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positive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56초

타임 윈도우 기반의 T-N2SCD 탐지 모델 구현 (Design of T-N2SCD Detection Model based on Time Window)

  • 신미예;원일용;이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341-2348
    • /
    • 2009
  • 호스트 기반 침입탐지 기법에는 시스템 호출 순서를 고려하는 방법과 시스템 호출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방법이 있다. 이 두 방법은 프로세스의 시스템 호출이 일어나는 전 구간에서 시스템 호출 순서에 이상이 있거나 시스템 호출 파라미터의 순서 및 길이 등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적합하지만 긍정적 결함율과 부정적 결함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 호출을 이용한 방법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결함율과 부정적 결함율을 줄이기 위해서 단위 시간을 도입한 타임 윈도우 기반의 T-N2SCD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의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는 DARPA에서 제공된 데이터이며,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은 다른 시간 간격 보다 1000ms 시간 간격으로 실험하였을 경우가 긍정적 결합률과 부정적 결합률이 가장 낮았다.

AI 기반 지능형 CCTV 이상행위 탐지 성능 개선 방안 (AI-Based Intelligent CCTV Det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 류동주;김승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7-123
    • /
    • 2023
  • 최근 생성형 Artificial Intelligence(이하 AI)와 인공지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오남용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상행위 탐지를 극대화한 지능형 CCTV는 군과 경찰에서 범죄 예방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AI는 인간이 가르쳐준 대로 학습을 수행한 후, 자가 학습을 진행한다. AI는 학습된 결과에 따라 판단을 하기 때문에, 학습 시 특징을 명확하게 이해해야만 한다. 그러나, 인간이 판단하기에도 모호한 이상한 행위와 비정상 행위의 시각적 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것을 인공지능의 눈으로 학습하기란 매우 어렵고, 학습을 한 결과는 오탐, 미탐 그리고 과탐이 매우 많아진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AI의 이상한 행위와 비정상 행위의 학습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고, 지능형 CCTV의 오탐, 미탐 그리고 과탐에 대한 판단 능력을 최대화 하기 위한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현재 활용 중인 지능형 CCTV의 인공지능 엔진 성능을 극대화가 가능하고, 오탐율과 미탐율의 최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mprovement of Decarboxylating Agar Medium for Screening Biogenic Amine-Producting Bacteria in Kimchi

  • Mah, Jae-Hyung;Shin, Soon-Young;Lee, Heung-Shick;Cho, Hong-Yon;Hwang, Han-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91-496
    • /
    • 2001
  • A modification of decarboxylating agar medium as described by niven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detection method of 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and to eliminate the false-positive. A total of 120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were used to evaluate different dicarboxylating agar media and for screening biogenic amines. Potential false-positives ranged from approximately 66 to 79% of the strains tested in the already well-known media. In our improved medium, none of the 120 strains showed the potential false-positives. There was a good agreement (81.7%-87.5%)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improved medium and by HPLC analysis. Consequently, this medium was greatly improved in screening 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and discarding false-positives. Of the 120 kimchi isolates, 14.2, 18.3, 37.5, and 0.8% were found by HPLC to be the producers of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 (as a form of spermine), and cadaverine,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iogenic amine producer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creased to a maximum at an immature period and decreased thereafter.

  • PDF

Real-time Smoke Detection Research with False Positive Reduction using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based on Faster R-CNN

  • Lee, Sang-Hoon;Lee, Yeung-Hak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48-1155
    • /
    • 2020
  • Fire must be extinguished as quickly as possible because they cause a lot of economic loss and take away precious human lives. Especially, the detection of smoke, which tends to be found first in fire, is of great importance. Smoke detection based on image has many difficulties in algorithm research due to the irregular shape of smoke.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real-time smoke detection algorithm that reduces the detection of false positives generated by irregular smoke shape based on faster r-cnn of factory-installed surveillance cameras. First, we compute the global frame similarity and mean squared error (MSE) to detect the movement of smoke from the input surveillance camera. Second, we use deep learning algorithm (Faster r-cnn) to extract deferred candidate regions. Third, the extracted candidate areas for acting are finally determined using space and temporal features as smoke area.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algorithm using the space and temporal features of global and local frames, which are well-proposed object information, to reduce false positive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iques.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excellent performance by reducing false positives of about 99.0% while maintaining smoke detection performance.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 검증 기법 (A scor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data)

  • 홍진선;한경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292-294
    • /
    • 2004
  • 단백질 상호작용 검출 방법의 발달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산출되고 있고, 이러한 상호작용 데이터의 방대한 양으로 인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서 유용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예측한 상호작용 데이터는 첫째, 대량의 데이터를 생산해내므로, 많은 false-positive를 내포하고 있고, 둘째, 예측한 상호작용을 검증시 실험을 하는 방법 외에는 신뢰도를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수 할당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예측한 인간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false-positive를 줄이고, 각각 상호작용에 점수를 부설함으로서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The Role of Artificial Observations in Misclassified Binary Data with Common False-Positive Error

  • Lee, Seung-Chu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4호
    • /
    • pp.697-706
    • /
    • 2012
  • An Agresti-Coull type test is considered for the difference of binomial proportions in two doubly sampled data subject to common false-positive error. The performance of the test is compared with likelihood-based tests. The Agresti-Coull test has many desirable properties in that it can approximate the nominal significance level well, and has comparable power performance with a computational advantage.

나선형 CT 혈관촬영의 폐색전증 자동 검출 (Automatic Detection of Pulmonary Embolism in Spiral CT Angiography)

  • 한재복;홍성훈;김수형;이귀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03-706
    • /
    • 2004
  • 나선형 CT 혈관촬영에서 획득한 영상의 분석를 통해서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으로, 연구 대상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CT 검사 후 방사선과 의사가 정상소견을 받은 환자 5명과 폐색전증이 있는 판독소견을 가진 15명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CT 검사하는 동안에 조영제를 투입하면, 폐색전증이 발생한 부위는 조영제 양과 분포가 불균등하여 명암값이 낮게 검출된다. 검출방법으로는 전처리 작업으로 폐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된 폐영역에서 혈관을 찾기 위해 모폴로지기법를 적용하여 세선화(thinning) 작업을 진행한다. 다음 공정으로는 경계선을 찾아 local watershed를 적용하여 혈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혈관내에서 원형모델을 적용하여 모폴로지(morphology)을 통해 국소 부위의 미세한 농도변화를 인지하여 색전이 발생한 영역을 자동검출하였다. 본 논문의 자동검출시스템에서는 색전증이 있는 경우에 true positive의 발생빈도는 case 당 4.5개가 검출되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혈류의 흐름, 혈류의 분기점, 노이즈로 인한 false positive의 빈도는 case 당 2.6개가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false positive는 5.2개가 검출되었다. 본 논문은 false positive의 비율이 높게 검출되었지만 폐영역 CT 검사의 컴퓨터지원진단시스템(computer aided diagnosis)의 향후 연구과제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omaly Traffic Analysis System using Data Mining

  • Lee, Se-Yul;Cho, Sang-Yeop;Kim, Y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316-321
    • /
    • 2008
  • Advanced computer network technology enables computers to be connected in an open network environment. Despite the growing numbers of security threats to networks, most intrusion detection identifies security attacks mainly by detecting misuse using a set of rules based on past hacking patterns. This pattern matching has a high rate of false positives and can not detect new hacking patterns, which makes it vulnerable to previously unidentified attack patterns and variations in attack and increases false negatives. Intrusion detection and analysis technologies are thus requir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ymmetric costs of false errors to enhance the performances the detection systems.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network model to consider the cost ratio of false errors. By comparing false positive errors with false negative errors, this scheme achieved better performance on the view point of both security and system performance objectives.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experiment show that the network model provides high accuracy in detection. In ad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ffectiveness of anomaly traffic detection is enhanced by considering the costs of false errors.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differential diagnosis of lung lesion: Preliminary results

  • Lee, Hae-Jun;Lee, Yu-Kyung;Hwang, Kyung-Hoon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4-1615
    • /
    • 2011
  •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lly diagnose between lung cancer and benign inflammatory lung lesion due to high false positive rate on F-18 FDG-PET. We investigated whether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this diagnosis may be helpful.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F-18 FDG PET images of 12 patients, selecting clinical and PET variables such as SUV. For selected variables and confirm, multilayer neural perceptron was applied in crossvalidation method and compared to visual interpretation. Neural network correctly classified the lung lesions in 83%, and reduced greately the false positive rate. However, false negative rate was not influenced.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lung cancer and benigh inflammatory lesion may be helpful. Further studies with more patients are warranted.

Bivariate ROC Curve and Optimal Classification Function

  • Hong, C.S.;Jeong, J.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4호
    • /
    • pp.629-638
    • /
    • 2012
  • We propose some methods to obtain optimal thresholds and classification functions by using various cutoff criterion based on the bivariate ROC curve that represents bivariate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s. The false positive rate and false negative rate are calculated with these classification functions for bivariate normal distrib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