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unistic dat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진도의 해산 연체동물상 (Faunistic Investigation for Marine Mollusks In Jindo Island)

  • 길현종;윤숙희;김원;최병래;손현준;박중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29-46
    • /
    • 2005
  •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진도의 무척추 동물상에 관한 공동조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연체동물상을 연구하기 위해 2004년 6월 29일에서 6월 30일까지 3개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37과 77종의 연체동물 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중 18과 26종은 진도지역에서 처음으로 채집, 보고되는 종이었으며, 특히 Onchidella kurodai (Taki, 1935) 검은콩갯민숭이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기재와 도판을 작성하였다. 과거의 문헌기록 등을 포함하여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기록된 종들을 종합하면 진도 및 인근 지역에서 보고된 연체동물은 현재까치 총 43과 115종이 된다. 생물지리학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 때, 진도에서 발견된 일부 복족류 종들 (Bittium craticulatum, Macroschisma dilatatum, Cantharidus japonicus, C. callichroa, Homalopoma sangarense, Crepidula onyx)은 제주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 혹은 동해안 지역에서 이전의 연구를 통해 발견된 종들이었다. 진도지역에는 한반도 서해안 연안에 걸쳐 분포하는 연체동물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얻어진 발견은 진도가 한반도의 남부 해안과 서부 해안 생물상이 중첩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이전의 Kim and Kwon (1983)의 의견을 지지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된다. 향후 종합적인 생물상 연구가 수행될 경우 진도지역의 생물지리학적 특성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는 물론. 보다 다양한 동물상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북한산 자나방과 미기록 24종 (New Faunistic Data in the Family Geometridae (Lepidoptera) of the Korean Peninsula)

  • ;박규택;신유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18
    • /
    • 1994
  • 지난 1991년 1993년초 약 1개월간씩의 2차에 걸쳐 헝가리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북한산 표본을 검경한 경과 302종의 자나방류를 확이하였으며 그중 24종이 한반도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들이었으므로 그들의 원전 채집기 그리고 분포를 정리 발표한다.

  • PDF

A Faunistic Study on the Brackish-water Calanoid Copepods from South Korea

  • Lee, Ji-Min;Yoon, Hong-Ju;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3권2호
    • /
    • pp.135-154
    • /
    • 2007
  • Eight calanoid species of 4 genera in 4 families are reported from the various brackish waters such as estuaries, brackish-water lakes, and coastal marshes in South Korea. Among them, Eurytemora affinis (Poppe) and Acartia (Acanthacartia) tsuensis Ito are newly added to Korean copepod fauna. Collection data, brief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distribution maps for the eight species are prepared. A key to the genera and species of the brackish-water calanoids from Korea is also presented.

한국산 밤나방과(나비쪽) 3 미기록종에 관한 보고 (Three Unknown Species of Noctuidae from Korea (Lepidoptera))

  • 한휘림;;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5-168
    • /
    • 2005
  • 밤나방과에 속하는 Eupsilia boursini Sugi, Valeria tricristata Draudt, Othosia satoi Sugi 등 3종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새로이 밝혀진 미기록 3종에 대해 성충의 외부형태적 특징과 암수생식기를 간략한 기술과 함께 도해하였다.

Six New Faunistic Data of the Tribe Eucosmini from Northeast China (Lepidoptera, Tortricidae)

  • Byun, Bong-Kyu;Yan, Shanchun;Li, Chengd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7-112
    • /
    • 2006
  • 중국 동북지역에서 채집된 잎말이나방과의 꽃애기잎말이나방족을 대상으로 분류동정 한 결과, Semnostola megnifisa (Kuznetsov)가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 된다. 이 외에 중국 동북지역에서 처음으로 분포가 확인되는 4종(Ancylis badiana (Denis et Schifferm$\"{u}$ller), Blastethia turionella (Linnaeus), Eucosma aemulana (Schl$\"{a}$ger), Sillybiphora devia Kuznetsov) 및 흑룡강성미기록종인 Rhopalovalva grapholitana (Caradja)에 대하여 간략한 외부형태적 특징과 분포, 기주식물정보를 정리하였으며, 성충 및 암수생식기의 특징을 도해하였다.

전남 신안군 압해도의 나방상 (A Faunistic Stud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Is. Aphae-do, Sinan-gun, Jeollanam-do, Korea)

  • 임진택;김석이;김병운;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78-189
    • /
    • 2007
  • 도시화에 따른 도서지방의 생태계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 압해도 일대에 서식 분포하고 있는 나비목 곤충을 대상으로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13회 나방을 채집 확인하였다. 본 조사 결과 동정,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총 16과 241속 339종이었다. 채집된 종중 밤나방과가 12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나방과(81종), 명나방과(38종) 순이었으며, 개체수로는 자나방과, 밤나방과, 명나방과, 갈고리나방과의 순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단 1회만 채집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등 201종(59.2%)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단지 한 개체만 채집된 종은 99종(29.2%)이었다. 본 연구는 도시화에 따른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는 압해도 일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Enhancing Arthropod Pitfall Trapping Efficacy with Quinone Sulfate: A Faunistic Study in Gwangneung Forest

  • Tae-Sung Kwon;Young Kyu Park;Dae-Seong Lee;Da-Yeong Lee;Dong-Won Shim;Su-Jin Kim;Young-Seuk Park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03-319
    • /
    • 2023
  • Pitfall traps that use ethylene glycol as a preservative solution are commonly used in arthropod research. However, a recent surge in cases involving damage to these traps by roe deer or wild boars owing to the sweet taste of ethylene glycol has prompted the addition of quinone sulfate, a substance with a pungent taste, to deter such wildlife interferenc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quinone sulfate on arthropods collected from pitfall traps containing ethylene glycol. We strategically positioned 50 traps using ethylene glycol alone and 50 trap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quinone sulfate mixed with ethylene glycol in a grid pattern for systematic sampling at the Gwangneung Fores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Traps were collected 10 days later. The results revealed a notable effect on ants when quinone sulfate was introduced. Specifically, it decreased the number of ants. In a species-specific analysis of ants, only Nylanderia flavipe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response to quinone sulfate, whereas other ant species remained unaffected. Additionally, among the arthropod samples obtained in this survey, we identified species or morpho-species of spiders, beetles, and ants and assessed species diversity.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of quinone sulfate should be undertaken judiciously,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onitoring site. Our study also highlighted the significant response of various arthropod groups to variations in leaf litter depth, underscoring the crucial role of the leaf litter layer in providing sustenance and shelter for ground-foraging arthropods. Furthermore, we have compiled comprehensive species lists of both spiders and ants in Gwangneung forest by amalgamating data from this investigation with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