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nary Tract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with Pyuria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요로감염에 관한 연구

  • Lee, Sue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 Sung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un Mi (Seoul Adventist Hospital) ;
  • Jeong, Dae Chu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ung, Seung 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yung Y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Jin H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이수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성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선미 (서울위생병원 소아과) ;
  • 정대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승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경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5.31

Abstract

Objective : Urinary tract infection(UTI) is a frequent serious bacterial infection in young infants. The clinical presentation may be non-specific and variable, depends on factors such as the age and the level of infection. Children with renal involvement may be at risk of permanent renal damage.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that renal lesions caused by acute febrile UTI may be prevented or diminished by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a method that can permit early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of patients who are at risk for progressive renal damage. We designed this study to identify related factors in culture positive UTI infants, and also to identify related factors in culture negative UTI infants, who are febrile with pyuria, by using renal imaging and functional studies including renal sonography, DMSA scan and VCUG. Methods :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136 febrile infants with pyuria over 2 years(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03). Urine culture was done in all cases, and regardless of urine culture findings, renal imaging study was done if symptomatic UTI suspected. Results : Total 57 organisms were isolated in 53 patients. E. coli was the most common organism(86%), followed by E. faecalis, M. morganii, Proteus species, P. aeruginosa, S. aureus and E. fergusonii. Most of the isolates had high sensitivity on cephalosporins or amikacin and had low sensitivities on aminopenicillins. Abnormal acute phase DMSA scan or VCUG findings were seen in both urine culture positive and negative group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s(P>0.05). In febrile infants with pyuria, fever over 48 hours, older age and high CRP related to abnormal acute phase DMSA scan findings regardless urine culture results. Conclusion : 1st or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with amikacin could be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for UTI. Febrile infants with positive urine culture dose mean urinary tract infection but not acute pyelonephritis which directly relates to cortical damage which could be confirmed by acute phase DMSA scan. Even cases with negative urine culture findings, acute pyelonephritis should be concerned in febrile infants with pyuria who are older than 3 months of age, has fever over 48 hours or high CRP level. And in such cases, acute phase DMSA scan and VCUG should be evaluated for early treatment and long term prognosis.

목 적 : 최근 요배양이 음성이거나 기준이하의 세균 집락이 있었던 경우에서도 신피질 손상이나 요역류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실제 소변 배양검사에서 낮은 세균 집락을 보인 경우에도 요로 감염이 확인된 연구 보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전형적인 요로 감염의 특성을 분석하고, 요로 감염이 의심되나 소변 배양 검사가 음성인 경우에도 영상 및 기능 검사상 이상 여부를 파악하여 관련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일반 요 검사상 농뇨 소견을 보여 입원한 12개월 이하의 환아 136명을 대상으로 소변 배양 검사를 실시하고, 배양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요로 감염 의심 시 신장의 급성 감염 상태를 방영하는 DMSA scan과 요 역류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여부와 관련 인자를 분석하였고, 동시에 임상특성과 원인균도 분석하였다. 결 과 : 136명 중 53명의 환아에서 소변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 배양되었으며 57균주가 동정되었다. 단일 균주에 의한 감염 빈도가 92.5%(49/53)이었고, E. coli가 49주(86%)로 가장 많았으며 E. faecalis, M. morganii, Proteus, P. aeruginosa, S. aureus, E. fergusonii 순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균주는 대체적으로 cephalosporins 및 aminoglycosides에 감수성이 높았으나, aminopenicillins에는 감수성이 낮았다. DMSA scan과 요 역류 검사는 배양검사 양성인 경우와 음성인 경우에서 유사한 비율로 이상 소견을 보였다. 소변 배양 검사 양성 유무와 상관없이 농뇨를 보인 영아에서 발열 기간이 48시간 이상인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CRP가 높을수록 급성기에 시행한 DMSA scan 검사 이상 유무에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요로 감염 균주에 대해 1세대, 3세대 cephalosporins와 amikacin에 감수성이 높아 요로 감염 영아에서 이들 항생제의 병합요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발열과 농뇨가 있는 영아에서, 소변 배양 검사가 음성이더라도 나이가 3개월 이상이고 48시간 이상의 발열을 보인 경우, C-반응 단백 수치가 높은 경우에는 급성기의 DMSA scan 검사와 요역류 검사를 시행하여 신장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조기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이후에 신장실질 질환으로의 이환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