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ing technology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8초

상추 균핵병 생물적방제를 위한 Brevibacillus brevis B23과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42의 선발 (Selection of Brevibacillus brevis B23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42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Sclerotinia Rot of Lettuce)

  • 황지영;심창기;류경열;최두회;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54-259
    • /
    • 2006
  • 버섯폐배지로부터 잡균의 증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섯폐배지현탁액을 nutrient agar(NA) 배지에 직접 혼합하여 분주한 결과 배양기에 출현한 균체수가 희석평판법에 의한 것보다 훨씬 적었으며 형태적으로 Bacillus 속 세균이 분리될 확률이 높았다. 대장균(E. coli) $DH5{\alpha}$에 대하여 항균력을 보이는 1차 분리 균주를 신령버섯폐배지에서 12균주, 양송이폐배지에서 10균주, 느타리폐배지는 20균주 등 총 42균주를 분리하였다. 1차 선발한 균주를 최소 배지상에서 8종의 중요 식물병원균과 대치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17개의 균주를 2차 선발하였는데 이 들 중에서 배지상에서 생장이 우수하고 중요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넓은 길항력을 가지는 B23과 B42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은 각각 Brevibaciilus brevis와 Bacillus stearothermophilus로 동정되었다. 이들 길항균의 효과를 높이고 안전화를 위해서 유기농업에서 활용가능한 전분과 글리세린 및 계란노른자를 보조제로 선발하였다. 길항균과 이들 보조제를 혼합할 경우 대부분의 처리에서 세균의 밀도가 30일간 효과적으로 유지되거나 증가되었다. B23 단독 처리의 경우에는 상추균핵병의 발병율이 약 28% 정도였으나 전분(starch)과 글리세롤(glycerol) 및 계란노른자(Egg yolk)를 각각 0.2% 혼합 처리시는 발병율이 5% 이하로 나타나 길항세균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경우보다 상추균핵병원의 방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유기농업실천농가 포장내 인산의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Accumulation in Organic Farming Fields)

  • 김필주;이상민;윤홍배;박양호;이주영;김석철;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4-241
    • /
    • 2000
  • 현재 친환경농업을 위한 하나의 대체농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유기농업실천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시설재배지 36곳, 논 10곳, 과수원 8곳을 전국에서 선발 표층토내 인산의 분포특성과 주요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기농업포장의 화학성중 평균 유기물함량은 시설재배지 $44g\;kg^{-1}$, 논 $26g\;kg^{-1}$, 과수원 $39g\;kg^{-1}$으로 국내 90년대 농지내 평균 유기물 함량에 비해 높게 분포하였다. 유효인산 함량은 시설재배지 $986mg\;kg^{-1}$ 과수원 $754mg\;kg^{-1}$, 전인산은 각각 2973과 $2303mg\;kg^{-1}$으로 과량의 인산이 축적되고 있었다. 이는 유기농업실천 농가에서 질소와 인의 비율(N/Pratio)이 낮은 축분을 비옥도 관리에 주로 이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시설재배지와 과수원 토양에서는 전인산(T-P)의 62~80%로 무기태 인(Inorganic-P) 형태로 존재하여 가장 높은 비율로 차지하였으며, 논토양에서는 Residual-P가 전인산의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인산분획특성(P Fractionation)중 시설재배지와 과수원 토양내에서는 Ca-P가 약 $1,330mg\;kg^{-1}$으로 Extractable P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었으며, 이는 두 토양의 높은 pH 영향으로 해석되었다. 반면 논토양내에서는 Fe-P가 Extractable P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토양의 이용특성간 분포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수용성 인산이 시설재배지 $65mg\;kg^{-1}$, 과수원 $26mg\;kg^{-1}$으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친환경 농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재 우리의 유기농업 실천농가포장의 상당부분 인산이 과량축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토양환경 악화 초래 및 주변수계의 부영양화 유발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분자농업의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in molecular farming)

  • 김태금;양문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43-249
    • /
    • 2010
  • Molecular farming is production of pharmaceutically and industrially important proteins in plants. Plants and plant cell culture systems have been used as bio-factory to produce recombinant proteins such as monoclonal antibodies, enzymes, vaccines, hormones, interleukins, commercial enzymes and etc. The terms molecular farming, biofarming, molecular pharming, phytomanufacturing, recombinant or plant-made industrials, planta-pharma, plant bioreactors, plant biofactory, and pharmaceutical gardening are used interchangeably. Molecular farming can provide safe and inexpensive pharmaceutical proteins as well as commercial ones. In spite of several advantages of molecular farming such as safety and inexpensive cost, there are also a couple of drawbacks in the existing technology. One of them is low expression level of target gene in plants, which has been improved by optimizing gene-based codon usage, screening of strong promoters,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subcellular targeting of target proteins, chloroplast transformation, and transient expression using viral expression system (magnifection). Some plant-based commercial proteins have already been in markets and more than twenty plant-based pharmaceuticals have been in clinical trials, from that we can expect that several plant-based pharmaceutical proteins will be seen in the markets in the near future.

한국의 해조류 바이오매스자원 현황 (Seaweed Biomass Resources in Korea)

  • 이신엽;안재우;황형진;이선복
    • KSBB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67-276
    • /
    • 2011
  • There is a growing worldwide interest in the potential of marine biomass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resource. Due to the great lack of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domestic seaweed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production and types of domestic seaweed species. Based on this data the possibilities of industrial use of domestic seaweed for the production of biofuels and bioplastics had been assessed. Our review took into account the seaweed species on domestic coasts as well as the species currently in great production via seaweed farming. Due to their wide distribution, their status as farmed crops, and the likelihood of securing their reliable supply, Codium fragile, Hizikia fuciformis, and Gelidium amansii were deem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andidates for domestic industrial use. The industrial potential of seaweed biomass was also explor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mount of biomass necessary to replace current gasoline and plastics use with currently available farming space. The results of our study imply that once a steady and adequate supply of the proper kinds of seaweed can be secured through seaweed farming, there is a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seaweed-based biofuels and bioplastics industries in Korea.

Technological Experience and Crop Production in Dryland Farming Systems in Africa : The Case of Draught Animal Power in Ghana

  • Panin, Anthony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591-600
    • /
    • 1993
  • Considerable controversy exists about the trend of animal traction effects on crop production in dryland farming systems in sub-Saharan Africa (SSA). This problem arises on account of the failure of the few available empirical studies to recognise the important of technological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adopting farmers. This study hence addresses this issu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xperience in animal traction technology (ATT) on farm size, cropping emphasis, total crop output and farm productivity. It is based on farm management survey data on 42 small holder farm households fro Ghana. Thirty of these households used animal traction technology (ATT) fro crop cultivation and the rest, mainly hand-hoe. The animal traction sub-sample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armers' years of experience with the technology , thus , those with 1-2, 3-10, and more than 10. Evidence from the study shows that the progression of years of experience with ATT leads to inten ification of labour and land use systems, enhancement of degree of motivation to enter into the market economy, increases in total crop output and farm productivity resulting for decreases in cultivated acreages.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institutioal and technical support that do accompany the introduction of such technologies should be structured to last for a relatively longer period to accomodate the learning process.

  • PDF

가막만과 히로시마만의 해양환경과 굴양식의 비교 (Comparison of marine environment and oyster culture between in Gamak and Hiroshima Bays)

  • 이문옥;김종규;김병국;권영아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481-484
    • /
    • 2006
  • This research compares oyster farming in Gamak Bay which Hiroshima Bay which has nearly similar marine environments.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se two waters has similar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sea surfac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alinity. However Hiroshima Bay is higher than Gamak Bay i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Hiroshima Bay is also higher than Gamak Bay in the salinity. Their oyster farming method is basically similar but it is different in their facilities. We need to take some measures against high mortalities, and in addition, to enhance the rate of seed collection.

  • PDF

밭농사의 여름철 기후순화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Cooling by Upland Farming during Hot Summer)

  • 현병근;김무성;엄기철;강기경;윤홍배;서명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3-428
    • /
    • 2003
  • 밭농사의 다원적 기능 중 여름철 고온기의 기후순화 기능을 일증발산량으로 평가하였는데, 일증발산량은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의 평균작물계수와 밭토양의 평균 토양수분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7월부터 8월 사이의 고온기간 중 밭농사에 의해 날아간 수분증발산량은 ha당 1,676 Mg으로 추정되었으며, 밭 면적 전체로는 $1.224{\times}10^6Mg$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수분의 증발산을 통한 기후순화기능의 경제적인 가치를 기화열로 환산하면 $7.1{\times}10^{14}kcal$에 해당하였으며, 이 열량을 냉방용 석유 값으로 평가하면 12조 3,412억원에 해당되었다.

Event Mean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a Dairy and Crop Farming Complex Watershed

  • Yoon, Kwang-Sik;Shirmohammadi, Adel;Choi, Woo-Jung;Jung, Jae-Woon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7호
    • /
    • pp.65-72
    • /
    • 2006
  •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is primary information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assessment of a watershed. The EMCs for various types of agriculture such as dairy and crop farming under different climate and geologic conditions are not fully investigated. A diary- and cropfarming complex agricultural watershed in Piedmont region in Maryland, USA has been monitored for 10 years as a section 319 national monitoring program of US EPA. Dairy manure was the main source of fertilizer for crop farming in this watershed. Observed mean concentrations of N and P for each event were analyzed. Distribution of EMCs for N and P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s. Representative EMCs of T-N and $NO_{3}-N$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reported for other agricultural watersheds. This study confirmed that site-specific EMC information for various agricultural practices is required for better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EMC method.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농촌 지역 활성화를 위한 귀농.귀촌 지역 추천 (Recommendation of Farming and Rural Areas Based on Big Data)

  • 김예은;배민경;김서담;박소현;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437-438
    • /
    • 2024
  •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농어촌의 지역경제를 살림과 동시에 지역 소멸을 예방하고, 정착 지역 탐색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귀농희망자들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사용자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상위 5개 지역을 추천받을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이 귀농 지역 추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귀농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행태를 알아보면 농촌 지역과 지방 소도시 지역 개발 및 활성화를 긍정적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러한 관심이 결과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국토 균형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농가의 영농 신기술 수용요인 지표화 및 중요도 평가 (Indexation and Importance Evaluation of Farmers' Acceptance Factors for New Farming Technologies)

  • 정윤희;서상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54-263
    • /
    • 2020
  • 이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전주기 경제성 분석단계 중 사후 경제성 분석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농가의 신기술 수용요인을 지표화하고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농촌진흥청의 영농기술을 유형화하였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농가의 신기술 수용요인을 지표화하고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지표는 2계층으로 구분한 다음, 계층분석 방법(AHP)을 이용하여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중요도 평가결과, 1계층에서는 재무 수익성 43.9%, 기술성 23.6%, 노동환경 22.4%, 연관산업 및 기술지원체계 10.1%의 중요도를 보였으며, 2계층에서는 기술성의 경우 기술습득의 용이성 64.9%, 기술의 완성도 35.1%, 노동환경의 경우 노동강도 53.7%, 작업위험도 26.7%, 노동시간 19.6%, 재무 수익성의 경우 농가소득 증가수준 69.9%, 신규자금 소요수준 30.1%, 연관산업 및 기술지원체계의 경우 교육 및 기술지원체계 66.3%, 연관산업 활성화 정도 33.7%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영농활용기술의 농가 수용성을 높이고, 농업 연구 및 지도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