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Conflict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25초

Mediating effect of intergenerational family conflict between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depressive symptoms

  • Nam, Gloria Youngj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631-1643
    • /
    • 2016
  • Depressive symptoms are one of the biggest mental health issues among Korean American adolescent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parental warmth and intergenerational family conflict have a major impac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merican adolescents.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family conflict between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97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ged 14 to 18 years old in the Pacific Northwest reg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60% of participants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mother-adolescent conflict significant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depressive symptoms while father-adolescent conflict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finding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for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that focus on creating an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identifying early signs of depressive symptoms, and decreasing intergenerational family conflict by teaching parents to express parental warmth effectively.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arried Worker's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 김재엽;최수찬;최보라;김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51-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mpact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mong married workers and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the two variables. 356 married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stress was statistically influential on depres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tress impli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with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altreatment of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would negatively impact on depression. Therefore, work organizations must launch and activate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s) or family friendly welfare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overall mental health of the employees.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공동양육의 질,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적용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Conflict, Coparenting Quality,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School Adjustment: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임양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07-520
    • /
    • 2022
  •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their and partners' co-parenting qua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linking parents' work-family conflict to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387 dual-earner parents and thei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and mediation mode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co-parenting quality were significant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Second, the effect of the fathers' work-family conflict on their co-parenting qualit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the fathers' co-parenting quality. Third,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respectively, exerte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serial mediation by the mothers'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hereas the direct effects of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not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co-parenting qualit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facilitat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the parent education of dual-earner families with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at continuous policy efforts for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balance are needed.

저소득 가정과 일반 가정 아동의 우울성향에 대한 부모간 갈등과 양육행동의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Child-Rearing and School-Aged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Family and Non-Low Income Family)

  • 민하영;김경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6호
    • /
    • pp.33-4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flict and child-rearing and school-aged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family and non-low income family. The subjects were 357 school-aged children who attended elementary school and who were 5th 176(49.3%) and 6th grade 181(50.7%)(boys were 206(57.7%), girls 151(42.3%)).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enter regression(using SPSS 12.1).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Parents' conflic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depression i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family. (2) Parents' conflic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s' child-rearing i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family. (3) Parents' conflict partially exerted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controlled by parents' child-rearing i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family. The effect of parents' child-rearing as mediation was higher in low-income family than in non-low income family.

기혼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 일-가족양립의 긍정적 전이, 비대칭성, 차별적 기능 검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Married Women in Double Income Households - With a focus on testing the positive spillover, asymmetry, and differential function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

  • 문영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1호
    • /
    • pp.81-1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level of married women in double-income households.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test the positive spillover effects, asymmetry, and differential function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The study thus analyzed 1,114 married women in double-income households in the third-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done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with the exception of those who were separated, divorced, or widowed from their husbands. The data were put to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20.0 for Windows. AMOS 20.0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on positive spillover effects, asymmetry, and differential function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work-family facilitation, and family-work facilitation are different concepts,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on positive spillover effects. Secondly, the negative effects of family on work were greater than those of work on family, whereas the positive effects of family on work were greater than those of work on family, which finding partially supported the hypothesis on asymmetry among the componen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Finally, the married women in double-income households with preschool children experienced more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than those with no preschool children, which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on differential fu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of women. The findings were combin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utilization of family resources, polici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plans for institutional supports to promote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married women in double-income households.

  • PDF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Work-Family Role Conflict on Child-Rearing Attitudes)

  • 박봉선;엄명용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7-39
    • /
    • 2016
  •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인 직장과 가정 사이의 역할갈등의 방향적(일${\rightarrow}$가정 역할갈등, 가정${\rightarrow}$일 역할갈등)측면과 유형적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을 살펴보고,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과 양육태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 267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방향적 측면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취업모의 일${\rightarrow}$가정 역할갈등(WIF) 총합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모의 가정${\rightarrow}$일 역할갈등(FIW) 총합이 높을수록 자율적 양육태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직장-가정 역할갈등(WFC)의 유형적 측면(시간, 긴장, 행동갈등)과 양육태도를 검증해본 결과, 행동갈등과 시간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긴장갈등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일${\rightarrow}$가정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의 가정${\rightarrow}$일 긴장갈등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 연구 (Conflict Process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of the Vietnamese Migrated Women's Family in Korea)

  • 정혜영;김진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29-55
    • /
    • 2010
  • 본 연구는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드러나는 문화차이에 대한 이해, 가족갈등의 유형과 변화과정 등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여성결혼이민자, 남편, 시모 3명 모두가 인터뷰 가능한 가족 10사례에 대해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이한 의사소통방식, 가부장적 가족문화에 대한 이해 차이, 일상생활방식의 차이로 인해 갈등이 촉발되고 있었고 촉발된 갈등은 각자 자신의 입장에서 타인의 부족한 점에 대한 분노와 좌절이 반복되는 가운데 증폭되었지만, 가족의 소중함과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기반으로 스스로에 대해 그리고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해 갈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발굴 적용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과 근로자의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와 성별 및 자녀수의 조절효과 - 몽골 중소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involve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Focused on Mongolia SMEs -)

  • 김동철;우랑토야;김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37-58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 중소기업 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일-가정 갈등이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인구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가정 갈등(직장${\rightarrow}$가정 갈등, 가정${\rightarrow}$직장 갈등), 직무몰입, 삶의 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직장${\rightarrow}$가정 갈등은 삶의 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가정${\rightarrow}$직장 갈등은 직무몰입과 삶의 만족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특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일-가정 갈등에 대한 리더의 인식변화와 적극적 대응, 유연근무제도의 도입, 선별적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지원, 관련 평가체계 수립 등이 있다.

  • PDF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의 통합적 접근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on Depression)

  • 김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3호
    • /
    • pp.161-185
    • /
    • 2016
  • 이 연구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은 현실에서 공존하므로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2012년 여성가족패널 자료 중 맞벌이 여성 2,7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은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일가족갈등이 증가할수록 일가족촉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족갈등은 자녀의 존재와 배우자의 근로시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과 같은 물리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가족촉진은 배우자지지 변인과 여성의 진보적인 성역할 태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가족갈등은 우울을 증가시키는데, 일가족촉진은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가족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일가족촉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가족촉진은 일가족갈등이 낮을 때 더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정의 병행이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Female Hospital Nurses.)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25-43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S시 병원에 근무하는 기혼여성간호사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적대적 성차별의식보다 높았다. 직장-가정 갈등은 40세 미만, 자녀 1명,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일 때가 높았다. 이직의도는 40세 미만(t=3.66, p<.001), 자녀가 없는 경우(F=5.76, p=.004),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F=5.86, p=.004)가 유의하게 높았다.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가정-직장 방향 갈등과 지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직장-가정 방향 갈등과 가정-직장 방향 갈등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간호사들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의 정도와 이직의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직장-가정 양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