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ies of the City

검색결과 1,823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 환경이 온열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Generation of Thermal Diseases)

  • 이수미;권일;김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4-92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열환경 악화, 온열질환자 발생은 중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다. 이에 폭염 등의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나 주로 기후요소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열섬현상은 여름철 폭염을 가속화시키며, 도시지역에서의 온열질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로 미루어 도시의 환경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물리적·사회적 특성이 온열질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이항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현황 중 주요열에너지방출원인 주거·상업·공업시설 연면적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로면적과 녹지면적은 각각 양과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 변수에 포함된 인구밀도와 65세 이상 인구 비율, 독거노인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독거노인 비율과 인구밀도 비율만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별 온열질환자와 관련한 도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심내 안전속도 "5030"시행에 따른 변속차로 설치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A Pilot Study on Installation Criteria of Speed Change Lane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Speed "5030" in the Urban Area)

  • 오석진;하태준;진태희;신광민;이강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57-64
    • /
    • 2021
  • 도시부도로에서 변속차로는 도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대속도를 낮추도록 함으로써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심내 안전 속도 "5030"시행에 따른 제한속도 30 km/h의 경우 기준이 모호하여 변속차로 설치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변속차로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 예정 구간을 중심으로 변속차로 통행패턴을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후 도로조건 및 교통 조건 등에 따라 주도로의 통행 속도별 통행 패턴을 분석한 결과 안전속도 "5030"시행에 따른 변속차로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통해 제시된 속도별 변속차로 설치기준은, 통행속도 30 km/h 구간인 경우는 변속차로를 미설치 하도록 하고, 50 km/h인 경우는 반드시 설치토록 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도시지역에서 다른 시설의 연결에 대한 공학적 기준을 정립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변속차로 설치 및 회전반경 확대를 통한 속도별 원활한 교통소통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개인의 사유재산권 행사에 대한 불필요한 제약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지역 장기요양시설과 주간보호시설 여성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영양섭취 비교 (Comparison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a Day-Time Care Facility in Incheon)

  • 배미애;이영휘;김화순;유정순;장경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9-400
    • /
    • 2019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EW-LCF) and a day-time care facility (EW-DCF).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15 to May 2017 on 73 elderly women with dementia (47 women in LCF and 26 women in DCF) in the city of Inche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caregiv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The total score of the MMSE-DS and intakes of most nutrient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The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protein, vitamin A, C, $B_6$, $B_{12}$, thiamin, riboflavin, niacin, folic acid,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However,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vitamin C, $B_6$, thiamine, niacin, calcium, magnesium, and iron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As a result, the subjects showed an unbalanced and insufficient nutrition intake status regardless of the type of care facility. Most nutrient intakes of the EW-LCF with lower cognitive function were ver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us regula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suffering with dementia and to provide specialized individual nutritional management.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 현황과 개선 과제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 조동길;김상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3-7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In 2007, there was a reform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system but the fund return projects were not vitalized up until now. In this study, 35 of ongoing and finished fund return projects were investigated on their types, sites, costs, local governments, and time required to return the fund. Through the on-site survey of 9 finished projects (4 biotope, 2 corridor and 3 natural conservation facility projects),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ong the five fund return types, 17 cases were biotope restoration projects, 4 cases were ecological corridor projects, and 1 case was a nature replacement project. In the case of project sites, there were 14 cases near schools and public facilities, 8 cases near rivers or streams, and 2 cases near ponds or wetlands. For the construction costs, there were 19 cases (65% of all the projects) that cost less than 300 million won.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most of the fund return projects were concentr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Ulsan city, and there were some local governments outside of these regions that did not carry out any return projects at all. Lastly, in the case of fund return time required, 35% of the fund returns were completed within 5 months, but the overall average fund return time was 9.8 months. In respond to the above study results, the improvement plans to encourage fund return projects are as follows: To diversify return types and sites, piloting and modeling projects for the representative types and sites should be preceded. To emerge from customary small-scaled projects, incentives to encourage large-scale and ecological networking pro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n order to write up business plans for the fund return projects, long-term investigations of at least 2 seasons from spring to fall are necessary. Finally,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ecological fund return sites, easier way for the citize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jects should be incorporated.

우리나라 신도시 초등학교의 통학로 안전환경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in Korea)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36
    • /
    • 2015
  • 우리나라의 교육환경평가제도는 그 동안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지만, 통학로 안전환경 조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환경평가 항목중 '학교위치'를 중심으로 통학로 안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각종의 문헌 및 선행연구서나 논문 등의 자료를 기초로 통학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계획요소와 이들 계획요소별 안전성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기도지역내 3개 신도시(SB, DB, PK) 총 2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학로 안전 실태조사를 하였다. 조사분석은 20개 계획요소에 대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우수(5점), 보통(3점), 미흡(1점)'의 3등급 척도로 구분하고, 각 요소별 점수를 5점에 최대취득 점수는 100점 만점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발시기가 다른 'SB(53.38점)

저상버스 도입진단 매뉴얼 개발 연구 (Manual Development Research for the Diagnosis of the Introduction of Low-Floor Bus)

  • 이승준;김성연;이원준;박현준;이철기;김남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08-222
    • /
    • 2023
  • 최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및 동법 시행규칙이 개정됨으로써 노선버스 운송사업자는 버스를 대폐차하는 경우 저상버스를 도입해야 한다. 다만, 저상버스 운행이 불가한 노선의 경우 운송사업자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제4조의2에 따라 소속 교통행정기관의 승인을 받아 저상버스를 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에서 제공받은 시도별 저상버스 도입 예외승인 현황에 의하면 전체 시내버스 노선 중 약 5.9%가 저상버스 투입 예외 노선으로 조사되나, 저상버스 운행이 불가한 노선이 많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이 제외된 자료이기 때문에 실제 저상버스 도입이 불가능한 노선의 비율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저상버스 예외 승인 과정을 확인한 결과 예외 승인을 위한 구체적인 조사방법, 기준 등이 전무해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실제 저상버스가 운행 가능한 노선임에도 저상버스 투입 예외 승인을 받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기하구조, 도로시설 등 저상버스 운행환경 전반을 객관적으로 진단 가능한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더 많은 사례에 적용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더욱 정교하게 적용하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Retrospective Appraisal of Cancer Patients from Vientiane Capital City,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PDR), Seeking Treatment in Thailand

  • Chaleunvong, Kongmany;Kamsa-ard, Supot;Suwanrungruang, Krittika;Wiangnon, Surapon;Sychareun, Vanphanom;Alounlangsy, Phetsamone;Durham, Jo;Promthet, Supann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435-5440
    • /
    • 2013
  • Background: Recent estimates suggest that in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Lao PDR) the burden of cancer in terms of DALYs lost is amongst the highest in South East Asia. As such, increasingly cancer is becoming an important public health concern in the country. Lao PDR however has no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and only one hospital-based registry. Cancer treatment within the country is extremely limited. Patients who can, may travel to neighboring countries for treatment, but little information about this is available in the count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some of the otherwise largely unknown parameters of the cancer burden in Lao PDR.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based on the records of 847 Lao cancer cases treated with surgery, radiation and chemotherapy at Srinagarind Hospital, Khon Kaen University, in Thailand between 1988 and 2010. Results: The annual rate of registration of Lao cancer cases fluctuated, but showed an increasing trend. Most cancers were diagnosed by histology (65.2%), and a combination of endoscopy and radiology (15.6%). In most cases (70.2%) the stage of cancer at diagnosis could not be determined. In those whose stage could be identified, 54.0% were at the final stage (Stage IV). Among males, the commonest cancer sites were the liver (16.1%), blood (12.3%) and nasopharynx (10.6%). Those in female patients were the cervix (22.2%), breast (14.6%) and blood (8.1%).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despite some fluctuations, the number of Lao cancer patients presenting at Srinagarind Hospital, Khon Kaen, gradually increased between 1988 and 2010. The unfavorable pattern of late-stage cancer diagnosis among male and female patients suggests a need for cancer control interven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cancer registration and treatment facilities within Lao PDR.

소유역에서 홍수조절용 펌프 및 유수지 규모의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Capacity for Pump and Detention Pond in Small Basins for Flood Control)

  • 안태진;박종윤;류희정;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85-398
    • /
    • 2003
  • 내배수시설계획시 최대저류비에 의한 유수지 규모의 결정 방법은 이전 연구자에 의하여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 11개 소규모 내배수시설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배수면적이 작고 펌프기능이 강화된 내배수 시설에서는 강우지속기간별 우수지의 저류비의 차이는 미미하므로 최대저류비에 의한 조정지 규모의 결정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저류비에 의하여 결정된 조정지 용량을 펌프에 의하여 배제되는 시간은 펌프의 허용시동간격보다 짧은 경우도 있어 펌프의 빈번한 작동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조정지는 펌프의 빈번한 작동에 의한 펌프 고장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는 규모로 결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펌프용량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유역에서도 조정지의 기능이 강화된 내수배제시설에서는 최대저류비를 기준으로 한 조정지 용량의 결정은 펌프운영 측면에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배수구역에서 조정지용량의 결정시 펌프의 계획배수량과 유수지의 용량에 따른 펌프의 시동빈도를 반영하여 기존의 최대저류비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수지 규모와 펌프용량의 관계를 간단한 선형계획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종래의 유수지 홍수추적에 의한 유수지 용량 결정은 도시지역의 내배수시설 계획에만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교통약자의 거주 분포와 통행특성을 고려한 저상버스 노선 선정 - 부산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Low-Floor Bus Route Selection Considering a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A Case of Busan -)

  • 박지호;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3
    • /
    • 2015
  • 고령인구와 장애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증가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보장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정부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법제도적 측면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일부개정 하였다. 개정된 법 내용에는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기준과 설치대상 지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운행노선 조정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교통약자의 통행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채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거주분포와 통행목적을 분석하여 현재 운행하고 있는 저상버스 노선을 교통약자의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상버스 노선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약자 거주분포의 분석지표로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뉴딜 자료를 활용하였고, 통행목적의 분석지표로는 교통약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교통약자 셔틀버스 노선현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약자의 이동수요가 높고,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A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동수요는 낮으나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C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통약자의 통행수요와 저상버스 운행노선 현황이 상당 부분 불일치하며, 비효율적인 저상버스 배치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행 중인 저상버스 노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고자한다.

노인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균형 평가척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Balance Scale for Life Care of the Elderly People)

  • 양승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11-4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균형기능에 대해 치료행위가 아닌 균형기능 평가척도를 활용한 평가과정 자체가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전주시 노인복지관 2곳에 소속되어져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각 12명씩 3군으로 나누어 균형기능에 대해 매일 평가를 시행한 군, 주간 단위로 평가를 시행한 군, 전후 평가군 형태로 구분하여 총 4주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모든 군 중에서 일일단위 평가군이 가장 높은 균형능력 향상결과를 보였고, 전후 평가군에서는 가장 적은 향상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군 간 비교에서는 일일단위 평가군-주간단위 평가군 사이에서 그리고 일일 평가군- 전후 평가군 에서 균형능력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았을 때 치료적 행위가 아닌 균형기능 척도를 활용한 평가과정 자체가 노인의 균형능력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치료적 목적이 아니더라도 노인을 위한 사회 시설들이나 기관에서 정기적으로 균형기능에 대해 평가관리 한다면 이것만으로도 균형기능 향상과 독립적 일상수행에 필요한 자세조절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