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gopyrum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엽의 ATP함량에 미치는 중금속(Al, Cd, Hg 및 Pb)의 영향 (Effects of Some Heavy Metals(Al, Cd, Hg, and Pb) on ATP Content in Plant Leaves)

  • 성민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2권4호
    • /
    • pp.107-113
    • /
    • 1979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comparative effects of hydroponic heavy metals (Al, Cd, Hg, and Pb) on ATP content in plant leaves grown with Hoagland solution under green house condition. The two plants, kidneybean(Phaseolus vulgaris L.) and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 nch),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 of heavy metals on ATP content in order of Hg, Cd, Pb, and Al. But the overall inhibitory effect was greater in kidneybean than in buckwheat. The affinity of heavy metals, in vitro, toward the enzyme (luciferin-luciferase) is in order of Hg, Al, Cd, and Pb, similar to that toward AT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heavy metals on ATP hydrolysis is mainly due to the coordination of heavy metals with enzyme than ATP.

  • PDF

인공 산성비가 중요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Important Crops)

  • 허흥욱;허만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132
    • /
    • 1998
  •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simulated acrid rain on growth of the seven crops(caucus carota vu sativa DC. , Fagopyrum esculenkm Moench, Brassica cmpesp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Makino , Raphuus satlws vu. hortensis for. acnMormis Makino, Brassica dbogjabra Bailey, Caphslcum mum L., and Perilla frutescens Britton). The pH levels of simulated acid rain ranged pH 3.1, 3.6, 4.1, 4.6, 5.1 and 5.6. The germination 10 each crop was influenced from stimulated acrid rain except buckwheat and kale. A general decrease of growth in crops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pH concentrations. The pattern of soluble protein was observed a tendency to decrease from acidic pH eradlents. According to acidity, total DNA contents of each crop was showed a definite reduction. In conclusion, plant growth was stimulated decreasln and the chanties of total Protein Patterns and BNA contents extracted from leaves trended with stimulated acrid rain was showed seriously.

  • PDF

메밀 발아 중 $\alpha$-Amylase 활성도와 유리당 함량의 변화 (Changes in $\alpha$-Amylase Activity and Free Sugar Content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 이명헌;손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2-36
    • /
    • 1995
  • Changes in the w-amylase activity and free sugar contents were Investigated during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ermination at 1$0^{\circ}C$ for 7 days. The a-amylase activity in ungerminated seeds was 1.66 U. It increased for the 1st day of germination, but then decreased until 3rd day, and thereafter Increased. The free sugar contents In ungerminated seeds were as follows. The maltose, fructose, glucose and rhamnose were 1.81mg%, 0.42mg%, 7.71mg%, 6.80mg% on dry weight basis, respectively. The maltose and fructose contents de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germination, but then gradually increased. The glucose contents decreased for the 3rd day, but sharply Increased afterwords. The rhamnose contents decreased until 1 day, and the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or the 6 days.

  • PDF

메밀 발아 중 물리화학적 특성과 무기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 이명헌;손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7-273
    • /
    • 1994
  • To provide the effective application scheme and basic information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buckwheat was germinated at 10$^{\circ}C$ for 7 days and 100 kernels weight, germination rate, root length,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were examined at 24 hour Intervals. During the germination period, the 100 kernels weight increased approximately 0.3g per day. The germination rate increased sharply after 2 days and the root length increased greatly after 4 days. The crude protein contents increased with germination time, whereas the carbohydrate contents decreased. The crude ash and fat cont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ring the germination period. The Ca contents Increased for the 4th day of gemination, but gradually decreased afterwords. The Na contents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germination, but then gradually de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g, K. Fe. Mn and Zn contents.

  • PD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utin and Its Metabolites

  • Kim, Ji Hye;Park, Sang Hee;Beak, Eun Ji;Han, Chang Hee;Kang, Nam Jo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165-169
    • /
    • 2013
  • Rutin is one of the major flavonoids found i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While rutin is already known to exhibi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However, the health beneficial function of rutin metabolites is not well understood. In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ha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rutin, homovanillic acid, and 3-hydroxyphenyl acetic acid. Further, 3,4-dihydroxyphenylacetic acid strongly reduced LPS-induced IL-6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compared with other metabolit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tin metabolites have potential to be utilized as food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PDF

울산 태화강 하류 태화동 홀로세 중·후기 식생환경 변화 (The Change of Vegetation Environment since middle-late Holocene in the lower reaches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Korea)

  • 김혜령;윤순옥;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pollen compositions in archaeological site on alluvial plain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change during 6,200~3,000 yr BP. The results consist upward of Pollen Zone I (Inner Bay environment), Pollen Zone II (Quercus-Alnus stage) and Pollen Zone III (Alnus stage). The pollen grains of Fagopyrum and reddish gray silty horizon including artifacts of the Bronze Age suggest that there was cultivation on dry-field around the study site, although it is not sure that there was paddy-field cultivation.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 박병재;권순미;박종인;장광진;박철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75-180
    • /
    • 2005
  • 본 연구는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분석, 평가한으로써 생리활성 연구의 기초 자료와 건강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총 페놀의 함량은 타타리메밀 종자가 단메밀 종자보다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중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단메밀이 약 $50\%$, 타타리메밀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쌀이 메밀껍질보다 높았으나, 단메밀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밀껍질 더 높았다. 3. 단메밀의 rutin함량은 메밀껍질(25.2 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9.8 mg/100 g)>메밀쌀(12.8 mg/100 g)의 순으로 높았으나, 타타리메밀은 메밀쌀(2042.1mg/100g)>껍질을 벗기지 않은 종자(1375.8 mg/100g)>메밀껍질(138.7 mg/100 g)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체 부위별 rutin의 함량은 단메밀이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이고, 타타리메밀은 잎enli메밀싹>종자>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타타리메밀이 단메밀보다 높은 rutin함량을 나타냈다. 4. 단메밀과 타타리메밀 종자의 flavanols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 줄기, 싹나물부위의 함량은 타타리메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두 종의 flavonols의 함량도 단메밀보다 타타리메밀에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식물체 부위별 flavanols의 함량은 단메밀과 타타리메밀의 메밀싹>잎>줄기>종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 부위에서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gallate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메밀싹은 두 종 모두 Epicatechingallate의 함량이 종자의 약 $30\~40$배, 잎, 줄기보다 약 $15\~20$배가량 높았다.

메밀 종자의 항트롬빈 활성과 혈전증 예방효과 (Antithrombin and Thrombosis Prevention Activity of Buckwheat Seed, Fagopyrum esculentum Moench)

  • 손호용;권정숙;손건호;권기석;류희영;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2-138
    • /
    • 2006
  • 혈전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트롬빈 직접 저해제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이 확보된 식용 및 약용식물로부터 트롬빈 직접저해제를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메밀 종자의 메탄올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에서 강력한 트롬빈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 결과 부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정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의 경우 $312.5{\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2,000\%$이상의 트롬빈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아스피린보다 매우 효율적으로 혈전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활성성분은 30 KD 이상의 고분자 비단백질 성분임을 확인하였으며, 산 및 열처리에 의해 급격한 활성 감소가 나타나, 활성 물질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메밀 종자의 비열, 비산 처리공정이 필요하리라 추측되었다. 또한 활성 분획물은 ICR 마우스를 이용한 폐색전 실험, 전뇌 허혈성 실험 및 치사유발실험에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혈전성 마비 억제, 혼수방지 및 치사억제 활성을 보여, 혈행 개선제 및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식물 혼합(고들빼기, 돌미나리, 메밀, 톳, 생강) 추출물이 마우스 면역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lant Water Extract Mixture(Ixeris sonchifolia Hance, Oenanthe javanica, Fagopyrum esculentum Moench, Hizikia fusiforme, Zingiber officinale Roscoe)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 김정희;김현숙;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4-78
    • /
    • 2007
  • In vitro를 통한 혼합시료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였고,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 및 활성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IL-1 ${\beta}$, IL-6, TNF-${\alpha}$)의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시료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5${\sim}$250 ${\mu}$g/ml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 추출물인 경우 고농도인 1,000 ${\mu}$g/ml에서,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는 500${\sim}$1,000 ${\mu}$g/ml 이상의 고농도 첨가시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혼합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분비량을 보였다. IL-1${\beta}$ 생성량 검색 결과, 물 추출물 투여군 10 ${\mu}$g/ml 농도 첨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은 분비능을 보여주었고, 에탄올 추출물을 10 ${\mu}$g/ml와 100 ${\mu}$g/ml 첨가시에도 대조군보다 높은 분비량을 보였다. IL-6의 결과에서도, 물 추출물 10 ${\mu}$g/ml을 첨가했을 때 유의적(p<0.05)으로 높은 분비량을 보였고, TNF-${\alpha}$의 경우, 물 추출물의 10 ${\mu}$g/ml와 100 ${\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TNF-${\alpha}$ 분비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혼합 물 추출물이 비장세포 증식능과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상승시킴으로서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메밀 유전자원 특성평가 및 재배시기별 생육특성 비교 (Characterization of Agronomic Traits and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y Different Cultivation Seasons in Buckwheat Germplasm)

  • 현도윤;;최유미;이수경;이명철;오세종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2-42
    • /
    • 2018
  • 메밀은 마디풀과(polygonaceae)의 메밀속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야생종을 포함하여 20여 종이 확인되고 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메밀 재배종은 보통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과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Gaertn., 타타리메밀) 등 두 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보통메밀이 주로 재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중인 보통메밀 341점과 쓴메밀 38점을 봄, 여름에 파종하여 특성조사를 수행하고 재배시기별 생육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봄, 여름 파종은 각각 2017년 4월 14일과 8월 17일에 전주 소재 농업유전자원센터 포장에 하였으며 줄기색, 엽색, 엽형, 개화기, 성숙기, 꽃색, 종피색, 종자모양, 주경절수, 총분지수, 백립중 등 11개 농업형질을 조사하였다. 봄 파종시 개화기는 대부분 5월 25일 전후였으며 성숙기는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 분포하였고 여름 파종시는 9월 15일 전후 개화하여 10월 말에 성숙하였다. 줄기색은 홍색의 비율이 높았고 엽색은 연녹색과 녹색이 대부분이었으며 엽형은 화살촉형이 90% 이상이었다. 꽃색은 흰색이 대부분이었지만 연녹색 자원도 40점 조사되었으며 종피색은 연갈색이 70%를 차지하였다. 종자 생산과 관련된 주경절수와 총분지수는 봄 파종과 여름 파종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봄 재배시 영양생장이 왕성하여 가을 재배보다 많은 주경절수와 총분지수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백립중에서는 여름 파종이 봄 파종보다 무거운 경향을 나타내어 주경절수, 총분지수와 백립중 간 부의 상관관계를 추론할 수 있었다. 일반메밀 유전자원을 국내 수집지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주경절수와 총분지수는 봄, 여름 파종 모두에서 전남 수집자원이 가장 많았으며, 강원, 경남, 경북, 전북, 충북 수집자원과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강원, 충북 수집자원은 제일 낮은 주경절수와 총분지수를 보였으나 백립중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