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her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3초

고대(古代) Egypt 복식(服飾)에 나타난 상징성(象徵性) - Tutankhamen 왕조(王朝)를 중심으로 -

  • 정흥숙
    • 복식
    • /
    • 제6권
    • /
    • pp.121-143
    • /
    • 1982
  • Many studies have done on Egyptian Clothing because its unique characteristic culture. However, I was facinated by the exhibitions of Tutankhamen burial treasures which were shown in San Francisco and New York in 1978 and 1979. I found out myself that there are several interesting aspects of clothing to compare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and other dynasties in Egyptian culture. Therefore, I tryed to analized the Egyptian clothing including accessaries with theigr symbols durin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The most of people were shocked and amazed when they toured the exhibition of Tutankhamun articles which were the most incredible burial treasures in existence today. The body of the King has been embalmed, bandaged and fitted in eight layers of coffins with pure gold mask to represent the god Osiris. Among eight layers of coffins, one is pure solid gold in mummiform, two of mummiforms are made of compact wood covered with sheets of gold and inlaid with multi-colored glass-paste and semi-precious stones. The Egyptian belived that the soul continued to exist throughout eternity if it had passed on examination of its deeds on earth at a "Last Judgement" presided over by Osiris. They also believed that the mummified body could exist in the tomb as a habitation that the soul could revisited. Thus a proper burial was vital for a full existence in the hereafter. They buried dead person in the sealed vault of the tomb with some of the possessions he had used during his life time, such as his furniture, clothing and jewels. In this studies, I've tried to research to various clothings, and accessories with their symbols used during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The studies are shown as: I) Clothings of Tutankhamun dynasity of Kalasiris, Sheath skirt. Gala skirt, Loin skirt, Hike and Dalmatic. The Dalmatic was first seen in this dynasty. Probably the Roman Christian borrowed the Dalmatica from Egyptian Dalmatic. No where has the same design at the period. II) Egyptian of 18th dynasty Tutankhamun wore big headdress, broad collar necklace passium, pendants, armlets, rings and earrings with very beautiful, exquisite handcraft. They seem the first people who wore earrings in Egyptian history. III) The symbols of decorated items vulture, lotus...Upper Egypt Uraeus, papyrus...Lower Egypt scaravaeus, Nile Riber...rebirth man(Ankh), +...eternal life solar disc, gold...sun ostrich-feather...nobleness God, Horus' eye...protection against enemy IV) Also Egyptian prefered the straight line and a right angle which were the basic principles of architectural arrangement.

  • PDF

Evolutionary Optimization of Neurocontroller for Physically Simulated Compliant-Wing Ornithopter

  • Shim, Yoon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25-33
    • /
    • 2019
  • 본 논문은 목표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동할 수 있는 새 크기의 물리기반 날갯짓 비행로봇 시뮬레이션을 위한 동역학적 신경망 컨트롤러를 생성하는 통합적인 진화연산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진화로봇 시스템은 날갯짓 비행의 추가적인 민첩성과 안정성을 위하여 Morphological Computation 개념을 응용한 간단한 날개 순응성 모델과 그와 통합된 Mechanosensory 정보를 활용한다. 역학적으로 불안정한 날갯짓 기동의 안정성 개선을 위해 로봇의 날개는 회전스프링으로 팔의 골격에 연결된 여러개의 패널들로 모델링되어, 새의 깃털에서 영감을 받은 단순한 형태의 날개 유연성을 시뮬레이션 하도록 설계되었다. 신경망 컨트롤러 역시 생물학적으로 의미있는 좌우대칭적 연결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최대의 진화연산 탐색 가능성을 위해 두 개의 fully-connected 신경망 모듈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센서정보로서 항법센서와 더불어 각 날개패널의 움직임 보들이 입력되어진다. 이러한 설계는 각 패널센서로 하여금 잠재적으로 신경망의 날갯짓 패턴 생성에 관여하게 함과 동시에, 날개에 가해지는 힘의 감지와 패널의 굽어짐으로 인한 날개 순응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비행의 민첩성과 안정성 향상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 본 시스템으로 진화된 날갯짓 로봇은 실시간으로 주어지는 목표방향으로의 효과적인 기동과 함께, 외부의 공기역학적 섭동에 대하여도 더욱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함을 보여준다.

상동중석광상(上東重石鑛床)의 현미경적(顯微鏡的) 연구(硏究) (Microscopic Study of Sangdong Tungsten Ore Deposit, Korea)

  • 이대성;김서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2권1호
    • /
    • pp.1-12
    • /
    • 1969
  • In the Sangdong Mine area, Taebaegsan series (Pre-Cambrian) and Chosun System (Cambro-ordovician) are widely distributed. The Chosun System consists of Yangdug Series (Jangsan Quartzite and Myobong Slate) and The Great Limestone Series (Pungchon Limestone, Shesong Shale, Hwajeol Formation and Dongjeom Quartzite). The mineralized zone containing the main ore body of the Sangdong Mine was developed in the Myobong Slate formation. The result of the field and microscopic study on the mineral paragenesis and it's wall rock alteration in the tungsten ore deposit shows the following features. The orogenic movements of the Post-Chosun System in the Hambaeg Geosyncline are closely related to the tungsten ore deposition in the area, the ore minerals are composed mainly of scheelite, powelite molybdenite and sulfide minerals, and gangue minerals are hornblende, diopside, garnet, quartz, phlogopite, tremolite, biotite, muscovite, fluorite, etc., main ore body was enriched by scheelite bearing quartz vein filling into interstices of formerly mineralized zones, and the minor faults, faults of N $60^{\circ}-70^{\circ}W$, $45^{\circ}-60^{\circ}NE$ and joints, which were formed at the end of the mineralization and the slate. Country rock of the ore body was altered into the following several zon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lowgrade recrystalline aureole, silicified sericite zone, and diopside-hornblende zone. Under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195 samples taken from throughout ore body can be classified into 10 different groups by their mineral paragenesis as shown in table 2. The garnet-diopside group is primary skarn and it shows gradational change to the groups of later stage by the successive processes of metasomatism. From the stage of quartz-bearing group, the dissemination of scheelite is seen. The crystallization of scheelite in the bed started with the quartz deposition and continued to the last stage when quartz vein intruded into the main ore body. In the field and the under ground investigation a durable limestone bed in thickeness about 20 meters and their remnants in ore body are observed and under microscope calcite remnants are recognized. Hence it is posturated that the ore material moved up through the faults, shear zones or feather cracks and was assimilated with the interbeded limestone, after that the body was affected by the successive differentiated ore solution by gradational increasing in $SiO_2$, $K_2O$ and $H_2O$. Evidently this ore deposit shows the features resulted from pyrometasomatic processes.

  • PDF

조피볼락 육성용 사료의 어분 대체원으로서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 혼합 첨가 효과 (Substitution of Plant and Animal Proteins for Fish Meal in the Growing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eds)

  • 이상민;전임기;이종윤;박승렬;강용진;정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51-662
    • /
    • 1996
  • 여러 종류의 단백질 원료를 혼합하여 성장이 좋고, 가격이 싼 경제적인 조피볼락용 배합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실험사료의 효과를 사육실험과 사료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북양어분 사료를 대조구 (사료 1)로 하고 사료 원료의 아미노산 조성을 고려하면서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한 9종류의 실험사료를 설계하여 제조하였다. 사료 2에서 5까지는 조피볼락 전어체의 아미노산 조성, 타 어종을 대상으로 연구된 아미노산 요구량 등을 참고로 아미노산 균형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사료 6은 복합 효소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료 5의 조성에서 복합 효소제를 첨가하지 않았고, 사료 7은 합성 아미노산 첨가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사료 5의 조성에서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료 8과 9는 열처리한 대두박과 옥수수를 첨가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114g 전후의 조피볼락을 사료당 2반복으로 15주간 사육실험한 결과, 증체율과 사료효율에 서 사료 $2\~7$구가 대조구와 유의차없이 (P>0.05)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료 5의 조성에서 합성 아미노산이나 복합효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성장차이는 없었다. 어체 1kg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사료단가를 계산하여 본 결과, 대조사료는 853원이었고, 사료 2와 7이 $732\~746$원으로 낮았으며, 사료 8과 9가 $875\~905$원으로 높았다. 위의 결과로부터 어체크기가 100g 이상일 경우의 사료에 대두박, 콘글루텐 밀, 육분, 혈분, 우모분, 소맥분을 적절히 첨가하면 북양어분을 $50\%$ 정도까지 대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육성용 사료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PDF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 확립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진남;박태섭;송권화;이영목;권혁모;한재용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71-73
    • /
    • 2001
  • 본 연구는 원시생식기 유래 원시생식세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전체 실험구에서 301마리가 부화하였으며, 이중 수컷 141마리, 암컷 160마리가 성성숙에 도달하였다. 후대 검정을 통하여 수컷 15마리와 암컷 12마리가 생식선 카이메라로 밝혀졌으며,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 효율은 평균 9.0%였다. 실험처리구간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효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p=0.6831), 생식선 카이메라의 공여체 유래 자손 생산 효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실험처리구간 생식선 카이메라의 공여체 유래 자손 생산효율은 피콜처리 없이 10일간 배양한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가장 높았고 (49.7%), 피콜처리후 배양하지 않은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 (0.6%). 또한, 피콜 처리에 상관없이 10일간 배양한 원시생식세포를 이식한 실험구가 배양하지 않은 실험구와 5일간 배양한 실험구보다 각각 50배와 10배 더 높은 전이효율을 나타내었다 (p<0.0001). 따라서, 수용체 배자에 이식하기전에 실시한 체외배양 기간은 효율적인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배양 기간, 피콜 처리 유무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생식선 카이메라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육계의 비만현상에 관한 고찰 (Environmental and Genetic Aspects of Obesity in Broilers)

  • 김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6
    • /
    • 1982
  • 최근 육계의 체지방 과다축적현상은 큰 문제로 되어 있다. 이는 육계가 생리적요구량 이상으로 에너지를 섭취하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다. 많은 문헌들을 종합하여 보면 육계의 품종, 계통, 성, 연령, 사료조건, 운동정도, 환경온도 및 사육방법 등이 체내 지폐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 같다. 이들 요인들은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를 좌우하는 것이 다. 육계를 도살하지 않고 체내 지방축적량을 추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생체조사측정치 중에서 흉부우역의 피층두께와 그의 지방함률이 복강지방량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의 상관계수는 체지방량 추정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보고들은 체중이 큰 쪽으로 선발해 나갈 때 주어진 일령에서 체지방량도 증가되고 있으나 일부 보고들을 보면 체중 위주의 선발을 하여가도 같은 체중에선 지방축적량에 변화가 없다. 한편 사료효율이 좋은 쪽으로 선발하여 갈 경우는 체지방 축적량이 줄어들고 반대로 단백질과 수분함량이 높아진다. 따라서 체중위주의 선발이 반드시 포만 현상을 초래한다고 결론하기는 어려우나, 사료효율 개선방향의 선발은 포만현상을 완화시킨다고 결론할 수 있을 것 같다.

  • PDF

인간과 인터컴비네이션 관점에서의 제품특성연구 -상호결합제품의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A Specific Characters of Products In viewpoint of Inter-combination with Human -Concentrated on Inter-Combined Products′Type and Feather-)

  • 진선태;박영목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45-154
    • /
    • 2001
  • 오늘날 워크맨, 모비일폰, 노트북PC, PDA와 같은 제품들은 우리 몸과 함께 이동하고, 인터넷과 같은 가상헤계에서는 아바타(Avatar)라는 우리의 분신이 사이버상에서 우리들 육체를 대신해 행동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우리 인간의 몸과 관련된 것들이며, 이렇게 인간의 몸에 물리적으로 붙으며 아울러 정신적 결합의 의미를 가지는 것을 인간과 제품의 결합이라 할 때에, 이러한 제품들을 현실과 가상을 포괄한 인간과 제품의 결합관계로서 접근하여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연구결과로서 고대로부터 지금 현재까지 인간의 몸과 결합한다고 하는 제품들을 꾸준히 발견할 수 있었고, 최근에 와서 그 양상은 긴밀한 관계로서 결합과 이동성향이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사회문화적으로 이분법적 사고의 붕괴, 혼성모방, 사이버문화, 테크노문화, 정보유목민개념 등이 나옴에 따라 인간과 기계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현상과, 제품이 소형화되고 인간을 흉내 모방하거나 네트워크화되어 인간과의 결합성향이 더욱 가속화되는 변화에 있다. 따라서 상호간 결합성향이 더욱 가속화되는 변화에 있다. 따라서 상호간 결합성향이 짙어감에 따라 인간의 몸과 제품을 하나로 바라보아 신체적, 정신적측면, 제품적 특성을 모두 포용한 가장 적절한 복합체로서 접근하는 상호결합적 관점으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상호결합제품은 인간의 정신, 육체와 전적,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인간의 몸을 중심으로 물리적 안착을 하여 지속적 접촉을 가지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성을 가지는 고대의 도구들은 단순이 인간의 기능확장에 머무르고 신체와 관련된 결합들이 많았으나, 현재로 올수록 신체와 정신에 동시결합하는 제품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인간의 몸과 결합방식별로 여러가지 형태로 결합하고 있으며, 기능이 중층화되고 인간의 몸과 물리적으로 가까와지거나 커뮤니케이션형태가 고도화되고, 기존에 인간의 몸에 잇던 제품들을 통해 재발생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제품들간에 적외선, 무선통신 같은 방식을 토해 교신하고 있으며, 외형발산성향이 강하여 장신구나 옷과 같이 변하고, 가상아바타의 경우 인간의 육체를 모방하고 인간의 행동을 대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PDF

우리 나라 복식(服飾)과 서역복식간(西域服飾間)의 공통성(共通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삼국시대(三國時代), 통일신라시대( 統一新羅時代)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mmon Features of Western Clothing Style and the Style of Korean clothing - Focusing on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hilla era -)

  • 전지은;심화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4호
    • /
    • pp.127-143
    • /
    • 2001
  • This thesis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ompares the clothing styles between the Three Kingdom to the Unified Shilla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what common themes exists between the foundation of Korean clothing and how it has evolved and through see to what extent the Chinese influence has been to Korean clothing culture. Also by explaining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Korean clothing, we will be able to make clear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Thes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1. The Korean strait line Gik-ryong Kyo-im can also be found at the Gochang region in the west. 2. The Ban-ryong-ui, worn by the aristocrat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hilla era, began to appear from the nobles from the Nam-Buk cho(South-north era). This combined with a Bokdu(headwear) became a part of casual dress wear. 3. Go(pants) became a traditional part of clothing for Unified Shilla and the west. 4. Ban-bi and Bae-dang, all forms of Bansu-ui ( short sleeve), came from Chinas Kucha and Hotan and came to Korea. 5. Chinas Pae-baek and Pae-za (Shawl) which is the same as Unified Shillas Peo was also to be found to have come from the west. 6. The way a different color line was added to clothing both can be found in Korean and western clothing. Similarities to material used are; First, expensive wool was used and mostly originated from the west. From far away Rome came the O-saek-gae (Five-color wool). Secondly, Kong-gak me (peacock feather) and Bi-chi mo were all originated from the west. Third, Sil-sil is stated in the Sam-kuk Sa-ki (Three Kingdom records) as being prohibited to be worn by Jin-gol women (Highest nobility during Shilla era) as headwear or comb (pin) or as a comb(pin) for yuk-doo poom ( 6th class nobility) women. Suggesting that it existed and other sources tell us that it came from Tashkent region of Russia and was a jewelry of some sort. From what we have seen above, we can see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clothing cultures and that these interactions not only occurred with China but with many other nations. We can see that our ancestors were creative and original that when importing foreign cultures that they transformed them into a Korean style. That these foreign cultures were transformed into our own style is good evidence to these facts.

  • PDF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분포 및 도체품질 현황 (Current State of Carcass Weight Distribution and External Quality from Domestic Product Duck)

  • 강근호;채현석;박범영;조수현;성필남;정석근;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6-272
    • /
    • 2011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및 도체품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총 419,164수의 오리 도체중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2,164.4 g, 최빈값은 2,000 g, 중위수는 2,200 g 및 사분위 범위는 300 g이었다. 오리 생체중량 구간별 도체수율은 평균 70.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도체의 외모 불량률은 28.4%, 외관손상 발생률은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 발생률은 34.1% 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다리살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오리 도체표면의 잔모제거 불량률은 평균 44% 수준으로 도체중량 2.15 kg 미만일 때 전체 불량률의 약 8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 kg 내외가 된다. 오리 도체의 탈골(골절) 발생률은 평균 9.91% 수준으로 대부분 날개 부위와 다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 가슴살의 지방함량은 도체중량 2.3 kg 구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28 kg 내외가 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의 출하체중은 최소 3 kg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피볼락(Sebastes schligeli)에 있어 사료내 단백질 사료원으로서의 어분대체품 (Fish Meal Analog as a Dietary Protein Source in Kor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어분대체품을 결정하고, 상품어분대체품과 유인물질의 첨가 효과를 통하여 조피볼락용 어분대체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사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52%로, 가용성 에너지 16.8 KJ/g으로 설계되었고, 주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 어분대체품 및 상품어분대체품을 사용하였다.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사료1, 100%FM (control) ; 사료2, 60%FM : 40% CFMA ; 사료3, 60%FM : 40% CFMA+ATT ; 사료 4, 80%FM : 20% FMA ; 사료5, 80% FM: 20%FMA+ATT : 사료 6, ; 사료6, 60%FM : 40%FMA+ATT; 사료7, 40%FM : 60% FMA+ATT. 어분대체품은 혈분(BM), 오징어간분(SLP), 육골분(MBM), 수지박(LM), 가금부산물(PBP), 우모분(FM), 필수아미노산(Met, Lys, Ile)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작 사용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및 단백질효율에 있어서 사료 1은 사료 4, 사료 5 및 사료 6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나머지 실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특히, 상품어분대체품(CFMA)인 사료 2와 사료 3은 실험사료로 제작된 동일한 수준의 사료 6과 비교하여 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효율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0.5% 유인물질을 첨가한 사료 3과 5는 사료 2와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05), 간중량지수, hemoglobin 및 비만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조피볼락에 있어서 어분대체품(FMA)으로 어분단백질을 40%정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