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maintenance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청사의 운영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별 영향력 분석 (Analysis of Factors and it's Effectiveness to Maintenance Cost of Public Buildings)

  • 고규진;조상욱;황정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9-37
    • /
    • 2015
  • 공동주택은 장기수선충당금제도 등에 따라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수행되고 있는 반면, 공공청사는 과거 유지관리비 실적자료 부족과 비효율적인 예산산정 등의 문제로 인해 유지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운영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공청사의 전기, 가스, 수도요금에 대한 경과년수, 연면적, 직원 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기요금은 직원 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가스, 수도요금은 연면적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검증하였으며, 회귀 방정식을 통해 운영비용의 추정모형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 시설물 장애감소 전략과 효과 분석- 서울도시철도공사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Failure Reduction Strategies of the Railway Facilities)

  • 윤성찬;박종헌;김성춘;음성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08-616
    • /
    • 2010
  • 서울지하철 5,6,7,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연장 152km, 148개 역사에 분산되어 있는 시설물에 대하여 점검과 유지보수를 하고 있다. 장애예방을 위한 철저한 점검에도 불구하고 지하역사의 환경적인 요인, 빈번한 사용으로 인한 기계적인 마모, 시설물 노후화, 시스템 에러, 이용 상의 부주의 등으로 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는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수행해 오던 시설물 점검방법과 유지보수의 틀을 깨고 정량적인 목표관리와 일하는 방식 변화 등을 통해 2010년 6월말까지 장애를 연간 53.4%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도시철도 시설물 점검 및 유지보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추진했던 장애감소 전략과 각각의 추진성과를 분석한다.

현장 그라운드 앵커 장기거동 분석을 통한 잔존긴장력 평가 (Evaluation of Residual Tensile Load of Field Ground Anchors Based on Long-Term Measurement)

  • 박성열;이상래;정종홍;조완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8호
    • /
    • pp.35-47
    • /
    • 2020
  • 비탈면 보강 용도로 사용되는 영구앵커의 경우 사용기간 동안 지지력 및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앵커의 장기거동에 따라 긴장재 파단, 정착구 파손, 비탈면 변형 및 손상, 시간에 따른 잔존긴장력 감소 등의 현상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 시설물 붕괴 사고 등의 문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라운드 앵커의 유지관리 절차 및 방법을 현실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국내 유지관리 기법의 문제점 및 한계를 제시하였다. 이후 실제 현장 그라운드 앵커에 설치되어 있는 하중계 계측자료를 분석하여 앵커들의 경과일에 따른 잔존긴장력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최종 분석 결과를 통해 앵커의 시공조건, 구성암반 등이 긴장력의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토목공사 생애주기 BIM 모델의 신뢰성 확보 방안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Verify Reliability of Life Cycle BIM Model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 이재희;문현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6-124
    • /
    • 2021
  • 건설공사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 BIM 모델의 활용성이 증대되면서 유지관리단계의 BIM 활용성 증대도 예상되고 있다. 유지관리단계에는 이미 작업이 완료된 설계 및 시공단계에 생성된 BIM 객체들을 사용하게 되므로, 활용하는 BIM 객체가 설계단계에 제작된 인증 모델인지 신뢰도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 철도시설물과 같이 토목, 건축, 전기, 신호, 궤도 등 다양한 공정과 기관으로 구성된 BIM 활용 프로젝트에서는 BIM 모델의 신뢰도가 더욱 중요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관리단계에서 사용하는 BIM 모델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BIM에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블록의 구조와 상세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실제 시설물의 BIM 모델에 적용하여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이 BIM 모델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선된 교량 기초세굴 점검방법 및 3D 하상지도 구축 연구 (A Study on Improved Inspection Method of the Foundation Scouring and Establishment of 3D Underwater Surface Map)

  • 최현철;고준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61-170
    • /
    • 2022
  • 하천에 설치된 교량의 유지관리는 시설물 안전점검과 그 결과에 따른 보수·보강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 그 동안 교량 상부구조의 안전점검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하천에 설치된 교각 기초부의 세굴여부에 대하여는 직접조사가 곤란하여 이론에 근거한 관리에 머물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에 설치된 교량 기초의 세굴을 음향측심기 및 VRS 등을 활용하여 하상 지반고의 형상을 3D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로써 교량 설치 당시의 하상 지반고와 비교·분석 등을 통해 세굴양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당 교각 기초의 국부세굴 여부 파악 및 장기하상저하 예측을 위한 초기치 자료로 활용한다면 기초세굴로 인한 교량붕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식장 펌프 모터 전류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반 이상 감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anomaly detection algorithm using current data of fish-farm pump motor)

  • 박세용;장태욱;임태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7-45
    • /
    • 2023
  •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설비보전 기술들이 관심을 받으며 고도화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에 이어 스마트팜, 스마트 양식장에도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경우는 수조의 안정적인 수질 환경을 위해 물을 순환하는 펌프 모터가 존재한다. 순환여과식 양식장 펌프 모터 보전 활동은 예방 정비와 진동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예방정비는 사전계획 이전에 일어나는 이상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으며 진동센서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소음, 온도, 진동센서에 비해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전류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펌프 모터 이상 감지에 있어 Python 오픈소스인 ADTK를 활용하는 이상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ssessment of Occupational Health Risks for Maintenance Work in Fabrication Facilities: Brief Review and Recommendations

  • Dong-Uk Park;Kyung Ehi Zoh;Eun Kyo Jeong;Dong-Hee Koh;Kyong-Hui Lee;Naroo Lee;Kwonchul H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1호
    • /
    • pp.87-95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assessing occupational risk for the health hazards encountered during maintenance works (MW)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FAB) facilities.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1) identifying the primary health hazards during MW in semiconductor FAB facilities; 2) reviewing the methods used in evaluating the likelihood and severity of health hazards through occupational health risk assessment (OHRA); and 3) suggesting variables for the categorization of likelihood of exposures to health hazards and the severity of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MW in FAB facilitie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on OHRA methodology and health hazards resulting from MW in FAB facilities. Based on this review, approaches for categorizing the exposure to health hazards and the severity of health effects related to MW were recommended. Results: Maintenance workers in FAB facilities face exposure to hazards such as debris, machinery entanglement, and airborne particles laden with various chemical components. The level of engineering and administrative control measures is suggested to assess the likelihood of simultaneous chemical and dust exposure. Qualitative key factors for mixed exposure estimation during MW include the presence of safe operational protocols, the use of air-jet machines, the presence and effectiveness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chamber post-purge and cooling, and proper respirator use. Using the risk (R) and hazard (H) codes of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alongside carcinogenic, mutagenic, or reprotoxic classifications aid in categorizing health effect severity for OHRA. Conclu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pply our proposed variables in OHRA for MW in FAB facilities and subsequently validate the findings.

COBie 기반 철도 선로유지관리 문서 생성 (COBie Based Maintenance Document Generation of Railway Track)

  • 서경완;권태호;이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07-312
    • /
    • 2017
  • 본 연구는 철도 시설의 선로를 대상으로 하여,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을 위한 데이터 모델인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의 유지관리관점의 부분집합인 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COBie)를 통해 철도 시설물 유지관리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철도 선로유지관리 문서 생성에 필요한 항목을 정의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선로유지관리지침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COBie 스프레드시트에서 참조하기 위한 방식을 정의하였다. 철도 시설물 선로의 유지관리정보 항목을 반영한 정보모델 생성을 위하여 IFC 프레임워크 내의 사용자 정의 속성집합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IFC에서 지원하지 않는 철도 선로에 대한 추가 항목을 생성하였다. BIM 소프트웨어를 통해 추가적으로 생성한 사용자 정의 속성집합을 반영한 IFC 기반의 정보모델을 생성하였고, 이를 정의된 참조방식에 따라 선로 유지관리 정보항목을 COBie 스프레드시트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IFC 기반의 As-built 모델로부터 COBie 스프레드시트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업무를 위해 필요한 문서 생성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리스크매트릭스를 활용한 중소규모 교량의 유지관리 시나리오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Maintenance Scenario Method for Small and Medium-sized Bridges Using Risk Matrix)

  • 박현찬;신병길;조중연;김영민;장범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61-168
    • /
    • 2021
  • 본 논문은 3종 및 법정 외 교량인 중소규모 교량에 대한 유지관리 체계를 수립하여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교량은 1, 2종 교량과 3종 및 법정 외 교량으로 구분된다. 3종 및 법정외 교량의 개소수는 많으나 1, 2종 교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소규모 교량에 대한 유지관리 시나리오 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하지만 중소규모 교량의 경우 그 개소수가 많아 1, 2종 교량과 같이 모든 교량에 대해 성능평가를 실시하는데 인력과 예산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리스크 매트릭스 기법을 기반으로 교량의 기본적인 현황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성능평가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할 교량을 선정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기법에 대하여 실제 공용중인 교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저수지 생애주기 유지관리를 위한 성능저하예측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for Life Cycle Maintenance of Reservoir)

  • 이후석;김란하;조중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68-574
    • /
    • 2021
  • 2020년부터 시행된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기본법」에 의해 저수지는 체계적인 유지관리와 성능개선 등의 선제적인 관리로 노후화에 따른 생애주기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해야 한다. 생애주기를 고려한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공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성능저하에 의해 수명이 종료되는 시점을 생애 주기적인 관점에서 도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 저수지의 성능저하예측 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를 주요 복합시설인 제체, 여수로, 취수시설로 구분하고, 생애주기 유지관리를 위한 성능저하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농어촌공사의 농업기반시설 시스템(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이 관리 중인 유지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모델 개발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선별하고 추세분석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통해 저수지가 현행의 유지관리 체계에서 예상되는 기대수명과 미조치시 예상되는 기대수명을 예측하였으며, 현행 유지관리체계에서의 기대수명은 미조시치 기대수명보다 약 네 배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제안된 모델을 활용하여 향후 저수지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운영관리와 유지보수의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