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igue spectru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3초

부식된 알루미늄 합금의 피로균열진전에서 얻어진 음향방출 (Acoustic Emission from Fatigue Crack Extension in Corroded Aluminum Alloys)

  • 남기우;이종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1
  •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2024-T3와 모제 시험편과 부식 시험편을 사용하여 피로 균열 진전증에 발생하는 음향방출 신호를 검출 분석하였다. 시험편 조건에 관계없이 5종류의 신호가 관찰되었다. 모재에서 얻어진 신호는 피로하중을 받으므로서 균열 발생 초기 노치선단외 돌출과 함몰에 의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짧은 기간의 입내 파괴 신호이며, 부식 시험편은 피트 선단 근처의 결정경계의 치화로 인하여 입계 파괴 신호이다. 따라서, 파형과 파워 스펙트럼은 시험편 조건에 의존하는 것 같다. 시험편 조건에 의한 파형과 파워 스펙트럼을 해석함으로써 구조부재의 다향한 손상과 결함으로부터 발생하는 균열 전파와 최종 파괴과정의 실시간 감시 가능하다

  • PDF

근피로를 유발하는 운동강도 변화가 슬관절의 위치감각 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ded Exercise-Induced Fatigue on Position Sense of the Knee)

  • 이충휘;최종덕;이강노;이동률;최재명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37
    • /
    • 1999
  •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exercise-induced fatigue is related to joint position sense although some controversy remai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accuracy of reproducing the knee angles after a fatiguing isokinetic quadriceps exercise at four different levels (10%, 30%, 50%, and 70% of maximal force) and to find the optimal exercise level without causing knee joint proprioception impairment. Forty healthy women, ages 19 to 27,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ccuracy of positioning with respect to auditory feedback for specific angles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mean errors between specific angles and reproduction angles. Fatigue was measured by EMG signals displayed by a frequency spectrum analysis during the quadriceps exerci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of the knee joint positioning sense following the exercises in group 1, group 2, and group 3 (10%, 30%, and 50% of maximal force, respectively); the exception being group 4 (70%). Fatigue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4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of fatigue level in group 1, group 2, or group 3. The results concluded that the optimal exercise level to acquire the therapeutic exercise effectiveness without position sense impairment was at 50% of maximal force. Further studies using large sample size and patient groups with poor knee joint proprioception would b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an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s.

  • PDF

복합재구조물에 대한 단순화된 수명평가방법 고찰 (A study on simplified fatigue design methodology for composite structures)

  • 김성준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5-78
    • /
    • 2002
  • 복합재구조물에 대한 피로수명과 잔류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단순화된 방법을 소개하였다. 모델의 특성화를 위해 필요한 실험을 줄이기 위하여 강도저하 파라미터수를 피로수명의 함수로 가정하였다. 임의의 순서로 배열된 하중 스펙트럼에서 응력수준에 따른 피로수명을 추출하기위해 S-N 선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이한 응력비(stress ratio)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위해 Goodman 형식의 방법(fatigue envelope)을 사용하였다. 잔류강도는 하중 사이클 수와 응력진폭의 함수로 가정하였으며 임의의 하중사이클 후의 잔류강도분포는 2 모수 Weibull 분포로 표현하였다.

  • PDF

수평축 풍력발전 시스템용 복합재 회전날개의 피로수명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tigue Life Design for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Composite Blade)

  • 공창덕;방조혁;정종철;강명훈;정석훈;류지윤;김기범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7-52
    • /
    • 1999
  • 피로시험은 구조설계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 구조물의 요구수명 만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750㎾급 수평축 풍력발전 시스템용 복합재 회전날개가 요구수명 20년이상 안전하게 운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tan Bond의 실험식과 S-N선형 손상 방법을 사용하여 요구 피로강도를 계산하였으며, 설계된 복합재 회전날개의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측정하중 스펙트럼과 Spera의 피로하중 실험식을 이용하여 회전날개에 적용시킬 피로하중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피로하중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검토한 결과, fan Bond의 실험식을 이용하여 예측한 최대 요구 피로강도보다 낮은 범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비선형 피로손상 모델을 이용한 복합재 피로수명 평가 (Composites Fatigue Life Evaluation based on non-linear fatigue damage model)

  • 김성준;황인희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3-18
    • /
    • 2003
  • 복합재료의 피로수명을 평가하는 것은 여러 가지 파손모드와 파손모드 간의 강호작용 때문에 복잡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상론적인 모델(비선형 강도저하 모델)을 이용하여 피로수명과 잔류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잔류강도를 하중 사이클 수와 피로응력의 함수로 가정하였으며, 계산에 필요한 모델변수(강도저하 파라미터, 피로수명형상 파라미터)를 피로수명의 함수로 가정하였다 임의로 배열된 하중 스펙트럼 상에서 응력수준에 따른 모델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해 S-N 선도를 이용하였고, 상이한 응력비에 대하여 전술한 매개변수를 Goodman식의 보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피로선도). 임의의 하중이력 후의 잔여강도 분포를 2모수 weibull 함수로 표현하였다.

컴퓨터 작업 후 유지-이완운동과 능동신장이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 이현옥;허성용
    • PNF and Movement
    • /
    • 제6권2호
    • /
    • pp.11-18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the effect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0 volunteer at the age of 23~33(resting group=10, hold-relax group=10, active stretching group=10). The muscle fatigue measured by tracing the median frequency(MDF) decrement from power spectrum analyses of EMG signals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peated ANOVA. Result : In case of upper trapezi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 III. In case of sternocleidomastoi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II. Conclusion : The active stretching was effective for sternocleidomastoid an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for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better than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 PDF

외부 연료탱크 수평 핀 동적거동이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fatigue life for dynamic behavior of external fuel tank horizontal fin)

  • 김근원;신기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9-214
    • /
    • 2012
  • 최근 F-5 항공기 외부 연료탱크 수평 핀의 균열결함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 핀의 동적거동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피로해석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스피드 브레이크(speed brake)에 의한 동하중 이력을 적용하여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의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평 핀은 동적거동 영향으로 피로수명이 감소되었음을 입증하였다.

경피성 신경자극이 근전도 Power Spectrum과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TENS) on the EMG Power Spectru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 김철;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03-411
    • /
    • 2007
  • 본 연구는 저작근의 과활성으로 유발된 근피로와 근육통증에 경피성 신경자극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측두하악장애의 병력과 현증이 없는 평균연령 26.1세인 29명의 정상 성인 (남자 18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교근의 주관적 통증강도,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의 변화양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적어도 3일 이상의 간격으로 2 회의 실험에 참여하여 하루는 실험군으로서 경피성 신경자극(TENS)을 적용하였고, 다른 하루는 대조군으로서 위경피성 신경자극(sham-TENS)을 적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교근의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 전과 후의 주관적 통증강도, 압력통각역치, 인내시간까지의 근수축 동안 근전도 power spectrum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으로 유발된 근피로 후의 압력통각역치와 중간주파수는 근피로 유발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근피로 유발 전과 후의 압력통각역치는 TENS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근피로로 유발된 압력통각역치의 변화량은 TENS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근피로 후의 주관적 통증강도는 TENS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인내시간은 TENS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증가하였고, sham-TENS를 적용한 대조군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모두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6. 인내시간 동안 중간주파수 변화량은 TENS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더욱 적게 감소하였고 중간주파수 변화의 기울기는 더욱 크게 증가하였으나 모두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피로균열 발생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atigue Life by use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김종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453-461
    • /
    • 1999
  • The estimation of fatigue life at the design stag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arrive at feasible and cost effective solutions considering the total lifetime of the structure and machinery compo-nents. In this study the practical procedure of prediction of fatigue life by use of cumulative damage factors based on Miner-Palmgren hypothesis an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s shown with a $135,000m^3$ LNG tank being used as an example. In particular the parameters of Weibull distribution taht determine the stress spectrum are dis-cussed. At the end some of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fatigue life prediction are discussed.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actical procedure of prediction of fatigue life by use of cumulative damage factors expressed in combina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S-N data is proposed. 2. The calculated fatigue life is influenced by the shape parameter and stress block. The conser-vative fatigue design can be achieved when using higher value of shape parameter and the stress blocks divded into more stress blocks.

  • PDF

Correlation between Muscular Fatigue and EMG Activity during the Prolonged Casual Computer Work

  • Cho, Won-Hak;Lee, Woo-Yong;Choi, Hyeon-Ki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4-229
    • /
    • 2009
  •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rtle neck syndrome, so called, on muscular fatigue and muscle activity. Six subjects (males) participated and performed the prolonged casual computer work in the study. EMG signals from six muscles of the dominant neck-back region were acquired and recorded for 10 second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ree hours computer work. EMG was recorded from six muscles by using a computerized data recording and analysis system. Power spectrum function of EMG was calculated off-line by means of a signal processing software package. Power spectrum functions were smoothed with a moving average filter of 21 points and normalized with respect to the maximal value achieved during the trials. Muscle activity and median frequencies of Sternocleidomastoid(SCM) in turtle neck posture was approximately 51%, which were less than those in normal neck posture. SCM also showed the biggest decrease in median frequency. Results will provide the insight into the neck-back injury mechanism of turtle neck patients. Furthermore, the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rehabilitation programs for restoring patients' neck-back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