ}C$로 유지되었다. 고온환경은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체중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직장 온도와 폐사율 및 corticosterone의 농도를 증가시켰고, 혈액 생화학 성분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사전열적응한 육계에서는 비장의 상대무게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사전고온 적응은 반복적으로 고온환경을 경험하는 육계에게 고온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등체계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ing Regim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 나재천;박성복;강환구;김동욱;김민지;방한태;채현석;최희철;서옥석;홍의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3-182
    • /
    • 2012
  • 본 연구는 점등 조절 방법이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1일령 초생추 (Ross) 912수를 암수 구별하여 3처리 4반복 반복당 암컷 42수, 수컷 34수씩 공시하였다. 암수 모두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P>0.05). 가슴육의 가열감량과 보수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단력은 점등 처리구가 자연일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0.05). 계육의 일반성분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암수 모두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점등시간을 조절해 주는 것이 육계에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four dim vs high intensity red color light regimens on growth performance and welfare of broilers

  • Senaratna, D.;Samarakone, T.S.;Gunawardena, W.W.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149-156
    • /
    • 2018
  • Objective: Broilers show clear preference towards red color light (RL). However setting of an optimum light intensity is difficult since dim intensities that favor growth reduce welfa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est the most effective RL intensity regimen (Dim [5 lux; DI] vs high [320 lux; HI]) in combination appli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at favors for both performance and welfare. Methods: Complete randomize design was adopted with 6 replicates. Treatments were; T1 = early DI (8-21 d)+latter HI (22-35 d); T2 = early DI (8-28 d)+latter HI (29-35 d), T3 = early HI (8-21 d)+latter DI (22-35 d), T4 = early HI (8-28 d)+latter DI (29-35 d) and T5 = control (white light; WT) (8-35 d) at medium intensity (20 lux). Body weight (BW), weight gain (WG), water/feed intake and ratio, feed conversion ratios (FCR) were assessed. Common behaviours (15) were recorded by scan sampling method. Lameness, foot pad dermatitis, breast blisters, hock burning damage were assessed as welfare parameters. Fear reactions were tested using Tonic Immobility Test. Ocular and carcass evaluations were done. Meat and tibiae were analyzed for fat and bone ash respectively. Results: On 35 d, the highest BW ($2,155.72{\pm}176g$), WG ($1,967.78{\pm}174g$) were recorded by T2 compared to WT ($BW_{WT}=1,878.22{\pm}155$, $WG_{WT}=1,691.83{\pm}160$). But, application of RL, either DI, or HI during early/latter stag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CR. Under HI, birds showed much higher active behaviours. DI encourages eating. Though LI changed from DI to HI, same trend could be seen even under HI. The highest leg strength ($218.5{\pm}120s$) was recorded by T2. The lowest leg strength ($64.58{\pm}33s$) and the highest ocular weight ($2.48{\pm}1g$) were recorded by T1.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skin weight ($162.17{\pm}6g$) but the lowest fat% in meat ($13.03%{\pm}5%$) was recorded by T2. Conclusion: Early exposure to DI-RL up to 28 days followed by exposure to HI-RL is the most favorable lighting regimen for optimizing production, better welfare of broilers and improving health benefits of meat.

인분해효소를 급여한 산란계에서 배출되는 계분의 성상과 비료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osition and Fertilization of Feces from Laying Hens Fed Dietary Phytase)

  • 임천익;김성준;김주은;송성은;이덕배;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5-32
    • /
    • 2022
  • 사료 내 인분해효소를 첨가급여한 산란계에서 사료섭취당 생계분 발생량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2,000 FTU/kg 인분해효소 처리구에서 발생한 생계분은 높은 함수율로 인하여 건계분 배출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질소, 인산, 칼리의 배출량도 모두 감축되었다(P<0.05). 부숙한 계분으로 복합비료를 제조한 결과 인분해효소 급여에 따른 퇴비의 배합량과 비료의 양분 함량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퇴비의 구성비는 25~30% 함수율의 퇴비를 사용 시에 비료 내 69.6~71.6%를 차지하였으며, 40~60% 함수율 퇴비는 비료 내 13.0~47.1%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계분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계분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계분퇴비는 함수율 조절 및 다른 원료들과의 조합을 통해 양분 균형을 맞춘 복합비료의 주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초가 랫드의 배 · 태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corice on Embryonic and Fetal Development in Rats)

  • 신선희;장자영;백인정;연정민;남상윤;윤영원;조대현;김순선;이규식;곽승준;김윤배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25-332
    • /
    • 2005
  • The developmental toxicity of water extract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was evaluated in rats. Licorice extract (500, 1,000 or 2,000 mg/kg) was dissolved in drinking water and orally administered to male rats from 9 weeks before mating to the day of copulation, and to females from 2 weeks before mating to gestational day 19. On gestational day 20, the animals were sacrificed for Cesarian section, and maternal and fetal abnormalities were examined. Licorice extract neither induce clinical signs, nor affect the body weight gain, feed and water intake, estrous cycle, copulation and fertility rates, blood $17\beta-estradiol$ level and organ weights of dams. Also, the implantation and development including body weights, absorption and death of embryos and fetuses were not influenced by in utero exposure to licorice. In addition, there were no increases in external, visceral and skeletal abnormalities of fetuses.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of licorice extract is higher than 2,000 mg/kg, and that long-term in utero exposure to licorice might not cause developmental toxicities of embryos and fetuses.

사료 내 생약물질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Herbal Mixture on the Lay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김찬호;강환구;황보종;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67
    • /
    • 2015
  • 본 실험은 구기자와 감초 복합제를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60주령의 산란계(Hy- Line Brown) 8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4처리구(HM 0.0, 0.5, 1.0 및 1.5% 첨가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5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조명=16hr)를 실시하였다.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은 7주 평균에서 HM 0.5%, 1.5%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HM을 첨가한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요구율은 HM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았다. 난황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반면, 혈액 성상 중 leukocytes 함량들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장 IgM 함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HM은 산란계의 산란율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면역성상중 IgM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