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Place Librar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마케팅 전략 - 미국 공공도서관의 '가족장소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ildren Service Marketing Strategies of Public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Family Place Library' at the Public Libraries in USA)

  • 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7-440
    • /
    • 2011
  • 21 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 경영에서 마케팅 개념을 도입할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제공하는 어린이서비스 중 '가족장소도서관'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족장소도서관'은 영 유아와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2011년 2월 현재 미국 공공도서관 중 300여개 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뉴욕주를 중심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주요 사례 도서관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여 이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 미국 여러 주의 도서관 내외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경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에 있어서 이용자요구특성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Need in the Children's Library)

  • 이정미;곽동화;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13-223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tual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need in the children's libraries of open plan type. The children's library as a flexible space should accept user's diverse needs. Especially, Children express more positive and diverse behaviors than adults in physical environment. As the design information obtained from observation of children's behaviors are put to architectural design, the more affluent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do positive behaviors can be made. We used two research methods of the behavior observation and interview for the children's library, and could formulate various using actions through the behavior setting observation for using library. A relational description for rea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affordance and the behavior setting theories, provided us with rich accounts for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resources in the children's library. Consequently,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summarized. First, children need territories for family use and for place and are using library effectively through taking the two territories. Second, the zoning according to age category should be done, as behavior patterns were observed differently according to age. Third, the space composition with openness should be designed, as children need social relation and learning through imitation and observation.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아동의 가구 사용방법(Way of Seat)과 아동-부모의 상호작용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xt of children's library and user behavior modeling)

  • 송소라;반영환;정지홍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38
    • /
    • 2008
  •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따라서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책상과 의자는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 PDF

도서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Influence of Libraries on the Quality of Life)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01-13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만족도가 소득고용,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환경, 주관적 만족도로 구성되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정규분포 정도(왜도와 첨도)와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첫째,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가 소득 및 고용 부분의 삶의 질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는 삶의 질 중 교육부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는 삶의 질 중 문화/여가/건강 등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 종합적 부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공동체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와 종합적 부분이 높아질수록 시민참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안전/환경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공간/장소서비스와 도서관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서관에 대한 각종 지원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목록규칙 4판 개정판의 구성 방안 연구 (Suggestions for the Composition of KCR4 Revision)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07-226
    • /
    • 2015
  • 연구는 FRBR과 FRAD 모형, ICP, RDA, NCR 개정안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KCR4 개정판의 구성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개체는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개인, 가족, 단체, 개념, 대상, 사건, 장소로 구분한다. 2) 규칙 전체는 '속성'과 '관계'로 대별하며 '속성'은 다시 속성 기술과 접근점 구축으로 구분한다. 3) 속성 기술은 1집단 개체는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의 순으로, 2집단 개체는 개인, 가족, 단체의 순으로 배열한다. 4) 접근점 구축은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구축, 개인, 가족, 단체의 접근점 구축 순으로 배열한다. 5) '관계'는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간의 기타 관계와 개인, 가족, 단체 간의 관계에 대한 규칙을 둔다.

아동양육시설의 주거형태에 따른 공부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ing Activities of Children and Spaces In the Orphanage)

  • 권재웅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07-214
    • /
    • 2003
  • Children of three-to-eighteen-years-old have been brought up in the institution (Orphanage) for several reasons such as family dissolution, divorce and poverty since the Korean Was of 1950. The Cottage, where these children are housed and brought up has dining room, library and bedrooms, plays as a significant social interaction place as well as study. Since the most facilities were built during the 1950-1960s period, most of the cottages are now in the condition of being rebuilt or remodelled. Because living space and studying space are mixed,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another studying space separated from living space. And then it will be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for play or rest between the two spa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basic data necessary for design of spaces in the orphanages by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studying activities of children and residence types.

  • PDF

양평군 공공도서관 공간 운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 Plan for Yangpyeong-gun Public Library)

  • 장인호;노영희;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1-32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양평군의 신규 건립 도서관이 지역민을 위한 문화 향유 공간, 창의성 함양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공간별 운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될 공간에 대한 운영 계획(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 도서관의 유사 공간별 명칭, 운영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고, 도서관 사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자료실 등은 유아·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초기 독서습관 향상, 발달 기여, 다양한 감각 발달 등에 기여하는 공간 활용이 중요하며, 소극장은 규모가 큰 공연을 중심으로 기획해야 한다. 벽면서가&북스테어 옆 독서 및 휴식을 위한 가구와 공간 마련하고 일정 이하 잡담이 가능한 소통공간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목적실은 체험형 창작 활동, 창작 공연 등을 활성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아리실은 주기적인 소통 및 의견 공유를 통해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은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을, 일반자료실은 전 주제의 자료를 제공하는 장소로써 이용자들과 주기적으로 소통하여 의견을 반영하여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족실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도 마시면서 북카페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남 의령지역의 문집 간행양상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Works Printed at Uiryeong(宜寧) Area, Gyeongnam Province Korea)

  • 송정숙;김시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5-337
    • /
    • 2019
  • 연구는 경상남도 의령지역에서 간행된 109종의 문집을 대상으로 문집 간행의 구체적인 양상과 출판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문집의 판종,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경남 의령지역 간행 문집 109종의 판종,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판종은 목활자본(52종, 47.7%), 석판본(25종, 22.9%), 신연활자본(18종, 16.5%), 목판본(14종, 12.8%)의 순이다. 2) 유형은 문집(53종, 48.6%), 유집(47종, 43.1%), 실기(9종, 8.3%)의 순이다. 3) 문집 저자의 출생연도는 1318년부터 1902년까지 584년의 간극이 있다. 1318년생은 <경은실기>의 저자인 전조생이고, 1902년생은 <회동유고>의 저자인 전용기(1902-1978)이다. 전체 저자 104명 가운데 19세기 전기 출생자가 16명(15.4%), 19세기 후기 출생자가 54명(51.9%)로서 19세기에는 전체의 67.3%에 해당하는 70명이 출생하였다. 4) 109종 문집 저자의 성관은 모두 29개로서 담양전씨(15종) > 고성이씨(12종) > 진양강씨·탐잔안씨(각9종)의 순이다. 5) 의령에서 문집의 간행년도를 보면, 161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370년간 간행되었고, 1820년대까지는 문집이 목판으로만 간행되었고, 1850년대에 목활자본 문집이 처음 나타나며, 1930년대에 석판본, 신연활자본 문집이 나타난다. 6) 저자 사후 문집간행에 소요되는 기간을 살펴보면. 저자가 별세하는 당해년부터 사후 545년까지 간행되었고, 저자 사후 50년 이내에 63%인 69종이 간행되었다. 7) 문집의 간행소는 판종에 구분없이 조상의 제향공간인 누정과 재실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다. 이는 문집간행이 선조의 학문과 행적을 선양하고자 하는 혈연공동체의 사업이었음을 말해준다.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 특성에 주거개선 행위와의 관계 연구 -45평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Housing Variables of Apartment Residents and Their Improvement Activities)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5-152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mprovement activities for the apartment house ;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residents and their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in order to present some informa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and plans of apartment design and housing policy. Library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sample was taken from 102 housewives living in the apartments over 45 pyong (1602 sq. ft.), in Seou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η2, and C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residents had experienced with 3.6 kinds of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Living rooms, dining rooms, and kitchens in family living areas ; balconies and utility rooms in utility areas were improved for the physical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ving. 2. This survey indicated that apartment residents evaluated thier housing condition as high, except storage spaces and outdoor noises. 3. About 80% of respondents were expected to live continuously in the current apartments becaus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ize of thier residences, However, they wanted to improve the inside of the entire apartment, especially bathrooms. 4. Variables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in the past were the length of residence,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5.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were found to be effective variable for evaluating the current residence. 6. Finally,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housing plan in the future.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were prevalent recently and expect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erefore, that apartment residents have a long -term plan to live in one place rather than moving out ever two-three years.

  • PDF

황해도 사찰 간행불서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in Temples Located in Hwanghae-do Province)

  • 송일기;박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95-416
    • /
    • 2016
  • 이 연구는 조선시대 황해도 지방의 사찰에서 개판(開板)된 불서를 대상으로 시기별 간행 현상과 불서의 성격 등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분석한 글이다. 황해도에서 간행된 불서는 모두 85종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중 "용감수감(龍龕手鑑)" 등 5종은 황해도 사찰에서만 유일하게 개판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불서는 조선전기에 64종이 간행되어 전체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에서도 명종 대에 문정왕후 등 왕실의 후원으로 집중적으로 개판되었던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임란 이후 조선후기에는 급격하게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바, 이는 임진과 병자의 양난을 거치면서 황해도 지방의 민생이 파탄에 이른 역사적 사실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이들 불서를 대상으로 주제별로 분류하여 성격을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경전류와 종의류 불서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적으로 사찰에서 개판불사에는 각수의 소임이 매우 중요한데, 대부분의 각수(刻手)는 황해도 지방의 사찰에서 활동하면서 2-3종의 불서를 판각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각수 중에 도성(道成)과 수연(守衍)은 황해도는 물론 다른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불서를 판각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목되는 각승(刻僧)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향후 북한지역 내 다른 지방의 개판 불서 연구에 비교 대상 논문으로써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