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ies Horticultur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156초

The Effects of Floral Arrangement on the Stress Index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and Its Correlation with Cognition

  • Choi, Byung Jin;Kim, Yeon Hee;Yun, Suk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9-27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see what changes flower arrangement programs bring to the stress index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and its correlation with cognition. Furthermore, seniors from a day care center and a nursing home were compar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flower arrangement activities as a supplementary remedy designed to relieve the sympto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24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onsists of 15 seniors from a day care center and Group B consists of nine seniors from a nursing home. Both groups participated in simple flower arrangement activities in 10 sessions. In each session, red and green cut flowers that were preferred by the elderly were provided to elicit and develop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stress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from 58.0±11.6 before the program to 50.6±17.1 after the program (p = .037).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for Group A (p = .021) than for Group B (p = .678).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tress index (p = .569), but that the activity was more effective for Group A. This study shows that arranging flowers effectively lowers the stress index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Also, sharing the outcomes of such activities with others or continuously caring for the flowers even after the activity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and rehabilitation. Thu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program needs to be applied continuously, not in the short-term, in order to relieve or treat the symptoms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그린케어(Green Care) 도입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유형분류 및 중요도 분석 (Classification and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y and Program for Green Care Introduction)

  • 최영완;김영주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77-8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operating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care, prioritize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green care introduction through expert survey of importance, and thereby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introducing green care in facilitie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 districts, including domestic rural experience facilitie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as analyzed in order to classify the necessary facilities programs, of green care,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Based on the results, AHP based importance survey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green care introduction, necessary facilities (H/W)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mmodation facility, resting facility, experience facility, therapy facility) and S/W programs into three types (learning experience type, therapy type, and care typ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AHP based importance survey, Consistency Index (C.I.)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I. value of nine respondents ranged from 0.000 to 0.083 so that the survey was found to have high consistency. The importance of S/W programs was 0.627, and that of H/W facilities was 0.373. For green care introduc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Regarding the categories of necessary facilities, therapy facility had the highest value, or 0.348; experience facility 0.253; accommodation facility 0.211; resting facility 0.188. Therefore, therapy facility and experience facility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case of S/W programs, therapy type had the highest value, or 0.499, and learning experience type (0.255) and care type (0.246) were similarly important. Generally, the categories that had high importance values tended to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in importance of their sub categories. In particular, facilities or therapy programs using natural ecology and forests were found to be highly important.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actively review the introduction of active programs using resources, such as existing experience facilitie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and villages forests, and programs making the body and soul comfortable, such as natural ecology experience, Green Shower, and horticulture activity.

방사선 스트레스 반응 방어 유전자의 탐색 및 발현 분석 (Expression profile of defense-related genes in response to gamma radiation stress)

  • 박누리;하혜정;사미나단 수브라야;최서희;전용삼;진용태;도옥화;쉬프라 쿠마리;이긍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59-366
    • /
    • 2016
  • 자주달개비는 닭의장풀과의 다년생 식물로, 자주달개비의 수술털은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체세포 돌연변이가 쉽게 일어나 방사선 지표식물로 생물학적인 반응 연구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주달개비 BNL 4430을 대상으로 50, 250, 500, 1000 mGy에 해당하는 감마선($^{60}Co$)을 조사한 후 13일차에 있는 샘플을 대상으로 만개한 꽃을 채취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를 바탕으로 Illumina Hi-seq를 이용하여 각 선량에 해당하는 전사체 및 특이발현유전자(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를 분석하였다. 전사체는 총 77,326개로, 방사선 비처리구에 비해 2배 이상 상향 발현된 유전자는 50 mGy에서 116개, 250 mGy에서 222개, 500 mGy에서 246개, 1000 mGy에서 308개로 밝혀졌으며, 이 중 각 선량별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유전자인 heat shock protein 70 famaily protein, IQ-domain 6, KAR-UP oxidoreductase, zinc transporter 1 precursor를 선발하여 13일차의 RNA 샘플을 대상으로 RT-PCR 및 qRT-PCR을 이용하여 저선량 방사선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검정하였다. 검정 결과 DEGs data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선량별로 2.3배에서 최대 96.59배의 높은 발현을 확인하였다. 선발한 유전자는 대부분 세포 내 방어기작과 관련이 되어있는 유전자였으며, 이중 KAR-UP oxidoreductase의 경우 A. thaliana에서 발아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저선량 방사선에 의해서 반응하는 유전자로도 확인이 되었다. 저선량 방사선에 노출된 자주달개비의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저선량의 방사선이 식물체에 미치는 영향과 발현 기작을 연구하는 데에 분자적 수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저선량 방사선의 생물학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감시 보조수단으로 자주달개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설원예단지와 논의 지하수 생태계서비스 가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roundwater-Ecosystem Service Value of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and Paddy Fields)

  • 손진관;최덕규;이시영;강동현;박민정;윤성욱;김남춘;공민재
    • 농촌계획
    • /
    • 제24권2호
    • /
    • pp.47-58
    • /
    • 2018
  • Protected horticultural complexes would increase crop productivity but would adversely affect the groundwater recharge function in the area because the impervious area would increase. Further, they would limit the movement of living beings, affecting biod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groundwater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protected horticultural complexes in terms of consistent utilization of water. The estimated amounts of groundwater loss obtained through quantitative assessment of groundwater infiltration showed that a higher impervious area results in higher losses. We, therefore, predict a much higher loss if similar changes in land use are realized on a nationwide scale. A plan to promote groundwater recharge in impervious areas is actively being discussed for urban areas; however, this plan is not yet applicable to farming areas. We consider it is essential to develop groundwater infiltration facilities for horticultural complexes, infiltration trenches, permeable pavements, surface water storage facilities,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etc.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roundwater infiltration facilities is important for consistent utilization of water and the improvement of ecosystem services.

시설원예 단지의 친환경적 조성 계획의 새만금지역 적용 연구 (Eco-friendly Design of Horticultural Complex through Application of Saemanguem Areas)

  • 손진관;강태경;강동현;임류갑;김창현;박민정;공민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5-238
    • /
    • 2020
  • 농업경관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중요 공간으로 평가받지만 시설원예단지 조성은 환경적, 생태적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단지를 보다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지속가능 농업에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시설원예단지의 친환경적 조성을 위한 계획 요소는 문헌과 전문가 설문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계획요소를 적용하여 마스터플랜과 조감도를 새만금지역에 적용하였다. 기능향상을 위한 투입요소 선정과 배치방법을 분석 한 결과 저류지, 습지, 인공저장 시설, 녹지공간, 수로를 경관과 어울리게 배치하고 건폐율은 55%로 적용하도록 제안받았다. 전문가들에게 제안받은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방안을 적용하여 최종 조감도를 작성하였다. 최종 조감도에는 수질정화시설, 습지와 수로 연결, 투수포장, 녹지 연계 등을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시설원예 친환경적 조성에 대한 정책 및 예산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국가 생물다양성 및 환경보전에 이바지 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파급효과 분석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 박지연;김연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24-235
    • /
    • 2019
  • 농기계와 시설원예 보급 확대 등으로 인하여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방비 등 투입비용의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 농업부문 에너지 이용실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면세유, 농사용 전기의 변화 형태를 살펴보았으며, 농업용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현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면적을 조사하고,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절감시설의 에너지 절감비율을 적용하여,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난방비 절감효과, 생산성 증대효과, 정부재정지출절감효과, 온실가스 절감효과, 그리고 석유류 대체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파프리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면적당 재정지출 절감효과는 열회수환기장치가 300,863원/10a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유가가 상승할수록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 보급에 따른 재정지출 절감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경제적 총 편익을 계산한 결과 다겹보온커튼이 608.1억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에너지 투입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경영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데 열회수환기장치는 3,593천 원/10a의 난방비 등 경영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은 투입비용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효과도 있다. 지열히트펌프의 경우 9,539kg/10a의 파프리타 생산량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감시설의 보급은 경유 등 석유류 투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으며 열회수환기장치는 1,806리터/10a의 석유류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시설 개념을 적용한 청주시의 버스정류장 공공디자인 (Public Design of Bus Station for Cheongju City with Plant Container Function)

  • 이주헌;이애경;김양희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23-327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으로서 버스정류장 디자인에 있어 화훼식물 이용이 가능한 구도의 시설물계획과 제안에 목적이 있다. 계획에서 청주의 도시브랜드인 '직지'를 강조하기 위해 고인쇄박물관의 형태를 모티브로한 컨테이너를 디자인하고 시설물의 상층부에 설치 계획하였다. 설치될 디자인 요소들은 이용자 행태분석을 통하여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설물들을 계획하였으며, 프레임을 최대한 좁게 하고 벽면은 투명한 재질로 계획함으로써 이용자의 시야의 확장을 의도하였다. 형태의 장식성을 줄이고 색체 또한 무채색을 주도색으로 사용함으로써 주변과의 융화에 중점을 두었다.

Biolog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in Korean melons through a treatment with a culture of Bacillus species

  • Lee, Sang Gil;Jeon, Nak Beom;Park, Myung Soo;Yun, Hae 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1011-1020
    • /
    • 2020
  • Efficient management systems of facilities make it possible to manage environmental conditions properly, such a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source required for the best growth of the crops, as well as for the mass production of fruit and vegetables with high quality every year through an advanced and protected cultivation system. Powdery mildew is a type of chronic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during the production of Korean melons under a protected cultivation system, the use of which is increasing in production areas in Korea. Two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soil samples showe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several pathogens, specifically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Fusarium oxysporum f.sp. melonis; they were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M2 and B. amyloliquefaciens M3 in a molecular biological test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gyrase subunit A (gyrA). The treatment was given three times at intervals of five days with 400-fold diluted cultures of B. velezensis M2 and B. amyloliquefaciens M3. This led to the inhibition of the incidence of powdery mildew disease in Korean melon leaves, which resulted in effective control efficiency against the incidence of powdery mildew disease with control values of 87% and 65%, respectively. Cultures of antagonistic microbes t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as part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agement scheme to prevent powdery mildew disease during the protected cultivation of crops, including Korean melons.

도시생태계 교육을 위한 시민 인식 설문조사 및 분석 - 수원시를 중심으로 - (Survey and Analysis of Citizens' Perception for Urban Ecosystem Education - Targeting Suwon City -)

  • 유다영;이민지;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itizens' perception of urban ecosystem and urban ecosystem education to find out how to plan and create an effective urban ecosystem and how to utilize urban ecosystem education and educational media according to age group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of 416 Suwon citizens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respondents, cross-analysis, multiple-respons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fewer respondents showed a high understanding of urban ecosystem concepts compared to those wh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Nevertheles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urban ecosystem and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nconvenience. In addition,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need for urban ecosystem education and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preferred information media depending on a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such as ecological learning centers and seasonal environmental schools is the top priority among all age groups. Citizens are also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urban ecosystem and the need for education, but it is deemed necessary to supplement it because effective urban ecosystem conservation and protection plans and systematic education are not provided that citizens can sympathize with. In addition, it is deemed that various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in selecting responsible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media that host the education for effective education and promotion of urban ecosystem education according to conduct urban ecosystem education.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를 위한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의 활용 (Application of Greenhouse Climate Management Model for Educational Simulation Design)

  • 윤승리;김동필;황인하;김진현;신민주;방지웅;정호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5-496
    • /
    • 2022
  • 국내외로 첨단 ICT 융합기술이 농업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시설원예 설비들이 고도화되고, 스마트팜 구축 기술 및 인력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농촌의 경우, 농업생산 연령의 고령화, 국내 농촌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팜 확대 및 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공간 및 시간에 구속을 받지 않는 간편한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다면 농업 교육용 시뮬레이션 툴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지역과 기상 조건 하에서 대상 온실의 열과 물질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활용하여 외부 기상 데이터를 통해 온실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가상의 환경 제어시스템을 통해 환경 제어 시 필요한 에너지값들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용자가 직접 맞춤형 환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것이며, 실제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제어 요소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농업용 교육 시뮬레이션 툴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 생육 모델링 기술 및 전산유체역학 기술과 융합하면 더욱타당한 결과를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