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brile infa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2초

2세 미만 소아의 첫 발열성 요로 감염에서 연령군에 따른 발병양상 및 영상의학적 검사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with First Febrile UTI Under 2 Years of Age)

  • 고희정;김태형;조혁;김지홍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29-238
    • /
    • 2007
  • 목 적 : 2세 미만의 요로감염 환아는 방광요관 역류의 빈도와 역류성 신염의 유병률이 높아 VCUG를 시행하여 신요로계의 기형여부를 조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검사의 부작용 및 합병증으로 모든 환자에서 시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2세미만의 요로감염 환아를 6개월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임상양상과, 급성 신실질 손상의 빈도, 방광요관역류 유병률을 조사하여 연령군별 특성을 파악하고, 방광요관역류의 동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영상의학적 지표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첫 발열성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11명의 환아를 연령에 따라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의 영아군과 6개월 이상 2세 미만의 유아군으로 구별하여 발병 당시의 임상양상, 진단검사의학적 결과,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총 212명의 환아 중 영아군은 121명(57%), 유아군은 91명(43%)이었으며, 영아군에서 남아의 요로감염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고 원인균주로 E.coli의 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DMSA 신스캔상 급성 신실질 손상은 영아군에서 50%, 유아군에서는 33%로, 영아군에서 급성 신실질손상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방광요관역류는 VCUG를 시행한 84명 중 24명(29%)에서 발견되었고, 첫 발열성 요로감염을 보였던 전체 대상 환아의 11%(211명 중 11명)에서 발견되었으며, 두 연령군 간의 의미 있는 빈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MSA 신스캔상 신실질손상이 있었던 환아에서의 방광요관역류의 빈도는 40%로 손상이 없었던 환아의 빈도 15% 보다 의미 있게 높았으며, 특히 영아군에서 DMSA상 신실질 손상유무에 따른 방광요관역류 존재 가능성이 의미 있게 높았다. 경증의 방광요관역류 환자 중 55%, 중증의 방광요관역류 환아 중 100%에서 DMSA 신스캔상 신실질손상이 관찰되어, 중증의 방광요관역류에서 신실질손상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 PDF

Analysis of Uropathogens of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in Infant and Relationship with Vesicoureteral Reflux

  • Kim, Kyung Hwan;Seo, Seung Hee;Lee, Sang Don;Chung, Jae Min
    • Urogenital Tract Infection
    • /
    • 제13권3호
    • /
    • pp.58-6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opathogens of infants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and vesicoureteral reflux (VU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308 infants hospitalized for febrile UTI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5, and assessed the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The medical records, including clinical symptoms, laboratory findings, urinalysis, urine culture tests, ultrasound (US), dimercaptosuccinic acid scan, and VCUG, were retrospectively obtained. The incidences of VUR and high-grade VURs (III, IV, and V) were analyzed in 4 groups categorized by uropathogens and renal US findings. Results: The mean age of 308 infants was $3.29{\pm}2.18months$. The male-to-female ratio was 3.46:1. In urine culture tests, 267 infants (86.69%) showed single bacterial uropathogen; Escherichia coli in 241 infants (78.25%) and non-E. coli uropathogens in 26 infants (8.44%). Multiple distinctive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as causative uropathogens in 41 infants (13.31%). Abnormal findings of US and VCUG were identified in 216 and 64 patients, respectively. In 308 infants, the incidences of VUR and high-grade VUR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4 groups. In 239 male infants, the incidences of high-grade VUR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non-E. coli single or multiple uropathogen and with abnormal US findings (p=0.042). Conclusions: In male infants with non-E. coli uropathogen or multiple uropathogens and with abnormal US findings at febrile UTI, there was an increased chance of finding high-grade VURs on subsequent VCUG tests.

Delta neutrophil index as a predictor of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 Kim, Jae Eun;Oh, Jun Suk;Yoon, Jung Min;Ko, Kyung Ok;Cheon, Eun Ju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46-51
    • /
    • 2022
  • Purpose: Delta neutrophil index (DNI) indicates immature granulocytes in peripheral blood and has been confirmed to be effective as a prognostic factor for neonatal sepsis. Also,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diagnostic value in acute pyelonephritis and in predicting vesicoureteral reflux (VUR) in the infant. We conducted the study to verify whether DNI is also helpful in the entire pediatric age group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Methods: Medical records of children hospitalized for febrile UT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subjects underwent kidney ultrasound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 In the group with and without VUR, we compared sex and age, and the following laboratory values: the white blood cell count, neutrophil, polymorphonuclear leucocyte, eosinophil, hemoglobin, platelet count, C-reactive protein, DNI value, and the finding of ultrasound. Results: A total of 315 patients (163 males and 152 females; range, 0-127 months) were eligible, and 41 patients (13%) had VUR.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white blood cell count, neutrophil, DNI, and ultrasonic abnormalities were high in the reflux group, and the hemoglobin and lymphocyte fraction values were low. The value of DNI and the abnormal ultrasou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flux group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area under the curve value of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was higher in DNI (0.640; 95% confidence interval, 0.536-0.744; P=0.004), and the DNI cutoff value for VUR prediction was 1.85%. Conclusions: We identified that ultrasound findings and DNI values were helpful predictors of VUR in pediatric febrile UTIs.

조기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농양으로 진행한 영아 요로감염 1례 (A Case of Infantile Urinary Tract Infection that Progressed to Renal Abscess Despite Early Antibi otic Treatment)

  • 홍은영;이지현;정아영;이정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1호
    • /
    • pp.58-62
    • /
    • 2012
  • 방광요관역류(5등급)가 동반된 요로감염영아(4개월)에서 발열 초기(15시간)에 민감한 항생제로 치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농양으로 진행되었고 장기 항생제 치료(6주)와 초음파 감시하 세침 흡인으로 경도의 신반흔을 남기고 호전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linical Significance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producing Bacteria in First Pediatric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 Park, Sun Yeong;Kim, Ji Ho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28-135
    • /
    • 2017
  • Purpos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bacteria-induced urinary tract infections are increasing and require more potent antibiotics such as carbapenems. We evalu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to select proper antibiotics and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Differences were compared between age groups.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288 patients with their first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when they were younger than 5 years. Patients were divided into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ositive and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negative urinary tract infection group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 infant group was separately analyzed (onset age younger than 3 months). Results: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urinary tract infection occurred in 11 % patients who had more frequent previous hospitalization (P=0.02) and higher recurrence rate (P=0.045). During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th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ositive urinary tract infection group showed resistance to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s; however, 98% patients responded clinically. In the infant group,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ositive urinary tract infection occurred in 13% patients and was associated with a longer pre-onset hospitalization history (P=0.002), higher C-reactive protein level (P=0.04), and higher recurrence rate (P=0.02) than that in the older group. Conclusion: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urinary tract infection requires more attention because of its higher recurrence rate.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demonstrated resistance to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s, but they can be used as first-line empirical antibiotics because of their high clinical response rate. Aminoglycosides can be second-line antibiotics before starting carbapenems when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s do not show bactericidal effects for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urinary tract infection.

원인 없는 열로 입원한 생후 28일에서 90일 사이 영아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Hospitalized Infants 28 to 90 Day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 류민혁;노윤일;이성훈;이선영;허남진;이동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191-198
    • /
    • 2001
  • 목 적 : 최근 3개월 이하의 열이 나는 영아에서 특정 임상 경과나 검사실 소견으로 확인된 일부의 환자들은 심각한 세균 감염에 대해 저위험군에 속하며 이들은 외래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다고 한다. 본원 소아과에서는 원인 없이 열이 나는 생후 28일에서 90일 사이의 어린 영아들은 패혈증 의심하에 입원하여 세균성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질 때까지는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지난 1년 동안 원인 없이 열이 나서 입원 치료한 이 연령군의 영아들을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 치료 방향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울산동강병원 소아과에 원인 없이 열이 나서(직장 체온${\geq}38^{\circ}C$) 패혈증 의심하에 입원 치료하였던 131례를 대상으로 성별분포, 계절분포, 원인질환, 발열기간 등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심각한 세균감염증에 대한 저위험군의 환아를 식별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기준인 개선된 Rochester criteria를 이용하여 대상환아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131례 중 요로감염이 60례(45.8%)로서 가장 많았고, 무균성 뇌막염이 33례(25.2%), 균혈증 2례(1.5%), 특별한 진단명을 붙일 수 없는 예가 36례(27.5%)였다. 균혈증 2례의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였다. Rochester criteria의 저위험군에 속하는 예가 57례(43.5%), 그렇지 않은 군에 속하는 예가 74례(56.5%)였으며, 요로감염은 저위험군, 그렇지 않은 군은 각각 43.8%, 47.3%, 무균성 뇌막염이 각각 28.1%, 23.0%, 특별한 진단명을 붙일 수 없는 예가 각각 28.1%, 27.0%로서 두 군간의 차이가 없어 Rochester criteria가 본 연구대상 환아들에게는 이들 질환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지 못했다. 2례의 균혈증은 모두 저위험군이 아닌 군에 속해 있었다. 남아 85례, 여아 46례로서 남녀비가 1.8 : 1이였고, Rochester criteria에 의한 저위험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남녀비는 1.9 : 1, 1.8 : 1오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봄철과 여름철에 각각 35.1%, 36.7% 발생하여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무균성 뇌막염은 봄철 16례(48.5%), 여름철 13례(39.4%), 겨울철 4례(12.1%) 발생하였는데, 봄철에 발생한 환아 중 12례는 5월에, 여름철에 발생한 13례 중 12례는 6월에 발생하여 5월과 6월에 대부분 발생하였다. 항생제 투여 후 발열이 소실되는 기간이 48시간 이내에 61.8%, 72시간 이내가 83.2%로서 48~72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열이 소실되었으며, Rochester criteria에 의한 저위험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비교시 48시간 이내가 각각 54.4%, 67.6%, 72시간 이내가 각각 78.9%, 86.5%로서 두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생후 28일에서 90일 사이의 원인 없이 열이 나는 어린 영아는 철저한 이학적 검사와 검사실 소견으로 저위험군에 속하는 경우 보호자가 잘 돌볼 능력이 있고 의사와 연락이 잘 되는 경우 외래 치료가 가능하겠으며, 소변 배양 검사는 채뇨백보다는 도뇨관 채뇨법이나 방광 천자로서 채취한 소변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하겠다. 향후 좀 더 바람직한 치료방침을 정하기 위해서 전향적인 연구가 꼭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영아에서 철결핍 빈혈과 열성경련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iron deficiency anemia and febrile convulsion in infants)

  • 전윤수;방호일;유승택;신새론;최두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392-396
    • /
    • 2010
  • 목 적 : 철 결핍 빈혈과 열성경련은 6개월-2세 사이에 호발하며 철 결핍 빈혈은 영아에서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키고 열성경련은 간질과 관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보고가 있어 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7월 31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치료 받은 9개월에서 2세사이의 발달 지연이나 신경학적 결함 및 중추신경계 감염이 없는 열성 경련 환아 100명과 열성 경련이나 이전의 경련 병력이 없이 발열 증세를 보인 10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의무 기록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열성경련 군과 대조군, 단순 열성경련 군과 복합 열성 경련 군 사이의 평균 연령, 성별, 원인질환별 차이는 없었다. 복합 열성경련 군에서 단순 열성경련 군에 비해 총 경련 횟수, 내원시 경련 시간과 횟수가 의의 있게 높았으며, 경련 시 최고 체온과 전체 열 발생 기간은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철 결핍 빈혈은 열성경련 군에서 39%로 대조군의 28%에 비해 많았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평균 적혈구 용적, 평균 적혈구 혈색소는 열성경련 군에서 높았으나 차이는 없었고, 열성경련 군에서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는 의미 있게 높고 적혈구 분포 폭은 낮았다. 단순 열성경련 군과 복합 열성경련 군 사이에는 혈액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P 값 0.010 미만인 몇가지 인자들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열성경련 군에서 빈혈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 론 : 열성경련과 철 결핍 빈혈이 상호 관련성이 비록 단변량 분석 시에는 의미가 없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 주어 열성경련의 재발이나 악화를 막기 위해 적극적인 빈혈에 대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요로감염에 관한 연구 (Urinary Tract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with Pyuria)

  • 이수영;조성희;김선미;정대철;정승연;이경일;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90-100
    • /
    • 2004
  • 목 적 : 최근 요배양이 음성이거나 기준이하의 세균 집락이 있었던 경우에서도 신피질 손상이나 요역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 소변 배양검사에서 낮은 세균 집락을 보인 경우에도 요로 감염이 확인된 연구 보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전형적인 요로 감염의 특성을 분석하고, 요로 감염이 의심되나 소변 배양 검사가 음성인 경우에도 영상 및 기능 검사상 이상 여부를 파악하여 관련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일반 요 검사상 농뇨 소견을 보여 입원한 12개월 이하의 환아 136명을 대상으로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하고, 배양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요로 감염 의심 시 신장의 급성 감염 상태를 방영하는 DMSA scan과 요 역류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여부와 관련 인자를 분석하였고, 동시에 임상특성과 원인균도 분석하였다. 결 과 : 136명 중 53명의 환아에서 소변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 배양되었으며 57균주가 동정되었다. 단일 균주에 의한 감염 빈도가 92.5%(49/53)이었고, E. coli가 49주(86%)로 가장 많았으며 E. faecalis, M. morganii, Proteus, P. aeruginosa, S. aureus, E. fergusonii 순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균주는 대체적으로 cephalosporins 및 aminoglycosides에 감수성이 높았으나, aminopenicillins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DMSA scan과 요 역류 검사는 배양검사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에서 유사한 비율로 이상 소견을 보였다. 소변 배양 검사 양성 유무와 상관없이 농뇨를 보인 영아에서 발열 기간이 48시간 이상인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CRP가 높을수록 급성기에 시행한 DMSA scan 검사 이상 유무에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요로 감염 균주에 대해 1세대, 3세대 cephalosporins와 amikacin에 감수성이 높아 요로 감염 영아에서 이들 항생제의 병합요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소변 배양 검사가 음성이더라도 나이가 3개월 이상이고 48시간 이상의 발열을 보인 경우, C-반응 단백 수치가 높은 경우에는 급성기의 DMSA scan 검사와 요역류 검사를 시행하여 신장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조기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이후에 신장실질 질환으로의 이환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symptomatic maternal 3-methylcrotonylglycinuria detected by her unaffected baby's neonatal screening test

  • Lee, Sun Hee;Hong, Yong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7호
    • /
    • pp.329-332
    • /
    • 2014
  • 3-methylcrotonyl-coenzyme A carboxylase (3MCC) deficiency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in which leucine catabolism is hampered, leading to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3-methylcrotonylglycine. In addition, 3-hydroxyisovalerylcarnitine levels increase in the blood, and the elevated levels form the basis of neonatal screening. 3MCC deficiency symptoms are variable, ranging from neonatal onset with severe neurological abnormality to a normal, asymptomatic phenotype. Although 3MCC deficiency was previously considered to be rare, it has been found to be one of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orders in newborns after the neonatal screening test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introduced. Additionally, asymptomatic 3MCC deficient mothers have been identified due to abnormal results of unaffected baby's neonatal screening test. Some of the 3MCC-deficient mothers show symptoms such as fatigue, myopathy, or metabolic crisis with febrile illnesses. In the current study, we identified an asymptomatic 3MCC deficient mother when she showed abnormal results during a neonatal screening test of a healthy infant.

Kawasaki disease in infants

  • Yeom, Jung Sook;Woo, Hyang Ok;Park, Ji Sook;Park, Eun Sil;Seo, Ji-Hyun;Youn, Hee-Sh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9호
    • /
    • pp.377-382
    • /
    • 2013
  • Kawasaki disease (KD) is an acute febrile illness that is the predominant cause of pediatric acquired heart disease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Because the diagnosis of KD depends on clinical manifestations, incomplete cases are difficult to diagnose, especially in infants younger than 1 year. Incomplete clinical manifestations in infants are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KD-associated coronary artery abnormalities. Because the diagnosis of infantile KD is difficult and complications are numerous, early suspicion and evaluation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