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P

검색결과 3,971건 처리시간 0.036초

유기태 철과 효모 철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 Sources on Productivity and Egg Composition in Laying Hens)

  • 나상준;우간바야르;오종일;신인수;정대균;김해영;양철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1-217
    • /
    • 2005
  • 본 연구는 유기태 철과 효모 철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갈색 테트라 산란계를 이용하였으며, 35주령 245수를 총 7처리 5반복 반복당 7수씩 임의배치 하여 9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대조구, 2) YM03 $0.1\%$, 3) YM03 $1.0\%$, 4) YF04 $0.1\%$, 5) YF04 $1.0\%$, 6) chelated Fe $0.01\%$ 및 7) chelated Fe $0.1\%$로 나누었다. 산란율은 YF04 $1.0\%$ 처리구가 $97.09\%$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P<0.05). 난중은 chelated Fe $0.1\%$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난황내 Fe 함량은 YF04 $1.0\%$ 처리구와 chelated Fe$0.1\%$처리구가 증가하여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난형태, 난백색, 난황지수는 철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P>0.05). 그러나 호유닛은 YM03 처리구, YF04 처 리구 및 chelated Fe 처리구에서 증가하여 유의차를 보였다(P<0.05). 산패도(TBA)은 YM03 $1.0\%$ 처리구가 3.98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2.85으로 가장 낮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외형은 YF04 $1.0\%$ 처리구가 3.64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 처리구가 3.00으로 가장 낮았다(P>0.05). 색은 YF04 $1.0\%$ 처리구가 4.00으로 높았으며 YF04 $0.1\%$ 처리구는 2.93으로 가장 낮았다(P<0.05). 다즙성은 YF04 $1.0\%$ 처리구가 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와 YM03 $1.0\%$ 처리구가 각각 3.07로 낮았다 (P>0.05).

저수지 퇴적물로부터 인의 존재형태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Phosphorus Fraction Properties from Reservoir Sediments)

  • 이진경;안태웅;오종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40-850
    • /
    • 2010
  • 새만금호와 인접한 배후지역에 위치하며 새만금 수질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척농지 지구 계화조류지를 대상으로 환경변화에 의해 수계로 용출되어 부영양화의 주원인이 되는 인의 존재형태와 수계내 영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계화조류지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Saloid-P의 형태가 2.28~7.75 mg/kg(1.4%), Al-P 0.34~5.36 mg/kg (0.5%), Fe-P 31.04~837.25 mg/kg (39.8%), Ca-P 149.91~257.09 mg/kg (56.6%), Red-P 0.29~2.07 mg/kg (0.4%), Occd-P 2.23~8.89 mg/kg (1.3%)를 나타냈다. 퇴적물내 인의 존재형태를 비교하면, 계화조류지는 Ca-P (56.6%)와 Fe-P (39.8%) 의 형태가 97% 이상이며, 계화조류지 퇴적물내 인의 형태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Ca-P와 Fe-P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수계내 인자를 분석한 결과, Fe-P는 총질소(T-N) (r=0.761, p<0.05)와 질산성질소($NO_3$-P) (r=0.754, p<0.05), 암모니아성질소($NH_4$-N)(r=0.728, p<0.05), 총인(T-P) (r=0.774, p<0.05), 용존성 무기인($PO_4$-P) (r=0.767, p<0.05)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Ca-P의 형태는 조사항목 중 수계내 인자와의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퇴적물내 중금속이 인의 존재형태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 Ca-P 형태의 인은 특정 중금속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e-P 형태의 인은 비소(As) (r=0.817, p<0.01), 구리(Cu) (r=0.793, p<0.05), 카드뮴(Cd) (r=0.786, p<0.05), 아연(Zn) (r=0.738, p<0.05)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Effects of Phosphorus and Iron on the Phytotoxicity of Lettuce (Lactuca sativa L.) in Arsenic-contaminated Soil

  • Kim, Min-Suk;Min, Hyun-Gi;Kim, Jeong-G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8
  • We examined the effect o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phosphorus (P) and iron (Fe) on the phytotoxicity of lettuce in arsenic (As) contaminated so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o stabilize As and supply nutrient into soil, Fe and P were treated, respectively. Water soluble As and P was decreased by Fe application but increased by P application. Through phytotoxicity test, the result showed that only the addition of P affected lettuce root elongation even though both P and Fe were add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oot elongation and other indices indicated that the As content in the roots seemed to be the main reason that root growth was impeded. We could verify that the former result was not a passing phenomenon and Fe was necessarily needed to protect secondary pollution by exclusive usage of P fertilizer.

철염 응집제 중 유독성 중금속의 선택적 제거 (Selective Removal of Toxic Heavy Metals in Fe-Coagulants)

  • 박상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93-397
    • /
    • 1999
  • Among various reactions which metal sulfides can undergo in the reducing environment, the lattice exchange reaction was examined in a attempt to selectively remove heavy metal ions contained in the Fe-Coagulants acid solution. We have examined Zeta potential along with pHs to investigate surface characteristics of ${FeS}_{(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zero point charge(ZPC) of FeS is pH 7 and zeta potential which resulted from solid solution reaction between Pb(II) and ${FeS}_{(s)}$ is similar to that of ${PbS}_{(s)}$. Solubility characteristics of ${FeS}_{(s)}$ is appeared to that dissolved Fe(II) concentration increased in less than pH 4, and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vy metal concentration. Various heavy metal ions(Pb(II), Cu(II), Zn(II)) contained in Fe-coagulants acid solution were removed selectively more than ninety-five percent in the rang of pH 2.5~10 by ${FeS}_{(s)}$. From the above experiments,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the products of reaction between heavy metal ions and $FeS_{(S)}$ are mental sulfide such as $PbS_{(S)}$, $CuS_{(S)}$ and $ZnS_{(S)}$.

  • PDF

Fe-22Cr-5Al-X(X=Zr,Y)합금의 고온 부식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of High Temperature Corrosion of Fe-22Cr-5Al-X(X=Zr,Y))

  • 이병우;박흥일;김중선;이광학;김흥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10호
    • /
    • pp.898-907
    • /
    • 1997
  • Fe-22Cr-5AI-X(X=Zr, Y)합금을 1143K, 고온 황화(P$s_{2}$=1.11x$10^{-7}$atm, P$O_{s}$ =3.11x$10^{-20atm}$) 및 황화/산화 (P$s_{2}$=8.31x$10^{-8}$atm, P$O_{s}$ =3.31x$10^{-18atm}$) 환경의 복합가스 분위기에서 1-30시간동안 노출하여 합금표면에 형성된 부식층을 관찰하여 SEM/EDS로 분석하였다. Fe-22Cr-5AI합금은 고온 부식환경에서 부식 생성물의 성장은 포물선법칙을 따르고 주요 성분은 결함이 많고 다공질인 철과 크롬의 황화물[(Fe, Cr)Sx]이므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Zr을 1wt%첨가한 Fe-22Cr-5AI합금의 고온 부식거동은 Y을 1wt%첨가한 합금과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황화환경에서는 Cr의 선택 황화에 의한 크롬 황화물(CrS)이 생성되고 노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Fe, Cr)Sx나 (Cr, Fe)Sx 등의 황화물의 성장으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황화/산화환경에서는 초기에는 알루미늄산화물(A $I_{2}$ $O_{3}$)및 지르코늄산화물(Zr $O_{2}$)등이 생성되어 보호적이었으나 15시간이후 부터 (Fe, Cr)Sx나 (Cr, Fe)Sx 의 황화물의 성장으로 고온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 PDF

Highly sensitive xylene sensors using Fe2O3-ZnFe2O4 composite spheres

  • Chan, Jin Fang;Jeon, Jae Kyoung;Moon, Young Kook;Lee, Jong-Heun
    • 센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1-195
    • /
    • 2021
  • Pure ZnFe2O4 and Fe2O3-ZnFe2O4 hetero-composite spheres were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of a solution containing Zn- and Fe-nitrates. Additionally, the sens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pheres in the presence of 5 ppm ethanol, benzene, p-xylene, toluene, and CO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275-350 ℃) were investigated. The Fe2O3-ZnFe2O4 hetero-composite sensor with a cation ratio of [Zn]:[Fe]=1:3 exhibited a high response (resistance ratio = 140.2) and selectivity (response to p-xylene/response to ethanol = 3.4) to 5 ppm p-xylene at 300 ℃, whereas the pure ZnFe2O4 sensor showed a comparatively lower gas response and selectivity. The reasons for the superior response and selectivity to p-xylene in Fe2O3-ZnFe2O4 hetero-composite sensor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lectronic sensitization due to charge transfer at Fe2O3-ZnFe2O4 interface and Fe2O3-induced catalytic promotion of gas sensing reaction. The sensor can be used to monitor harmfu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indoor air pollutants.

Local Structure Refinement of the $BaFe_{1-x}Sn_xO_{3-y}$ System with Fe K-Edge X-Ray Absorption (XANES/EXAFS) Spectroscopy

  • 김민규;곽기섭;로권선;여철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7호
    • /
    • pp.743-749
    • /
    • 1997
  • Local structure refinement of the BaFe1-xSnxO3-y system (x=0.00-0.50) has been carried out with Fe K-edge x-ray absorpion spectroscopic studies. It is found out that the Fe ions are placed in two different symmetric sites such as tetrahedral and octahedral sites in the compounds by comparison with Fe K-edge x-ray absorption near edge structure (XANES) spectrum of the γ-Fe2O3 compound as a reference. Small absorption peaks of dipole-forbiden transitions appear at a pre-edge region of 7111 eV due to the existence of Fe ions in the tetrahedral and octahedral sites. The peak intensity decreases with the substitution amount of Sn ion. Three different absorption peaks of 1s→4p dipole-allowed transition appear on the energy region between 7123 and 7131 eV. The peaks correspond to 1s→4p main transition of Fe ions in tetrahedral and octahedral sites and 1s→4p transition followed by the shakedown process of ligand to metal charge transfer. The bond distances between Fe ions in the tetrahedral site and nearest neighboring oxygen atom (Fe-4O), and those in octahedral site (Fe-6O) are determined with the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EXAFS) analysis. Two different interatomic distances increase with the substitution amount of Sn ion and also the bond lengths of Fe-4O are shorter than those of Fe-6O in all compounds.

P2O5-K2O-FeO-CuO계 유리형성 및 이온용출 (Glass Formation and Ion Dissolution of P2O5-K2O-FeO-CuO Glasses)

  • 김기민;강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04-607
    • /
    • 2010
  • $P_2O_5-K_2O$-FeO-CuO계 유리의 형성및 이온용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_2O_5$를 60mol%로 고정하고 $K_2O$-FeO-CuO의 mol%를 10mol%에서 40mol%까지 변화를 주었다 제조된 유리시편을 증류수에서 13시간 동안 침적시키며 2시간 간격으로 용출 특성을 평가 하였다. 초기 유리구조 내 Phosphate의 $P_2O_5$가 1차 용출이 일어나며 2차로 염기성 산화물의 용출이 일어나면서 Cu, Fe 이온이 함께 용출되는 것으로 관찰되엇다. ICP 관찰시에는 유리의 형성 구조의 차이에 따라 용출량이 변화 하였고, 용출은 $10K_2O$(mol%)함량일 때 CuO와 FeO의 용출량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폐산화철촉매에 의한 폐수중 Ni, Cu, Fe, Zn이온 회수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covery of Ni, Cu, Fe, Zn ions from wastewater with the spent catalyst)

  • 이효숙;오영순;이우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2호
    • /
    • pp.3-8
    • /
    • 2004
  • 석유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산화철폐촉매를 이용하여 폐수 중 중금속회수에 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Zn, Ni, Cu, 및 Fe의 농도가 200mg/L인 각각의 합성폐수에 폐촉매 첨가량을 변화하여 실험한 바, 각 금속의 98% 회수율을 얻은 폐촉매 첨가량은 Cu 와 Fe 폐수 :2% 이상, Zn 폐수:3% 이상, Ni 폐수 :7% 이상이었다. 또한 폐산화철 촉매로서 Zn, Ni, Cu 및 Fe 금속의 98% 이상 회수할 수 있는 각각의 폐수 pH는 Ni: 10.6 이상, Cu: 8.0 이상, Fe:6.5 이상, Zn:8.5 이상이었다. 따라서 폐산화철 촉매에 의한 폐수 중 중금속 회수는 폐촉매의 알카리성분에 의한 침전이 주 메카니즘이고, 각 금속의 수산화침전 pH이하 폐촉매의 등전점(pH 3.0) 이상의 pH범위에서는 금속이온이 폐촉매 표면에서 물리흡착에 의해 일부 회수된다.

특이산성토양에서 석회시용이 벼의 생육과 토양의 pH, Eh, Fe2+, Al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me on Growth of Rice and Changes in pH, Eh, Fe2+ and Al in an Acid Sulfate Soil)

  • 박내정;박영선;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7-175
    • /
    • 1971
  • 김해특이 산성토양에서 벼생육을 저해하는 원인을 구명하고자 폿트에 벼를 재배하면서 생육기간동안 2주일 간격으로 토양 및 용출액 pH, Eh, $Fe^{2+}$, Al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수확기 식물체에 대해 P, Si, Fe, Al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초기에는 무처리구나 석회처리구에서 모두 정상적인 생육을 하였으나 유수형성기 며칠 전에 무처리구에서 갑자기 적갈색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2~3일 사이에 극심하게 전 부위에 퍼졌다. 이때에 생육이 극히 저해를 받아 그 이후의 생육은 상당히 억제되어 결국 수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져왔다. 이 시기에 토양은 급격한 환원이 일어났으며 FeS의 생성이 현저하였으나 유리 $H_2S$는 검출되지 않았다. 피해가 없었든 석회처리구에서는 Al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에서만 토양이나 용출액 중에 Al이 상당량 존재해있었다. $Fe^{2+}$은 토양 중에서는 석회처리구에서 오히려 높았고 용출액 중에서는 석회구보다 무처리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그차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용출액중의 $Fe^{2+}$의 함량은 무처리에서 후기 계속 높은 경향이었으나 석회구에서는 극히 낮은 농도로 떨어졌다. 토양에서도 후기에는 석회처리구를 훨씬 능가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다. 식물체 분석결과 처리에 무관하게 P의 함량이 보통답에서 자란 벼보다 낮은 경향이었고 석회처리에 의해 Si의 흡수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Fe나 Al의 함량은 무처리구에서 모두 높았는데 Fe 함량 차이가 더 뚜렷하였다. 이는 생육후기에 무처리구에서 $Fe^{2+}$가 계속 높은 함량을 보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 특이 산성토양에서의 피해는 pH가 낮고 Al 함량이 비교적 높은 상태에서 강한 환원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Fe^{2+}$에 의한 피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생육기간중 Fe 흡수상황을 식물체 분석을 통하여 더욱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