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 Positive data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9초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 Consumption in Screening for Adul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Risky Drinking In Japan

  • Osaki, Yoneatsu;Ino, Aro;Matsushita, Sachio;Higuchi, Susumu;Kondo, Yoko;Kinjo, Ay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571-6574
    • /
    • 2014
  • Background: Alcohol is well established as a risk factor for cancer development in many organ sites.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 Consumption (AUDIT-C) for detecting alcohol use disorders or risky drinking in Japanese adul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Materials and Methods: A test-retest method was applied with a 2-week interval with 113 health care employees. The k coefficient, Cronbach's coefficient alpha,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ere determined and the validity of the AUDIT-C was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a nationwide survey on adult alcohol use conducted in 2008 (n=4,123). Results: The reliability of the AUDIT-C score was high (${\kappa}$ coefficient=0.63, Cronbach's alpha=0.98, correlation coefficient=0.95, and ICC=0.95). According to the likelihood ratio and Youden index, appropriate cutoffs for the AUDIT-C were ${\geq}5points$ in men and ${\geq}4$ points in wome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se cutoffs for identifying ${\geq}8$ points on the AUDIT were 0.88 and 0.80, respectively, for men (positive likelihood ratio [LR+]=4.5) and 0.96 and 0.87, respectively, for women (LR+=7.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utoffs for identifying ${\geq}12$ points on the AUDIT were 0.90 and 0.84, respectively, for men (LR+=5.8) and 0.93 and 0.94, respectively, for women (LR+=15.8).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utoffs for identifying ${\geq}16$ points on the AUDIT were 0.93 and 0.80, respectively, for men (LR+=4.7) and 0.92 and 0.98, respectively, for women (LR+=55.6). With higher scores on the AUDIT, the specificity decreased and false-positives increased. The appropriate cutoffs for identifying risky drinking were the same for both genders. Conclusion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UDIT-C are high, indicating that it is useful for identifying alcohol use disorders or risky drinking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n Japan, a group at high risk of cancer development.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for Breast Cancer in the Republic of Korea: Is it Cost-Effective?

  • Kang, Moon Hae;Park, Eun-Cheol;Choi, Kui Son;Suh, MiNa;Jun, Jae Kwan;Cho, E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059-2065
    • /
    • 2013
  • This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NCSP) for breast cancer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a government expenditure perspective. In 2002-2003 (baseline), a total of 8,724,860 women aged 40 years or over were invited to attend breast cancer screening by the NCSP. Those who attended were identified using the NCSP database, an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omen who attended screening at baseline (screened group) and those who did not (non-screened group). Breast cancer diagnosis in both groups at baseline, and during 5-year follow-up was identified using the Korean Central Cancer Registry. The effectiveness of the NCSP for breast cancer was estimated by comparing 5-year survival and life years saved (LYS) between the screened and the unscreened groups, measured using mortality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al Office. Direct screening costs, indirect screening costs, and productivity costs were considered in different combinations in the model. When all three of these costs were considered together, the incremental cost to save one life year of a breast cancer patient was 42,305,000 Korean Won (KW) (1 USD=1,088 KW) for the screened group compared to the non-screened group. In sensitivity analyses, reducing the false-positive rate of the screening program by half was the most cost-effective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 ICER=30,110,852 KW/LYS) strategy. When the upper age limit for screening was set at 70 years, it became more cost-effective (ICER=39,641,823 KW/LYS) than when no upper age limit was set. The NCSP for breast cancer in Korea seems to be accepted as cost-effective as ICER estimates were around the Gross Domestic Product. However, cost-effectiveness could be further improved 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breast cancer screening and by setting appropriate age limits.

담도폐쇄증 의심하에 수술을 위해 전원된 환자의 임상 경과 분석 (Clinical Course of Transferred Patients for Operation Under the Impression of Biliary Atresia)

  • 정풍만;이종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7권2호
    • /
    • pp.95-104
    • /
    • 2001
  • Biliary atresia (BA)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neonatal hepatitis (NH) and its prognosis depends on the age at the time of Kasai operation. Therefore early differentiation between these two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Although various clinical and laboratory tests have been reporte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 they are still of limited value. From 1980 to 1999, forty-five infants were referred to our pediatric surgical unit for operation for suspected BA. Eight patients underwent Kasai operation immediately because of late diagnosis. These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clinical history, physical findings. radiologic and laboratory examinations of 37 cas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average age of BA (n=20) was $55.1{\pm}16.7$ days, and that of NH (n=17) was $55.8{\pm}15.6$ days. The sex ratio of BA was 13:7, and that of NH was 14:3. All the patients had obstructive jaundice and acholic stool except 4 BA and 6 NH patients. Acholic stool with yellow component was more frequent in NH. Onset of jaundice was within 2 weeks after birth in 85 % of BA, and in 65% of NH. The onset of acholic stool was within 2 weeks after birth in 60 % of BA, and in 23.5 % of NH. The duration of jaundice and acholic stool of BA were $50.9{\pm}16.6$ days and $41.3{\pm}18.4$ days and those of NH were $40.1{\pm}23.1$ days and $26.6{\pm}25.4$ days respectively. The ultrasonogram and hepatobiliary scan were useful, but not a definitively reliable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two diseas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boratory data. Seventeen cases had NH among 45 referred cases for Kasai operation with the clinical impression of BA, and 4 cases of 17 NH cases needed to be explored to rule out BA. In conclusion. false positive rate of clinical impression of BA was 37.8 %. and negative exploration rate was 8.9 %, Therefore. careful clinical observation for 1-2 weeks by an experienced pediatric surgeon was very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operation to rule out NH up to the age of 8 - 10 weeks. so long as the stool had yellow component.

  • PDF

어류 중 4계열 잔류 항생물질 검출을 위한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개발 (A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for Detecting Residues of Four Groups of Antibiotics in Farmed Fish)

  • 조미라;손광태;권지영;목종수;박홍제;김현용;김경동;김지회;이태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8-167
    • /
    • 2015
  • A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based on antigen-antibody interactions was developed to detect residues of beta-lactams, quinolones, tetracyclines, and sulfonamides in farmed fish. Group-specific antibodies showing cross-reactivity with other antibiotics in the same group were produced in rabbits. The rabbits were immunized eight times to obtain the maximum titers. Antibodies were extracted from the antisera collected from the immunized rabbits and produced group-specific reactions with antibiotics from the four groups. A kit was prepared that optimize conditions for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using colloidal gold conjugated antibodies, and was designed to detect the four groups of antibiotics simultaneously. The kit enabled the detection of antibiotics in the four groups at below maximum residue limits (MRLs), which were $200{\mu}g/kg$ for tetracyclines, $100{\mu}g/kg$ for sulfonamides, $50{\mu}g/kg$ for beta-lactams, and $100{\mu}g/kg$ for quinolones. The cross-reactivity of the antibodies ranged from 10-80% for the sulfonamides, 20-100% for tetracyclines, 38-100% for quinolones, and 20-100% for the beta-lactams, confirming that the antibodies were group specific. The test kit was used 30 times to examine spiked antibiotics at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and all produced positive results, indicating high sensitivity. The LODs for the assay ranged from 4-20 ng/mL for beta-lactams, 25-50 ng/mL for sulfonamides, 20-100 ng/mL for tetracyclines, and 30-80 ng/mL for quinolones, and there were no false negative reactions at above these LODs. In addition, all of the LODs of the developed kit were correlated wit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data. Our lateral flow immunoassay kit can simultaneously detect antibiotic residues from a large number of fish samples rapidly, strengthening the safety of domestic farmed and imported fish.

자궁내막암의 치료 후 루틴 추적검사 방법으로서 FDG-PET/CT의 유용성 (Usefulness of FDG-PET/CT as a Diagnostic Tool for Routine Post Therapy Evaluation in Endometrial Cancer)

  • 이신재;전태주;김승조;김희진;안희정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4호
    • /
    • pp.301-308
    • /
    • 2009
  • 목적: 자궁내막암의 치료 후 루틴 추적관찰로써의 FDG-PET/E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궁내막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 중 2004년 1월 1일부터 2008년 1월 31일 사이에 FDG-PET/CT를 시행한 101명의 환자(25-79세, 평균 50.6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종양표지 자와 다른 영상의학적 검사(CT, MR)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하였다. FDG-PET/CT상 국소 FDG 섭취를 보인 병변을 benign, equivocal, malignant로 분류하였고, equivocal과 maliganat 병변에 대하여 조직학적 혹은 임상적으로 재발유무를 판정하였다. 결과: FDG-PET/CT상 강한 섭취를 보인 경우는 19명의 30개의 병변이었다. Malignant 섭취를 보인 환자는 14명이었고, 이중 11예가 재발로 확인되었다. Equivocal 병변을 보인 환자는 5명 이었고, 이중 1예가 재발로 확인되었다. 위음성을 보인 경우는 2예가 있었고, 모두 복강내 암종증 환자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자궁내막암의 치료 후 재발의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는 예민도 86 %,특이도 92 %, 양성 예측도 63 %, 음성예측도 98 %, 그리고 정확도는 91 %였다. 결론: 자궁내막암의 치료 후 루틴 추적관찰로써 FDG-PET/ET를 시행할 경우 높은 예민도, 특이도로 재발의 진단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높은 음성 예측도로 인하여 FDG-PET/CT상 음성인 경우 불필요한 추가 검사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이주노동자의 일터와 일상생활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s of Workplace and Everyday Life of Immigrant Workers in S. Korea)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9-343
    • /
    • 2009
  • 이 논문은 이주노동자의 일터와 생활공간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겪는 다양한 유형의 (시)공간적 제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에 대해 설문 조사 및 심층 면접 자료에 기초하여 고찰하였다. 이들은 일터에 대해 가시적으로 긍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가식적(허구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즉 이들은 타자의 '영역'으로 만들어진 일터 속에서 장시간 노동과 엄격한 통제 하에서 일하도록 강제되고 있다. 또한 주거, 소비, 여가 등을 위한 생활공간에서도 생존을 위한 기본적 이동성은 어느 정도 확보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층적 제약들로 인해 뿌리내리기 어려운 장소에서 매우 어렵게 살아간다. 일터와 생활공간에서 겪게 되는 제약들을 벗어나기 위하여, 이주노동자들은 주로 본국 출신의 이주자들과 국지적 및 탈지역적 네트워크, 그리고 본국 가족 및 친지들과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주어진 제약들에 대응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시공간적 제약들을 벗어나도록 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특히 이러한 한계는 이주노동자들에게 포괄적 의미의 지리적 지식(장소감과 지리적 상상력 포함)의 부족으로 심화된다. 이들은 결국 본국과 한국에 대한 혼종적 국가정체성뿐만 아니라 새롭고 낯선 삶의 현장에서 교란된 지역정체성으로 살아간다.

  • PDF

GC-MS/MS를 이용한 잔류농약 신속검사법 개발 (Development of Rapid Analysis Method for Pesticide Residues by GC-MS/MS)

  • 최용훈;남혜선;홍혜미;이진하;채갑용;이종옥;김희연;윤상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92-302
    • /
    • 2005
  • 206종의 농약성분을 신속하게 분석하기 위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이용방법을 최적화 하였다. Wide-bore 컬럼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캐필러리 컬럼을 이용할 때에 비해 분리능을 비슷하게 유지하면서도 분석시간이 1/2이상 단축되고, 감도는 더욱 개선되었다. 시료의 성분이 복잡하고 분석대상 농약이 많은 경우에도, EI와 CI 스크리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방해물질에 의한 허위정보(False Positive)를 상쇄할 수 있었다. 허위정보에 대한 위험이 적어지면서 시험용액의 정제를 간소화 할 수 있어 전체적인 분석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었다. 또한 검출이 예상되는 성분에 대해서만 확인실험을 함으로써 검사시간을 절약하고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자기주식매입의 유상증자에 대한 신호효과 (The Signaling Effect of Stock Repurchase on Equity Offerings in Korea)

  • 박영규
    • 재무관리연구
    • /
    • 제25권1호
    • /
    • pp.51-84
    • /
    • 2008
  • 자기주식매입 공시 후 1년 이내에 유상증자를 실시한 표본을 이용하여 자기주식의 유상증자에 대한 신호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주식직접매입은 유상증자의 신주발행가격을 부양시키는 반면, 자기주식펀드 및 신탁은 신주발행가격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지 못함을 발견했다. 또한 자기주식매입이 유상증자 시 신주발행가격을 올리기 위한 거짓신호로 사용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표본집단들과 대응집단의 장기성과를 비교하였다. 자기주식매입이 선행된 표본들은 유상증자에 비해 장기저성과정도가 심하지 않았으며, 자기주식 펀드 및 신탁이 선행된 유상증자기업의 장기성과 또한 대응집단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다는 실증결과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자기주식매입이 신주발행가격의 시세조정을 위해 불공정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기존의 주장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PDF

비대칭 오류비용을 고려한 분류기준값 최적화와 SVM에 기반한 지능형 침입탐지모형 (An Intelligent Intrusion Detection Model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and the Classification Threshold Optimization for Considering the Asymmetric Error Cost)

  • 이현욱;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7-173
    • /
    • 2011
  • 최근 인터넷 사용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악의적인 해킹과 침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각종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기관, 관공서, 기업 등에서는 이러한 해킹 및 침입에 의해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인가되지 않았거나 비정상적인 활동들을 탐지, 식별하여 적절하게 대응하는 침입탐지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침입탐지 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 역시 침입탐지 시스템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지능형 침입탐지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제안모형은 비교적 높은 예측력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일반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기반으로, 비대칭 오류비용을 고려한 분류기준값 최적화를 함께 반영하여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안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인공신경망과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하는 SVM 모형이 다른 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용효율적 지능형 침입탐지시스템 구현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통합 모형 (An Integrated Model based on Genetic Algorithms for Implementing Cost-Effective Intellig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s)

  • 이현욱;김지훈;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5-141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침입탐지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의 침입탐지모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새로운 통합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제안모형은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이분류 모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T, Logistic Regression), 의사결정나무(DT, Decision Tree), 인공신경망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그리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의 예측결과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해 최종 예측결과를 산출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 최적 가중치의 탐색을 위한 방법으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오탐지율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모형을 산출한 뒤, 이어 비대칭 오류비용 개념을 반영해 오탐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임계치를 탐색, 최종적으로 가장 비용 효율적인 침입탐지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한 공공기관의 보안센서로부터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통합모형이 인공신경망이나 SVM만으로 구성된 단일모형에 비해 학습용과 검증용 데이터셋 모두에서 더 우수한 탐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대칭 오류비용을 고려한 전체 비용의 관점에서도 단일모형으로 된 비교모형에 비해 본 연구의 제안모형이 더 낮은 비용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실증적으로 그 효과가 검증된 본 연구의 제안 모형은 앞으로 보다 지능화된 침입탐지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