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photograph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연령에 따른 미소형태분석과 치과지식 정도에 의한 심미성 평가 (A study on the smile according to age and esthetic evaluation by the degree of dental knowledge)

  • 김성진;김문관;박소민;반재삼;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57
    • /
    • 2012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광주지역 주민의 나이에 따른 미소형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심미적인 미소형태를 분석하여 전치부의 보철 수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대(평균연령 27.2세)와 50, 60대(평균연령 55.6세)의 정상 교합자를 각각 33명(남자 15명, 여자 18명), 20명 (남자 7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안정위 시와 미소 시 얼굴정면 사진을 촬영하여 미소 시 입술 형태, 입술의 변화와 치아와의 관계를 계측, 분석하였다. 그 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학년(67명), 4학년(47명)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미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미소 시 상순과 치아와의 관계는 두 그룹 모두 average smile이 가장 많았으며, smile line ratio는 청년층에서 1.09, 장년층에서 0.90으로 나타나 거의 평행한 관계를 보였다. 미소 시 buccal corridor ratio가 커질수록 노출되는 치아 수는 적어지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미소 시 노출되는 치아는 청년층에서 제2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63.64%로 제일 많았고, 장년층에서는 제1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35%로 가장 많았다. 미소 시 상순 하연의 수직적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서로 역상관관계가 보였으며, 하순 상연의 길이 변화와 상악 중절치 노출 임상치관 길이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심미성에 관하여는 High smile line과, 미소 시 상악 제1소구치까지 보이는 경우가 제일 심미성이 높았으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1학년의 경우, 얼굴전체 사진과 입술만 나타난 사진에서 뽑은 아름다운 미소 사진이 달랐으며, 4학년의 경우에는 일치하였다.

Outer Canthus Indicator를 이용한 두부 자세 기록법의 재현성 (Reproducibility and reliability of head posture obtained by the outer canthus indicator)

  • 김영재;손병화;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7-86
    • /
    • 2010
  • 두부방사선 사진 채득 시 발생가능한 두부의 수직회전은 계측점 선정 및 계측치의 재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진단자료의 객관화 및 중첩의 용이성을 위해 두부 회전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조직 계측점인 외안각(outer canthus)을 지표로 두부 자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방법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상 안모의 성인 남녀 21명에서 두부고정기에 부착한 Outer Canthus Indicator (OCI)를 이용하여 벽면응시를 통한 두부자세에서의 외안각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초진 시 두부자세에서 측모 광학 사진을 촬영하고 이틀 후 같은 계측치로 두부자세를 재현하여 얻은 두 장의 사진을 중첩하여 두부의 수직 회전과 외이도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두 명의 술자가 동일 과정을 반복했을 때 두부의 수직 회전은 각각 평균 $0.69\;{\pm}\;0.43^{\circ}$, $0.98\;{\pm}\;0.65^{\circ}$, 표준오차 0.09, 0.14로 나타났다. 외이도의 수평변위는 각각 평균 $0.90\;{\pm}\;0.72\;mm$, $0.72\;{\pm}\;0.55\;mm$, 표준오차 0.16, 0.12이고 외이도의 수직변위는 평균 $0.81\;{\pm}\;0.68\;mm$, $1.17\;{\pm}\;0.67\;mm$, 표준오차 0.15, 0.15이었다. 술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paired t-test에서 변수들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Pearson 상관분석에서 외이도의 수평 변위와 수직 변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OCI가 두부의 수직 회전에 의한 오차를 줄임으로써 규격화되고 상호 중첩 가능한 방사선 사진 및 광학 사진 자료를 채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청년층 구순의 사진 계측학적 연구 (Photogrammetric Study of Lip in Young Population in Korean)

  • 김우섭;홍정수;김한구;김승홍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55-160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atomical dimension of the lip in young population in Korean, using specially designed soft ware with photographic image. We measure 13 anatomical dimensions of lips in 2,229 young people. (917 male, 1312 female, Aged from 18-33 years. Average age 19.7). Statistical analysis of these measurements of large population could offer useful information in facial plastic surgery. The mean measurements are as follows 1. Lengths (male/female) Widths of philtrum: $1.11{\pm}0.19cm/1.02{\pm}0.21cm$ Heights of philtrum: $1.6{\pm}0.24cm/1.47{\pm}0.21cm$ Heights of cupid bow: $0.88{\pm}0.16cm/0.83{\pm}0.16cm$ Height of upper vermilion: $0.74{\pm}0.16cm/0.70{\pm}0.15cm$ Height of lower vermilion: $1.08{\pm}0.17cm/1.02{\pm}0.15cm$ Height of upper lip(Rt.): $1.24{\pm}0.2cm/1.23{\pm}0.2cm$ Height of upper lip(Lt.): $1.24{\pm}0.2cm/1.17{\pm}0.19cm$ Half horizontal length of lip: $2.2{\pm}0.26cm/2.11{\pm}0.2cm$ Horizontal length of lip: $4.41{\pm}0.4cm/4.25{\pm}0.36cm$ Height of lower face: $7.1{\pm}0.58cm/6.52{\pm}0.6cm$ 2. Angles Nasolabial angle: $97.77{\pm}11.97^{\circ}/95.5{\pm}11.34^{\circ}$ Mentolabial angle: $133.88{\pm}14.65^{\circ}/129.27{\pm}13.67^{\circ}$ Angle of Cupid's bow: $111.65{\pm}13.99^{\circ}/116.75{\pm}16.2^{\circ}$ Previous reported photogrammetric measurements was difficult to implement to surgical practice. Because these were printed photographies of the same size.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n measure a lot of objects and items more conveniently and correctly by using proportional program on computer after taking a digital photograph. Consequently, proportional measurements with photogrammetry of lip could be useful and corrective substitute for anthropometrical measuring. These data could be useful reference for preoperative consultation, surgical planning and learning anatomical measurement of lips and adjacent structures.

두부 자세,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구강안면통증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Orofacial Pain and Natural Head Position or Life Stress.)

  • 이유미;임현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47-154
    • /
    • 2006
  • 본 연구는 일정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을 대상으로 자연스런 두부자세(natural head position:NHP)와 두경부 통증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27명의 대상자에게 임상 검사 및 설문지 작성과 면담을 통하여 생활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정도, 스트레스시 나타나는 안면에 증상 정도, 두경부 통증 경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부자세 평가를 위하여 후방에 5cm 간격의 눈금을 지닌 자세판을 바닥과 평행하게 설치한 후 사진 촬영을 하였다. 보다 정확한 두부자세 재현을 위하여 수일의 간격을 두고 재차 촬영하였다. 두경부 통증 빈도, 두경부 통증에 따른 두부 자세, 두경부 통증여부에 따른 생활변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발현 정도,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스런 두부 자세에서 평균적으로 $-0.70{\pm}2.74$로 약간 좌측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acromion은 $-0.26{\pm}2.10$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수직선과 흉쇄유돌근이 이루는 각도, 수평선과 eye-tragus 을 이은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pulm line에서 acrominon에 이르는 거리와 tragus에 이르는 거리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구강안면 동통을 가진 군과 구강안면동통이 없다고 대답한 군에서 평균적인 NHP 측정치와 NHP양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12개월 이내의 생활 변화량과 변화횟수에서 통증이 없는 군이 생활 변화량과 그 횟수가 더 많았다. 4. 스트레스 증상 발현정도는 두경부 통증이 있는 군이 두경부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더 많은 빈도를 보였다. 5. 취미생활이나 운동을 행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사이에 두경부 통증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하는 직업군에서의 구강안면통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두부자세의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두경부 통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각적 요인을 분석하여 두경부 통증 처치에 전문적인 처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악교정수술환자에서 폴리메틸메터크릴레이트(아테콜$^{(R)}$) 주입을 통한 융비술 (PMMA MICROSPHERES (ARTECOLL$^{(R)}$) INJECTION FOR NASAL RIDGE AUGMENTATION IN THE ORTHOGNATHIC SURGERY)

  • 옥용주;김명진;팽준영;명훈;황순정;최진영;이종호;정필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4호
    • /
    • pp.329-334
    • /
    • 2005
  • Polymethyl-methacrylate(PMMA; Artecoll$^{(R)}$) microspheres suspended 1 : 3 in a 3.5% collagen solution has been used as an injectable implant for long lasting correction of wrinkles and minor skin defects. The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have increased necessity for nasal augmentation. Usually these patients usually get an additional rhinoplas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PMMA injection for nasal ridge augment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orthognathic surgery. PMMAs were injected to the nasal dorsum of 13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to augment the nasal ridge at the end of the orthognathic surgery. The cephalometric X-ray and clinical facial photograph were taken at 2, 4 and 6 months after operation. Using S-N line, we calculated the change of soft tisuue on the nasal ridge and also investigated the degree of patients satisfaction at 6 months after operation.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nasal ridge height status from moderate to good degree. The average amount of nasal ridge augmentation was $1.4{\pm}0.5$ mm immediately after operation, $1.2{\pm}0.4$ mm at 2 months after operation. The postoperative nasal ridge height seemed to be remained stable after 2 months. Intraoperative PMMA injection is considered to be simple and effective technique which can be used for the minor augmentation of nasal ridge in the orthognathic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