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cultivatio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18초

작물 시설재배 초기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Initial Decision-Making Support Interface for Crop Facility Cultivation)

  • 김국종;조용윤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1-78
    • /
    • 2022
  • 최근 귀농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노지재배 보다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시설재배를 선호하는 경향이지만 부족한 영농경험과 경영정보 부재로 농업 실패 확률이 높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설재배를 원하는 귀농인의 초기 시설재배 경영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표준화 모델링 언어인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로 설계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재배지역, 선택작목, 재배형태 등의 정보에 따라 토지/작물 적합성, 토지/시설비용 및 경영비 등의 주요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설재배 희망 귀농인은 원하는 대상지에서의 시설재배를 위한 초기 의사결정 정보 획득을 통해 효과적이고 빠르며 체계적인 작물 시설재배 설계가 가능하다.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표고 원목재배사 모델개발 (Development of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Bed-logs)

  • 김원수;김선철;이병석;권혁우;고한규;박흥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9-126
    • /
    • 2016
  • 표고버섯 원목재배시 고온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임가실증지 5개소를 선정하였고, 기존 1중(비닐+차광)재배사의 내부 지붕에 2중으로 차광망을 추가 설치(개선형)하였다. 기존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 형태에 따른 내부 온습도, 균사 만연도 및 버섯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시설 내부 최고온도는 개선형 재배사가 기존 1중 재배사 보다 평균 약 $3{\sim}5^{\circ}C$정도 낮았으나, 평균습도는 그와 달리 기존 1중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기존형과 개선형 재배사 모두 임내 재배장보다 평균습도가 10% 정도 낮아 건조한 불량환경이 유지되어 버섯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버섯목 표면, 내부의 균사 만연도를 비교한 결과 개선형 재배사가 가장 우수하였고, 임내재배사, 기존 1중 재배사가 순으로 저조하였다. 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 1중 재배사에 비하여 117~204% 증수 효과가 있었으며, 재배사 동고 높이가 낮을수록 개선효과는 극대화 되었다. 따라서 시험결과를 토대로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원목재배사 모델 5종을 제시하였다.

시설 재배 농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비상 알림 스마트팜 서비스 모델 설계 (Design of Emergency Notification Smart Farm Service Model based on Data Service for Facility Cultivation Farms Management)

  • 방찬우;이병권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1-6
    • /
    • 2022
  • 2015년부터 정부에서는 한국형 스마트팜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및 현행 재배 연구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대규모 시설 채소 농가에만 보급이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작물 생육 및 재배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IT 기술의 단순 적용으로 도입 비용 대비 효율성과 신뢰성이 낮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 및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이를 시설 재배 농가의 실정에 맞는 데이터 기반의 타깃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농장 위험 정보 알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정 비료 시비를 위한 광환경지도를 제공하며, 시설 농장의 온습도 정보를 활용한 재배 작기별 병해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팜 센서 데이터와의 연계, 활용으로 스마트팜 데이터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며, 데이터 활용에 경제적 효율성 및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영농환경 개선을 위한 인삼재배사 표준화 디자인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Design of Ginseng Cultivating Facility for the Improvement of Farming Environment)

  • 신택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2
    • /
    • 2003
  • 이 논문은 영농환경 개선을 위한 인삼재배사(일명 해가림 시설물) 디자인 표준화를 위한 연구이다. 연구배경의 핵심은 현 WTO 농산물 개방 체제하에서 한국의 세계적 농특산물인 고려인삼의 생산과 품질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고 인삼 종주국으로서 위상에 걸맞는 현대식 인삼재배 시설을 최초로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제안함에 있다. 디자인 개념으로서는, 현재 목재 볏짚 비닐 등 일회성 또는 비표준화된 재료를 사용하므로서 매년 반복 재설치 작업 및 환경오염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 인삼경작사의 노동 및 자원 낭비적 요소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개선 요소로서는 첫째, 양산체제에 의한 형태 및 구조의 표준화. 둘째, 반영구적 재료 표준화를 위한 수지 등 신소재 도입, 위 두 가지 내용을 한국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형상화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결과로서, 인삼재배사의 기준 단위모델을 디자인하여 재배면적의 크기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 PDF

충남지방의 시설채소 재배동향과 앞으로의 방향 (Suggestion for the Future of Protected Vegetable Crops Culture in Chungnam)

  • 이영복;강재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25
    • /
    • 1990
  •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vegetable crop production using vinyl houses continously increases. However, technical support and facility improvement are still insufficent to establish a full produc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environment in facilities for better vegetable culture, several facters should be considered. 1. Facility design and arrange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micro-environments for crop growth and development because direction of facility and covering materials can affect the amount of light trasmitted into vinyl houses. 2. Cultivation of several leading varieties in each crop may not provide stable production and profit especially under undesi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Thus, it is required to grow not only leading varieties but also other cultivars to decrease the economic losses. 3. Crops should be carefully managed when planted in early season not to experience low temperatures which induce growth retards. Early season cultivation requires proper selection of cultivars which are resistant to low temperture. 4. Active control of micro-environment in facilities should be made via improving the ventilation and irrigation systems.

  • PDF

간이 느타리재배사의 구조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a Simple-typed Cultivation Facility for Growing Pleurotus ostreatus)

  • 염성현;윤남규;김철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1-187
    • /
    • 2008
  • 유한요소해석 코드인 ANSYS를 이용, 폭 5.6m간이 느타리재배사를 3차원 강뼈대 구조물로 모델링하여 베드기둥 형태 및 파이프 규격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분석하였으며 허용응력 설계법에 기초해 구조안전 여부를 판단하였다. 전산구조 해석 결과, 베드기둥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은 안전적설심의 경우, 직립형 베드기둥 구조가 다른 베드기둥 형태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나 안전풍속 측면에서는 형태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까래 규격과 베드기둥 설치 간격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은 본 연구에서 고려한 파이프 규격 범위에 있어서 안전풍속 측면의 경우, 베드기둥 설치간격보다 시설 외부적 요소인 서까래 간격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적설심 측면에서는 안전 풍속과는 반대로 서까래 간격보다는 시설 내부적 구조물인 베드기둥 간격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드기둥의 좌굴에 대한 안전성은 해석의 모든 경우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ICT 기반 스마트 재배시스템을 이용한 고온기 표고재배 환경변화 조사 (Research of environmental condition using ICT-based smart cultivation system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

  • 김인엽;권형일;황인호;이원호;노종현;최선규;고한규;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9-85
    • /
    • 2018
  • ICT 기반 스마트 표고재배시설을 활용하여 표고재배의 과정을 후숙관리, 발이관리, 생육관리 및 휴양관리 4과정으로 나누어 6월부터 10월까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여름철 재배사 외부 $20{\sim}35^{\circ}C$의 고온환경에서도 재배사 내부의 환경은 설정한 방향으로 제어되었다. 여름철 대표적인 재배용 품종 '산조701호'와 신품종 '산조717호'를 이용한 재배시험 결과 '산조701호'의 경우 353.7 g/봉, '산조717호'는 270.4 g/봉으로 '산조701호'가 높은 버섯생산성을 나타내었다. ICT 기반으로한 스마트 표고재배시설을 활용한 표고재배는 재배과정별 환경조건 설정으로 재배가 어려운 고온의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재배환경 관리가 가능하였으며, 재배품종에 적합한 환경제어 범위를 연구한다면 버섯생산 안정화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기순환 방법이 느타리버섯 재배사 공기균일도 및 버섯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circulation Ways on Air Uniformity and Mushroom Quality in a Cultivation Facility for Oyster Mushroom)

  • 염성현;박혜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7-137
    • /
    • 2022
  • 느타리 균상 패널재배사에 상향과 하향 등 양방향으로 바람 토출이 가능한 정역 제어 대류팬(시험구)과 상향으로만 바람을 토출하는 관행 유동팬(대조구)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내부환경과 버섯품질을 조사하였다. 재배 주기별 첫 수확 2일 전의 기온과 상대습도 편차를 조사한 결과, 시험구(1주기: 1.0-1.3℃와 7.8-9.0%, 2주기: 0.7-1.1℃와 10.0-11.4%)가 대조구(1주기: 5.8-6.4℃와 21.3-23.1%, 2주기: 3.4-5.7℃와 14.6-18.3%)보다 공기 균일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품질의 경우 재배 주기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배지 세력이 큰 1주기에서는 정역 제어 대류팬을 적용시킨 경우가 관행 유동팬 적용에서보다 버섯품질이 다소 우수하였으나 배지 세력이 다소 약해진 2주기에서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주기에서 공기 균일도가 향상되었음에도 버섯품질이 다소 떨어진 것은 하향으로의 바람이 버섯 생육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균상 재배단 내측과 외측에서의 풍속 계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정역 제어 대류팬의 운영 매뉴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High-Quality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Berk.) Sing.) Production

  • Kwon, Jin-Kyung;Kim, Seung-Hee;Jeon, Jong-Gil;Kang, Youn-Ku;Jang, Kab-Yeo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3권4호
    • /
    • pp.342-351
    • /
    • 2018
  • Purpose: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farms have been cultivating shiitake mushrooms using a sawdust substrate and a cooler/heater.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ing a heat pump for cultivating high-quality shiitake mushrooms. Methods: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consisting of an air-to-water type heat pump, a thermal storage tank, and a radiator in a variable opening chamb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system was also installed in the cultivation facility of a farm cultivating shiitake mushrooms so as to compare the proposed control system with a conventional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ing a cooler-condensing unit and an electric hot water boiler. Results: The uniformity of the environment was analyzed through environment measurements taken at several positions inside the cultivation facility. It was determined that the develop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is able to control the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o within 1% and 3%, respectively. In addition, a maximum temperature difference of $30^{\circ}C$ (maximum of $35^{\circ}C$, minimum of $5^{\circ}C$) and a maximum relative humidity difference of 30% (maximum of 90%, minimum of 60%) can be attained within 30 min inside the cultivation facility through the cooling of the heat pump and heating of the radiator in a variable opening chamber. Thus, the developed control system can be used to cultivate high-quality shiitake mushrooms more effectively than a conventional cooler and heater. Conclusions: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the developed system decreased the yield of ordinary mushrooms by 65%, and increased that of high-quality mushrooms by 217%. This corresponds to a 16% increase in gross farm income. Consequently,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income of shiitake mushroom cultivating farms.

자연광 다층 작물재배를 위한 광선반 시스템에 관한 연구 (Exploration of a Light Shelf System for Multi-Layered Vegetable Cultivation)

  • 장성택;장성주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61-66
    • /
    • 2013
  • This study is to eliminate the need for conventional high density plant factory's artificial light source such as LED to reduce the initial investment of the light source install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cost. Use of solar light could enhance the quality of the vegetables similar to those grown in the natural environment. Provision of solar light into the multilayer vegetable cultivation facilities and collecting maximum and sustainable sunlight without too much loss by tracing solar path and properly distributing it through careful control during daytime are crucial for realizing the investigated rooftop light shelf system for multi-layered vegetable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novative way of effectively allocating sunlight inside even to otherwise shaded zone of a multi-layer vegetable cultivation facilit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s sunlight collection and distribution capability, both simulation and experiment in Daejeon are performed and the outcome is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