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rowing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8초

Change in the Gut Microbiota of Lactating Sows and Their Piglets by Inclusion of Dietary Spray-Dried Plasma in Sow Diets

  • Jeong Jae Lee;Hyunjin Kyoung;Jin Ho Cho;Kyeong Il Park;Yonghee Kim;Jinmu Ahn;Jeehwan Choe;Younghoon Kim;Hyeun Bum Kim;Minho S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516-52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pray-dried plasma (SDP) on the gut microbiota of lactating sows and their piglets. A total of 12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dietary treatment group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reatments were a sow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a CON diet with an added 1% SDP. The sows were fed the dietary treatments from d 30 before farrowing to weaning (d 28). The fecal samples of three sows from each treatment and two of their randomly selected piglets were collected to verify their fecal microbiot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lpha diversity and distinct clustering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sows and their piglets when SDP was added to the sow diets from late gestation to weaning. The fecal microbiota of the lactating sows and their piglets showed a higher relative abundance of the phylum Bacteroidota and genus Lactobacillus and Ruminococcus and showed a lower relative abundance of the phylum Bacillota and genus Bacteroides, Escherichia/Shigella, and Clostridium in the sows fed the SDP diet than those fed the CON diet. Overal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SDP to the sow diet during lactation altered the gut environment with positive microbial composition changes. These results were similar in the nursing piglets, suggesting that the control of the sow diets during lactation may contribute to the intestinal health and growth in piglets after weaning.

전산관리 양돈농가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on Reproductive traits of the Pig Farms managed by EDP System)

  • 김효선;김병우;김현철;이길왕;하정기;전진태;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917-92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arm, type of sow Landrace${\times}$Yorkshire, LY; Yorkshire${\times}$ Landrace, YL; Yorkshire${\times}$Yorkshire, YY and multi-cross bred sow, MBS), parity, farrowing year, farrowing season and mating method on reproductive traits such as total number born per litter,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number of weaned per litt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number of stillbirth. The Reproductive Records of 3,387 litters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02 were obtained from four pig farms managed by Electronic Data Processing(EDP) system. Reproductive performances for two types of F1 Sows(YL and LY) were estimated as 11.34${\pm}$0.266 and 11.57${\pm}$0.263 heads for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10.56${\pm}$0.216 and 11.81${\pm}$0.251 heads for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and 10.05${\pm}$0.131 and 9.96${\pm}$0.153 heads for number of weaned per litter, respectively. These records a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YY and MBS. Howev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number of stillborn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diarrhea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other reasons during lactating period per litter and estrus interva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s of sows. There were more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and number of weaned per litter in year 2001 than other year. As year passed, number of dead by crush per litter, number of dead by diarrhea per litter and number of dead by other reasons during lactating period per litter reduced from 0.18${\pm}$0.023 to 0.07${\pm}$0.022 head, 0.12${\pm}$0.21 to 0.02${\pm}$0.020 head and 0.43${\pm}$0.041 to 0.22${\pm}$0.040 head, respectively and weaning rate increased from 0.94${\pm}$0.005% to 0.97${\pm}$0.005%. The total number of born per litter and number of born alive per litter were higher(P〈0.05) in the case of mating twice than mating once. The number of weaned per litter, number of mummified per litter and number of stillborn per litter were not significant(P〈0.05) between mating methods. Estrus interval was shorter on the occasion of twice artificial insemination(5.24${\pm}$0.153days) than twice natural mating(6.51${\pm}$0.466days).

포유자돈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ing of suckling piglets on change of body surface temperature in sows and piglets)

  • 김두완;김영화;김광식;김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5-140
    • /
    • 2017
  • 본 연구는 포유기간 중 이복자돈과의 합사가 모돈과 자돈의 체표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모돈 12두를 공시하여 6두는 개별 분만펜에 위치시켜 분만 후 이유시까지 복당 사육을 유지하였으며(대조구), 6두는 중간 칸막이의 제거가 가능한 가변형 분만펜에서 3복이 한 펜이 되도록 분만 11일차에 칸막이를 제거하여 이유시까지 유지하였다(처리구). 합사 30분 후에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돈 및 자돈의 체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분만 후 포유모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처리구에서 $37.1^{\circ}C$로 대조구의 $36.3^{\circ}C$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0.05), 최고온도에서는 두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포유 자돈의 평균 체표면 온도는 포유기 합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대조구 37.5, 처리구 $36.0^{\circ}C$; p<0.01). 최고온도에서 또한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각각 $39.4^{\circ}C$$39.1^{\circ}C$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으로 관찰되었다(p=0.079). 결론적으로 포유기간 중에 이복자돈과의 합사에 의해 모돈의 체표면 온도는 상승되지만, 자돈의 체표면 온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 나아가 체표면 온도와 심부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합사에 의한 모돈 및 자돈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韓牛)의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이용성(飼料利用性), 체중(體重)과 체척측정치(體尺測定値)에 미치는 유전(遺傳) 및 환경효과(環境效果)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Average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Body Measurements in Korean Native Bull)

  • 상병찬;한성욱;강흥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62-70
    • /
    • 1989
  • 본(本) 연구(硏究)는 1985년(年)부터 1987년(年)까지 3년(年)에 걸쳐서 충청남도(忠淸南道) 도립종축장(道立種畜場)에서 한우종모우(韓牛種牡牛) 8 두(頭)에서 생산(生産)된 당대검정용(當代檢定用) 후보종모우(後補種牡牛) 64 두(頭)에 대한 6 개월령(個月令)부터 12 개월령(個月令)까지의 능력검정(能力檢定)에서 얻은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종모우(種牡牛), 분만년도(分娩年度), 분만월(分娩月) 및 산차(産次)가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이용성(飼料利用性), 체중(體重) 및 체형(體型)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은 1.049 kg 이었으며 DCP 요구량(要求量)은 0.979 kg이었고, TDN 요구량(要求量)은 4.584 kg이었으며, 종모우(種牡牛)의 효과(效果)에서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및 TDN 요구량(要求量)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P<0.01)가 인정(認定)되었다. 2. 체중(體重)은 6 개월령(個月令)에서 182.023 kg이었고, 12 개월령(個月令)에서는 371.750 kg이었으며 종모우(種牡牛) 분만년도(分娩年度) 및 분만월(分娩月)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P<0.01)가 인정(認定)되었다. 3. 체고(體高) 및 체장(體長)은 6 개월령(個月令)에서 각각(各各) 106.672 및 107.968 cm이었고, 12 개월령(個月令)에서 각각(各各) 119.984 및 132.312cm 이었으며, 종모우(種牡牛)의 효과(效果)에서 유의차(有意差)(P<0.05)가 인정(認定)되었다. 4. 흉위(胸圍) 및 흉폭(胸幅)은 6 개월(個月)에서 각각(各各) 129.587 및 27.937 cm이었고, 12 개월령(個月令)에서 각각(各各)166.281 및 38.537 cm 이었으며, 종모우(種牡牛)의 효과(效果)에서 6 개월령(個月令) 및 12 개월령(個月令) 흉위(胸圍)에서 유의차(有意差)(P<0.05)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후보모돈의 실내.외 사육방식이 번식 및 이유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sing System on the Reproductive and Weaning Performances in Replacing Gilts)

  • 김계웅;옥영수;김석은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충남 당진군소재 대규모 양돈장에서 2007년 7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762복의 후보모돈에 대한 실내 외 돈방별 사육환경이 초산차 번식 및 이유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여 양돈농가의 모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내 외 사육장소간에는 유의한 차이없이 서로 비슷한 임신기간으로 각각 116.11일과 116.12일로 나타났다. 분만율은 운동장사육 후보돈에서 92.54%로 군사방 후보모돈 91.57% 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두 집단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2. 총산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 10.44두, 군사돈방 모돈 9.46두와 포유개시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이 9,77두, 군사돈방 모돈이 8.59두로 조사되었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에서 군사돈방 후보모돈 보다 총산자수는 0.98두, 그리고 포유개시두수는 1.18두로 유의하게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p<0.001). 3. 사산수(율)는 운동장 후보모돈이 0.22두(2.10%), 군사돈방 후보모돈이 0.33두(3,53%)로 운동장사육 후보 모돈이 유의하게(p<0.01) 양호하였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과 군사돈방 모돈의 도태두수는 각각 0.23두(2.27%)와 0.26두(2.77%)로써 서로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그리고 미이라 발생두수에서도 운동장과 군사돈방이 각각 0.21두(2.0%)와 0.28두(2,29%)로 사육 돈방간에 유의성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4. 이유두수는 군사돈방보다 운동장에서 사육한 후보모돈이 1.22두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성적을 보였다. 이유일령은 운동장과 군사돈방에서 각각 22.39일과 23.21일로써, 군사돈방 후보모돈보다 운동장 사육 후보모돈에서 유의적으로 짧았다(p<0.001). 자돈 이유육성율은 운동장과 군사돈방 후보모돈에서 각각 97.13%와 96.65%로 두 사육집단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군사돈방에서 사육한 후보모돈보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이 초산차의 번식능력이나 이유성적 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요크셔종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Reproductive Traits in Yorkshire)

  • 송광림;김병우;노승희;선두원;김효선;이득환;전진태;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55-64
    • /
    • 2010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요크셔종 모돈 분만기록 4,989복의 번식성적 자료를 근거로 요크셔 모돈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시 년도-계절, 산차, 교배웅돈을 교정효과로 포함하였으며, 영구환경효과 포함여부에 따른 두 개의 혼합모형을 설정하여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및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크셔종의 초교배일령, 경산돈의 발정재귀일령 및 포유기간이 번식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 결과 경산돈의 번식형질에 있어 사산두수, 미라두수, 기타두수를 제외한 번식형질에서는 계절의 요인을 제외하고는 년도, 산차, 발정재귀일령, 포유기간에 대해 각 요인별로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총산자수와 포유두수 사이의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상관이 표현형상관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경우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및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은 각각 총산자수에서 0.240과 0.076, 포유두수에서 0.187과 0.096으로 추정되어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이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보다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전모수 추정시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모델식을 적용한다면 육종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 생육 단계에 따른 계절별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돈사 내 농도 비교 (Comparison of Seasonal Concentr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in Swine House according to Pig's Growth Stage)

  • 김기연;고한종;김현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63-16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제환기가 적용되는 슬러리 돈사를 대상으로 돼지 생육 단계별 돈방 유형 측면과 계절적 조건에 따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실내 농도를 측정 분석하여 정량화하는 데 있다. 임신/분만 돈방의 경우 봄철은 5.60(${\pm}2.48$) ppm과 178.4(${\pm}204.8$) ppb, 여름철은 2.51(${\pm}3.08$) ppm과 86.6(${\pm}112.5$) ppb, 가을철은 4.96(${\pm}2.84$) ppm과 182.3(${\pm}242.6$) ppb, 겨울철은 6.82(${\pm}3.42$) ppm과 206.3(${\pm}356.8$) ppb로, 자돈방의 경우 봄철은 7.18(${\pm}3.26$) ppm과 486.0(${\pm}190.2$) ppb, 여름철은 4.23(${\pm}2.95$) ppm과 206.4(${\pm}186.9$) ppb, 가을철은 7.02(${\pm}2.65$) ppm과 465.4(${\pm}156.8$) ppb, 겨울철은 9.25(${\pm}3.68$) ppm과 618.4(${\pm}298.3$) ppb로, 육성/비육 돈방의 경우 봄철은 9.26(${\pm}3.02$) ppm과 604.4(${\pm}186.8$) ppb, 여름철은 6.78(${\pm}3.88$) ppm과 312.5(${\pm}215.4$) ppb, 가을철은 9.34(${\pm}2.14$) ppm과 578.2(${\pm}248.1$) ppb, 겨울철은 14.65(${\pm}3.15$) ppm과 825.3(${\pm}316.9$) ppb로 분석되었다. 측정 결과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모두 돼지 생육 단계별 돈사 유형 측면에서는 육성/비육 돈사>자돈사>임신/분만 돈사의 순서로 나타났고(p<0.05), 계절적 측면에서는 겨울>봄>가을>여름 순서로 조사되었으나 봄철과 가을철 데이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p>0.05).

The Effect of Wet Pad and Forced Ventilation Hous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oar

  • Chiang, S.H.;Hsia, L.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96-101
    • /
    • 2005
  • There were two trials involved in the experiment. Trial 1: the trial was conducted on two Taiwan Sugar Corporation (TSC) pig farms. One was located in the north of Taiwan and the other was located in the south. Both farms had wet pad and forced ventilation (WPFV) and conventional open design (COD) boar and sow houses. There were 12 Duroc boars, age ranging from 12-24 months. Half of them (6 boars) were raised in a WPFV pig house, and the other half were kept in a COD house. Semen was collected at 5-day intervals from May $1^{st}$ to the end of October. Sixteen sows (2-8 parity) were served by artificial insemination each week from the beginning of May to the end of Oct. These sows were checked for heat from 18 days to 25 days after insemination. Trial 2: there were four MPFV boar houses involved in the test. Two houses were located in the north of Taiwan, and the other two houses were located in the south. The test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1. The total number of serviced sows by MPFV-housed boars was 35,105 head and for COD-housed boars 103,065 hea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semen volume, density of sperm, total sperm per ejaculate, sperm motility and morphological abnorma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p<0.01) for boar raised in WPFV house than for COD houses. Average sperm motility in June and July was lower than for the other months. Morphological abnormality was higher during May, June and July. Although the results did not reach a significant level, the average value showed that the total volume of boar semen was higher in the north than for the south. The total semen volume production of boar raised in WPFV was higher than for boars raised in COD house, reaching a significant level only in summer. Boars kept in WPFV house had higher total sperm number than boars kept in COD house, reaching a significant level in spring (p<0.05), summer (p<0.01), and fall (p<0.05) but not in winter (p>0.05). Boars raised in WPFV house had significantly higher sperm motility than boars in COD house during spring (p<0.001), summer (p<0.001), fall (p<0.01) and winter (p<0.05). The average farrowing rate and piglets born alive were higher for boars in WPFV house than for boars in COD house, but neither reached a significant level (p>0.05). The present experiment shows that WPFV house can improve the reproduction performance of boars.

The Effects of Fat-soluble Vitamin Administration on Plasma Vitamin Status of Nursing Pigs Differ When Provided by Oral Administration or Injection

  • Jang, Y.D.;Lindemann, M.D.;Monegue, H.J.;Stuart, 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674-682
    • /
    • 2014
  •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t-soluble vitamin administration to sows or newborn pigs on plasma vitamin status. In Exp. 1 and 2, a total of 24 and 43 newborn pigs were allotted to control and vitamin treatments (vitamin $D_3$ with variable addition of vitamins A and E) orally or by i.m. injection. In Exp. 3, pigs from Exp. 2 were allotted to 2 treatments (${\alpha}$vitamins $D_3$ and E in drinking water) for 14 d postweaning. In Exp. 4, twenty-four gestating sows were used for 2 treatments (${\pm}injection$ of a vitamin $D_3$/A/E product 2 wk prepartum). In Exp. 1 and 2, when vitamin $D_3$ was administrated orally or by i.m. injection on d 1 of age, pigs had increased plasma 25-hydroxycholecalciferol (25-OH $D_3$) concentration 10 d after adminis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pigs (p<0.05). The injectable administration with vitamin $D_3$ and E was able to achieve higher plasma 25-OH $D_3$ (p<0.05) and ${\alpha}$-tocopherol (p<0.05) concentrations than oral administration. At weaning, the pigs in the injection group had higher plasma 25-OH $D_3$ concentration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in both studies (p<0.05). In Exp. 3, water supplementation of vitamin $D_3$ and E postweaning increased plasma 25-OH $D_3$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at d 14 postweaning (p<0.01). In Exp. 4, when sows were injected with the vitamin $D_3$ product prepartum, serum 25-OH $D_3$ concentrations of sows at farrowing (p<0.01), and in their progeny at birth (p<0.01) and weaning (p<0.05)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fat-soluble vitamin administration to newborn pigs increased plasma 25-OH $D_3$ concentration regardless of administration routes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by the injectable route, and that water supplementation of vitamin $D_3$ and E to nursery pigs increased plasma 25-OH $D_3$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Additionally, injecting sows with vitamin $D_3$ prepartum increased 25-OH $D_3$ in sows and their offspring. If continued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serum levels of 25-OH $D_3$ are critical in weanling pigs, a variety of means to increase those levels are available to swine producers.

돼지 액상정액 보존을 위한 Lactose-Egg Yolk와 $B\ddot{u}tschwiler$ 희석액의 비교 (Comparision of Preservation of Liquid Boar Semen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ddot{u}tschwiler$ Diluents)

  • 박창식;천용민;서직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9
    • /
    • 1996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을 인공수정용 100ml 플라스틱 병에 보존하면서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 간에 보존 온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Lactose-Egg yolk 희석액에서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을 좀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액상정액을 5$^{\circ}C$ 냉장고에 보존하면서조사한 바에 의하면, 37$^{\circ}C$에서 0.5 및 2시간 배양 후의 정자 운동성은 전체 보존기간동안 Lactose-Egg yolk 희석액이 B tschwiler 희석액보다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고, 정상첨체비율은 두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돼지 액상정액을 15$^{\circ}C$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일부터 7일 보존시까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에 있어서 B tschwiler 희석액이 Lactose-Egg yolk 희석액보다 유의하데 높게 나타났다. Lactose-Egg yolk 희석액을 이용한 돼지 액상정액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에 있어서는 최종 글리세롤 농도가 0, 1, 3 및 5%보다 2%일 때 가장 높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유을 나타내었다. 분만율, 복당 생존자돈수 그리고 출생시 평균 생시체중은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Lactose-Egg yolk 희석액은 5$^{\circ}C$에서 B tschwiler 희석액은 15$^{\circ}C$에서 6~7일 동안 돼지 액상정액을 보존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