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brile seizure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초

경미한 감염과 관련된 유발성 경련과 열성 경련의 비교 (A comparison of provoked seizures and febrile seizures associated with minor infections)

  • 이은주;김원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4호
    • /
    • pp.376-380
    • /
    • 2007
  • 목 적 : 중추 신경계를 제외한 기타 경미한 감염의 경우에 유발성 경련 및 열성 경련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또한 이러한 경련 환아들을 추적해 보았을 때 비유발성 경련으로의 발현과는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에 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첫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 중에서 중추 신경계에 관련된 감염을 제외한 경미한 감염을 원인으로 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를 유발성 경련과 열성 경련으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원인별 비교 및 역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유발성 경련과 열성 경련 환아를 대상으로 1년 이상의 추적 관찰을 시행하여 비유발성 경련으로의 이행 여부를 조사하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총 120명의 환아들 중에서 유발성 경련은 36명, 열성 경련은 84명이었고, 여러 원인들 가운데 위장관염과 호흡기계 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두 원인 군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유발성 경련의 경우는 위장관염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고, 열성 경련의 경우는 호흡기계 감염이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경미한 감염원인 인자들과 경련과의 분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경련에 따른 비유발성 경련으로의 이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보다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 소아에서 감염에 관련된 이러한 경련의 경우는 중추 신경계에 관련된 경우보다 경련에 대한 주의와 신속한 대처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러한 경미한 감염이 있는 경우에도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여지며 향후 비유발성 경련 발현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Early postictal electroencephalography and 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 Jeong, Kyung A;Han, Myung Hee;Lee, Eun Hye;Chung, Sa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2호
    • /
    • pp.534-539
    • /
    • 2013
  • Purpose: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frequently ordered for patients with febrile seizures despite its unclear diagnostic value.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EEGs,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findings and abnormal EEGs, and the predictive value of EEG for the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230 children who were treated for febrile seizures at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2005 to 2009. EEGs were recorded after 1-2 days of hospitalization when children became afebrile. EEG patterns were categorized as normal, epileptiform, or nonspecific relative to abnormalities.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families of the children were conducted to inquire about seizure recurre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seizure recurrence, and EEG abnormalitie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131 children included, 103 had simple and 28 had complex febrile seizures. EEG abnormalities were found in 41 children (31%). EEG abnormalities were more common in children with complex than simple febrile seizures (43% vs. 28%),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aving multiple seizures in a 24-hour period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of abnormal EEG (odds ratio, 2.98; 95% confidence interval, 1.0 to 88; P =0.048). The frequency of recurre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normal (31%) and abnormal (23%) EEG groups. Conclusion: Multiple seizures within 24 hours were predictive of abnormal EEG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bnormal EEG was not predictive of febrile seizure recurrence.

Serum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febrile seizures: is there a link?

  • Mahyar, Abolfazl;Ayazi, Parviz;Orangpour, Reza;Daneshi-Kohan, Mohammad Mahdi;Sarokhani, Mohammad Reza;Javadi, Amir;Habibi, Morteza;Talebi-Bakhshayesh, Mous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10호
    • /
    • pp.440-444
    • /
    • 2014
  • Purpose: Febrile seizures are induced by fever and are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s in children.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febrile seizures, their pathophysiology remains unclea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ytokines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ebrile seizur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links between serum interleukin-1beta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febrile seizures. Methods: Ninety-two patients with simple or complex febrile seizures (46 patients per seizure type), and 46 controls with comparable age, sex, and severity of temperature were enrolled. Results: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serum IL-$1{\beta}$ in the simple, complex febrile seizure, and control groups were 0.05, 0.1, and 0.67 pg/mL, respectively (P=0.001). Moreover,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TNF-${\alpha}$ in the simple, complex febrile seizure, and control groups were 2.5, 1, and 61.5 pg/mL, respectively (P=0.001).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groups in serum IL-$1{\beta}$ and TNF-${\alpha}$ levels (P<0.05). Conclusion: Unlike previous studies, our study does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creased IL-$1{\beta}$ and TNF-${\alpha}$ production i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febrile seizures.

Epilepsy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febrile seizures

  • Lee, Sang Hyun;Byeon, Jung Hye;Kim, Gun Ha;Eun, Baik-Lin;Eun, So-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2호
    • /
    • pp.74-79
    • /
    • 2016
  • Purpose: Febrile seizure, the most common type of pediatric convulsive disorder, is a benign seizure syndrome distinct from epilepsy. However, as epilepsy is also common during childhood, we ai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that can predict epilepsy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Methods: The study comprised 249 children at the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who presented with febrile seiz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and clinical factors including seizure and fever-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wenty-five patients (10.0%) had additional afebrile seizures later and were diagnosed with epilepsy.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febrile seizures was associated with a seizure frequency of more than 10 times during the first 2 years after seizure onset (P<0.001).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were developmental delay (P<0.001), preterm birth (P =0.001), multiple seizures during a febrile seizure attack (P =0.005), and epileptiform discharges 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P =0.008). Other factors such as the age at onset of first seizure, seizure duration, and family history of epilepsy were not associated with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in this study. Conclusion: Febrile seizures are common and mostly benign. However, careful observation is needed, particularly for prediction of subsequent epileptic episodes in patients with frequent febrile seizures with known risk factors, such as developmental delay, history of preterm birth, several attacks during a febrile episode, and epileptiform discharges on EEG.

Respiratory syncytial virus-associated seizures in Korean children, 2011-2016

  • Cha, Teahyen;Choi, Young Jin;Oh, Jae-Won;Kim, Chang-Ryul;Park, Dong Woo;Seol, In Joon;Moon, Jin-Hw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4호
    • /
    • pp.131-137
    • /
    • 2019
  • Purpos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infection can cause various neurological complica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SV-associated neurologic manifestations that present with seizur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ged less than 15 years with laboratory-confirmed RSV infections and seizures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6 in a regional hospital in South Korea. Results: During this period, 1,193 patients with laboratory-confirmed RSV infection were identified. Of these, 35 (35 of 1,193, 2.93%; boys, 19; girls, 16; mean age: $20.8{\pm}16.6months$) presented with seizure. Febrile seizure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27 of 35, 77.1%); simple febrile seizures in 13 patients (13 of 27, 48.1%) and complex febrile seizures in 14 (14 of 27, 51.9%). Afebrile seizures without meningitis or encephalopathy were observed in 5 patients (5 of 35, 14.3%), seizures with meningitis in 2 (2 of 35, 5.7%), and seizure with encephalopathy in 1 (1 of 35, 2.9%) patient. Lower respiratory symptoms were not observed in 8 patients. In a patient with encephalopathy, brain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transient changes in white matter, suggesting cytotoxic edema as the mechanism underlying encephalopathy. Most patients recovered with general management, and progression to epilepsy was noted in only 1 patient. Conclusion: Although febrile seizure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associated with RSV infection,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omplex febrile seizures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general febrile seizures. Transient cytotoxic edema may be a pathogenic mechanism in RSV-related encephalopathy with seizures.

열성 경련 재발의 위험인자와 그들의 조합에 따른 재발률 조사 (Recurrence Rate of Febrile Seizures by Combining Risk Factors)

  • 문수정;선규근;김은영;나경희;박선영;김경심;김용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403-1410
    • /
    • 2002
  • 목 적: 열성 경련은 6개월에서 5세사이 소아의 2-5%가 경험하게 되는 소아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신경계 질환으로, 열성 경련 환아 중 30-50%가 재발을 경험한다. 열성 경련의 재발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들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되어 있으나, 여러 위험인자들이 재발에 관계되어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개개 위험인자에 따른 분석보다는 여러 인자들을 조합해 재발률이 높은 환자군을 가려내어 이들에게 예방적 항경련제를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재발의 위험인자들을 알아 보고, 나아가 의의있는 인자들을 조합하여 재발률이 높은 군을 가려냄으로써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항경련제 투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2년 5개월동안 본원에 열성 경련으로 입원한 환자 중 최소 2년이상 외래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첫 열성 경련의 발생 연령, 열성 경련과 간질의 가족력 유무, 첫 경련의 형태, 신경학적 이상 유무, 뇌파의 이상 유무 등에 따라 재발률을 조사, 비교하였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던 재발의 위험인자들을 조합하여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위험인자별 재발률 첫 열성 경련의 발생 연령이 12개월 이전이었던 68명 중 48명(70.5%)에서 재발하여, 12개월 이후에 첫 경련이 있었던 군(66/136명, 48.5%)에 비해 재발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27). 사촌이내에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는 52명 중 39명(75.0%)이 재발하여, 가족력이 없는 군(75명/152명, 47.5%)에 비해 재발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06). 성별, 간질의 가족력, 첫 열성 경련의 형태, 첫 경련전 신경계 발달 이상, 뇌파의 이상 등은 열성 경련의 재발을 증가시키지 못했다. 2. 유의한 재발인자들의 조합에 따른 재발률 열성 경련의 가족력과 첫 열성 경련의 발생 연령이 재발의 위험인자로 유의하였으므로 이들 인자들을 조합하여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1) 첫 재발률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없고 첫 경련시기가 12개월 이후였던 경우(위험인자가 없는 경우)는 43.8%에서 재발이 일어났다.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없고 첫 경련의 시기가 12개월 이전이었던 경우(위험인자가 하나)는 61.7%에서 재발이 일어났다.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으면서 첫 경련의 발생이 12개월 이후였던 경우(위험인자가 하나)는 64.5%에서 재발이 일어났다.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으면서 12개월 이전에 첫 경련이 있었던 경우(두가지 위험인자를 모두 가진 경우)는 90.4%에서 재발이 일어났다. 2) 두 번째 재발률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는 18.1%, 하나인 경우는 44.7%, 54.9%였고, 두가지 위험인자를 모두 가진 경우는 81.0%의 높은 재발률을 보였다. 결 론 : 열성 경련의 가족력과 첫 열성 경련의 발생연령(12개월 미만)이 열성 경련 재발의 의미있는 위험인자이었고, 인자 조합시 유의한 재발인자의 수가 많아지면 재발률도 증가하였다. 열성 경련의 가족력이 있으면서 12개월 이전에 첫 열성 경련이 있었던 환아들은 재발률이 90%나 되는 고위험군에 속하였다.

복합 열성 경련 후 간질 발생 환아의 임상적 고찰; 단기 추적 관찰 결과 (Unprovoked seizures in children with complex febrile convulsion; short-term outcome)

  • 최지연;천은정;이영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57-760
    • /
    • 2007
  • 목 적 : 열성 경련은 간질과는 구별되는 양성 질환이지만 복합 열성 경련에서는 간질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 열성 경련의 정의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간질 이행의 발생률이 증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열성 경련으로 건양대학교 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정보는 의무 기록 분석과 부모와의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2000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열성 경련으로 본원을 내원한 환아는 314명이었으며, 이 중 복합 열성 경련으로 진단받은 환아는 63명(20.0%)으로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은 44명(44/63, 70.0%)에서 가능했다. 평균 $34.2{\pm}11.6$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동안 10명에서 간질이 발생하였고, 부분 발작(57.1%)을 한 경우가 2회 이상(26.7%) 또는 15분 이상의 경련(24.1%)과 비교하였을때 더 높은 간질 발생률을 보였다. 결 론 : 복합 열성 경련이 있는 환자에서 첫 열성 경련의 양상이 부분 발작의 형태로 나타난 경우에 이후 간질 발생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Selenium and leptin levels in febrile seizure: a case-control study in children

  • Khoshdel, Abolfazl;Parvin, Neda;Abbasi, Maed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2호
    • /
    • pp.80-85
    • /
    • 2013
  • Purpose: Febrile seizures (FS) are seizures that occur between the age of 6 and 60 months, but its pathophysiology still is not fully understood.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selenium and leptin with F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selenium and leptin in children with FS.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hahrekord, Iran, in 2011. The serum levels of selenium and leptin of 25 children with simple febrile seizure (case group) were compared with 25 febrile children without seizure (control group) in acute phase and after three months. The levels of serum selenium and leptin were measur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 respectively. Results: In acute phase, the mean serum level of selenium in case and control groups were $95.88{\pm}42.55$ and $113.25{\pm}54.43{\mu}g/dL$, respectively, and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415), but after three months, this level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groups (P<0.001). In acute phase, the mean serum leptin level in case and control groups were $0.94{\pm}0.5$ and $0.98{\pm}0.84$ ng/mL, respectively, but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405). After three months, serum leptin level had no significant change in both groups (P=0.882).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serum levels of selenium and leptin have not specific relation with FS but overllay is lower, however,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Also selenium level in stress and acute pha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recovery phase.

Febrile seizures

  • Chung, Sa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9호
    • /
    • pp.384-395
    • /
    • 2014
  • Febrile seizure (FS) is the most common seizure disorder of childhood, and occurs in an age-related manner. FS are classified into simple and complex. FS has a multifactorial inheritance, suggesting that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ausative. Various animal models have elucidated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FS. Risk factors for a first FS are a family history of the disorder and a developmental delay. Risk factors for recurrent FS are a family history, age below 18 months at seizure onset, maximum temperature, and duration of fever. Risk factors for subsequent development of epilepsy ar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y and complex FS. Clinicians evaluating children after a simple FS should concentrate on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child's fever. Meningiti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for any febrile child. A simple FS does not usually require further evaluation such as ordering electroencephalography, neuroimaging, or other studies. Treatment is acute rescue therapy for prolonged FS. Antipyretics are not proven to reduce the recurrence risk for FS. Some evidence shows that both intermittent therapy with oral/rectal diazepam and continuous prophylaxis with oral phenobarbital or valproate are effective in reducing the risk of recurrence, but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se medications reduce the risk of subsequent epilepsy. Vaccine-induced FS is a rare event that does not lead to deleterious outcomes, but could affect patient and physician attitudes toward the safety of vaccination.

인플루엔자 감염과 연관된 열성경련의 임상적 특징 (Impact of Influenza Infection on Febrile Seizures: Clinical Implications)

  • 장한나;이은혜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1-226
    • /
    • 2018
  • 목적: 열성 경련은 생후 첫 5년간 흔히 발생하는 경련성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다. 인플루엔자 감염은 열성경련을 포함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연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열성 경련에 대한 인플루엔자 감염의 임상적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388명의 소아 중 인플루엔자가 동반된 열성경련 환아 75명, 인플루엔자가 동반되지 않은 열성경련 환아는 313명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발작 유형, 발작 빈도, 발작 기간, 열성경련의 가족력 및 간질의 발병과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88명의 열성 경련 환자 중 75명(19.3%)가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반되었다.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반된 열성경련 환자가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반되지 않는 환자보다 평균적으로 나이가 많았으며 ($34.9{\pm}22.3$개월 vs $24.4{\pm}14.2$개월, P<0.001), 이전에 열성경련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더 흔하였다(40/75 (53.3%) vs 92/313 (29.4%), P<0.01). 또한 60개월을 기준으로 환자 군을 나누어 보았을 때 60개월이상 열성경련 소아에서 인플루엔자 감염 비율이 60개월 미만인 소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11/22 (50%) vs 64/366 (17.5) %, P=0.001). 결론: 인플루엔자 감염은 연장아의 열성경련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열성경련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재발과 관련이 있다.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반된 연장아의 열성 경련 환자에서 추후 뇌전증 발병이나 항경련제의 복용 여부에 대한 장기적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