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pain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8초

DITI 진단을 통한 Bell`s palsy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Observation of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on Bell`s palsy)

  • 박경화;김종한;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39
    • /
    • 1998
  • The clinical data and thermographic imaging were analyzed on the 100 cases of Bell's palsy who were treated in the Kwang-Ju Oriental Medical Hospita! of Wonkwang University from February to October 1997. All the cases were taken Digital Infrared Thermograph Imaging(DITI) before treatment and 30 cases of them were taken follow up imaging again after recover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f 100 cases, under teenager occupied $1\%,\;teenager\;8\%,\;2nd\;decade\;14\%,\;3rd\;decade\;11\%,\;4th\;decade\;16\%,\;5th\;decade\;26\%,\;6th\;decade\;16\%,\;7th\;decade\;7\%\;and\;over\;80\;occupied\;1\%$. 2. Male occupied $48\%$ and female occupied $52\%$. 3. $42\%\;of\;male\;and\;23\%$ of female had the affected side at left side. And right facial nerve palsy occured at $29\%\;of\;male\;and\;29\%$ of female. 4. The most common cause of Bell's palsy was cold wind $18\%$, and the next were excessive labor $15\%,\;stress\;12\%,drinking\;2\%\;and\;cold\;food\;1\%$. 5. Thermal pattern were present as hyperthermal pattern in $44\%$ and hypothermal pattern in $22\%$. 6. The DITI showed hyperthermal pattern as close as to the onset day and changes to hypothermal pattern as times passed. 7. The DITI pattern and post-auricular pain, the most common prodomal syndrome,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of paralysis and thermal patttern of DITI showed no significance. 9. Mean temperature of loci in affected side indicrtted $30.27^{\circ}C\;at\;Yang\;baek,\;30.02^{\circ}C\;at\;Taeyang,\;29.25^{\circ}C\;at\;Geoyo,\;29.62^{\circ}C\;at\;Jichang,\;29.78^{\circ}C\;at\;Hakwan,\;29.61^{\circ}C\;at\;Hyupgeo,\;and\;30.59^{\circ}C$at Yeopoong. 10. Mean temperature of loci in unaffected side showed $30.16^{\circ}C\;at\;Yang\;baek,\;30.02^{\circ}C\;at\;Taeyang,\;29.61^{\circ}C\;at\;Geoyo,\;29.68^{\circ}C\;at\;Jichang,\;29.70^{\circ}C\;at\;Hakwan,\;29.57^{\circ}C\;at\;Hyupgeo,\;and\;29.89^{\circ}C$at Yeopoong. 11. Of 30 cases who were taken follow up imaging again after recovery, the relationship between delta T at loci and symptoms showed no significance. It should be needed further investigation in order to apply them for clinical evaluation.

  • PDF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Korean Emotion Vocabulary: Extraction and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 손선주;박미숙;박지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05-120
    • /
    • 2012
  • 본 연구 1에서는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목록을 제작하고, 연구 2에서는 제작된 감정표현단어가 어떤 범주의 감정에 속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1의 한국어 감정표현단어 목록 제작을 위하여 연세대학교에서 제작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자료집으로부터 감정단어들을 추출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에 걸쳐 시행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빈도 높게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를 선정하기 위하여 국문학 전공자와 감정연구자 12명이 참가하였으며, 총 504개의 감정표현단어들로 구성된 목록을 완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단어가 '기쁨', '공포', '분노' 등 10개 범주(중성포함)의 감정 중 어느 감정과 관련 있는지 복수 선택하도록 하여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를 조사하였다. 단어들의 감정 범주 분석 결과, 504개 단어 중 426개 단어는 한 범주의 감정을 의미하였는데, '슬픔'을 나타내는 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분노', '기쁨'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 72개 단어는 두 감정 범주를 나타내었는데, '분노'와 '혐오', '슬픔'과 '공포' 그리고 '기쁨'과 '흥미'로 묶이는 단어가 많았다. 세 감정 범주를 보인 6개의 단어는 '놀람', '흥미', '기쁨'의 조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 목록을 제작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각 단어와 관련된 감정 범주를 복수의 감정 범주를 포함하여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표현단어들과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 정보는 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이후 HCI 분야에서 언어적 내용에 기반을 둔 감정인식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crodysostosis Associated with Symptomatic Cervical Spine Stenosis

  • Ko, Jung-Min;Kwack, Kyu-Sung;Kim, Sang-Hyun;Kim, Hyon-Ju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2호
    • /
    • pp.145-150
    • /
    • 2010
  • 선단이골증(acrodysostosis)은 매우 드문 골격계 이형성 질환의 하나로, 말단골 이형성을 보이는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 코뼈의 저형성 및 정신지체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면서 신경 증상 및 징후와 경추관 협착을 동반한 선단이골증 16세 남아를 경험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환아는 양쪽 상지의 간헐적인 통증과 위약감을 호소하였으며 양팔을 높이 들어올리는 것이 불가능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진상 저신장을 보였으며 넓으면서도 낮은 콧등, 작고 위로 들려 올라간 코끝, 양쪽 눈의 안쪽 눈구석 주름 및 경한 양안격리증 등 특징적 안면 소견을 보였다. 신경심리검사상 중등도의 정신지체가 확인되었으며 청력검사상 양측의 신경성 난청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다. 방사선학적 검사에서는, 원뿔 모양의 골단을 보이는 넓으면서도 짧은 중수골 및 지골, 양측 전와부의 마델룽 변형(Madelung deformity), 과형성된 첫 번째 중족골과 두꺼워진 두개골이 확인되었다. 뇌 및 척추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는 경추관 협착, 경추-연수 접합부의 압박을 동반한 편평두개저 및 소뇌 편도의 하방 이동 소견을 보였다. 선단이골증에서 동반되는 경추관 협착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6개월 후 추적 영상검사에서 진행되는 소견을 보이거나 증상이나 징후가 악화될 경우에는 수술적 갑압술을 실시할 계획이다. 본 증례는 선단이골증의 국내 보고로는 두 번째이나, 경추관 협착증의 증상 및 징후를 동반한 선단이골증의 첫 번째 보고이다. 선단이골증에서의 척추관 협착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하는 증상이며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특징적 임상 양상을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이러한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로서 치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말단골의 이형성을 보이는 환자의 중요한 감별 질환 중 하나로 선단이골증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plication with MITEK mini anchors: surgical outcome of 65 consecutive joint cases using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 Lee, Bu-Kyu;Hong, Jun Hee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14.1-14.11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our modified disc plication technique using MITEK mini anchor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for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ID)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atients and methods: We evaluated 65 joints in 46 patients, comprised 32 women and 14 men, who first visited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2012 to December 2016.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9 years, with a mean age of 36.6 years. The patients presented with joint problems including pain, joint noise, and mouth opening limitation (MOL). Patients who met our inclusion criteria underwent unilateral or bilateral disc repositioning surgery with our minimally invasive disc plication technique using MITEK mini anchors and No. 2-0 Ethibond® braided polyester sutures. The variables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were the range of maximum mouth opening (MMO), painful symptoms (evaluated with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type of noise (click, popping, crepitus) in the TMJ. Results: Preoperative examination revealed painful symptoms in 50.7% (n = 35) of the operated joints (n = 69) and the presence of clicks in 56.5% (n = 39). Postoperative examination revealed that 4.3% (n = 3) of the operated joints had painful symptoms with lower intensity than that in the preoperative condition. Additionally, 17.4% (n = 12) had residual noise in the TMJ, among which two were clicking and the other 10 had mild crepitus.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residual noi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ases compared to that in the preoperative condition. Among patients with MOL below 38 mm (n = 18), the mean MMO was 31.4 mm preoperatively and 44.2 mm at 6 months postoperatively, with a mean increase of 13.8 mm. A barely visible scar at the operation site was noted during the postoperative observation period, with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such as facial palsy or permanent occlusal disharmony. Conclusion: Subjective symptoms in all patients improved following the surgery. TMJ disc plication using MITEK mini anchors with our minimally invasive approach may be a feasible and effective surgical option for treating TMJ ID patients who are not responsive to conservative treatment.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anticipatory anxiety prior to extraction procedures in 8- to 12-year-old children

  • Kalra, Namita;Sabherwal, Puja;Tyagi, Rishi;Khatri, Amit;Srivastava, Shrut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2호
    • /
    • pp.119-128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ssessed anticipatory dental anxiety levels among 8- to 12-year-old children based on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measures and their correlation. The variations in anxiety based on sex, age, tempera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evaluated. Methods: An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60 children recruited from the waiting room over a 6-month period. The operator recorded subjective anxiety in the children using a novel visual facial anxiety scale. The operator also noted the demographic details and child's temperament using the nine dimensions of the Thomas and Chess criteria, and graded children as "easy," "slow to warm-up," and "difficul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hildren was graded (parental ratings) on a five-point Likert scale. Physiological variables (heartrate [HR], oxygen saturation[SpO2], and blood pressure [BP]) were recorded by another evaluator. Th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levels and physiological variables was also assessed. The effects of age, sex, tempera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on anxiety were evaluated. Results: The study included 60 children aged 8-12 years, including 36 boys and 24 girls. Seventy percent of children had mild to moderate levels of pre-extraction anxiety, while 30% of children demonstrated high anxiet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anxiety levels and HR (rs = 0.477, P < 0.001⁎) and systolic BP (rs = 0.294, P < 0.05), while a significant but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SpO2 (rs = -0.40, P < 0.05). Anxiety did not influence diastolic BP. Children with difficult temperament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ha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Conclusion: A high percentage (70%) of children aged 8-12 years had mild to moderate anxiety prior to the extraction procedure. Increased HR, systolic BP, and reduced SpO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anticipatory dental anxiety. Pre-extraction anxie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emperament and scholastic performance.

구강안면 근긴장이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posterior zirconia occlusion and mandibular implant support fixed prosthese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orofacial dystonia)

  • 서종민;정창모;이소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9
    • /
    • 2023
  • 구강안면 근긴장이상(Orofacial dystonia)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얼굴, 입술, 혀 및 턱 주변을 불규칙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경운동학적 장애로 틱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갖는 무치악 환자는 총의치 사용의 어려움과 더불어 언어 장애 및 연하곤란, 구강안면의 통증까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문제점들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완전 무치악 상태를 경험하게 된 구강안면 근긴장이상 환자를 위해, 양측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미소훈련을 시행하여 안면근육의 심미적인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치료의 결과, 환자는 저작기능과 심미성이 향상된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진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교근 부위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저작근의 근전도 및 악기능에 미치는 영향 (Short-term Effect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on the Surface EMG of Masticatory Muscles and Jaw Function)

  • 이정윤;박희경;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69-77
    • /
    • 2006
  • 저작근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여러 운동장애의 치료나 심미적인 목적으로 교근 부위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툴리눔 독소의 교근 부위 주사가 다른 저작근의 근전도와 악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장애 등 하악의 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는 건강한 성인남녀 14명을 대상으로 양측 교근에 각각 80 unit씩의 보툴리눔 독소 A(Dysport, Ipsen, Wrexham, UK)를 주사한 5 명의 실험군과 같은 위치에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한 9 명의 대조군에서 주사 전과 주사 후 3 주까지 매주 교근과 전측두근의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고, 국문판 악기능제한지수(Jaw Functional Limitation Sca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악기능제한 정도를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교근의 근전도는 실험군에서 주사 후 1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3주 동안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전측두근의 근전도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악기능제한지수는 저작지수와 전반적 악기능 지수가 실험군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1 주째에 증가한 뒤 점차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개구지수와 대화 및 감정표현 영역 기능제한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교근에 시행하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교근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키지만 전측두근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주관적 저작기능을 단기적으로 저하시키나, 근활성의 저하가 지속되는 과정에서도 주관적 저작기능은 짧은 기간 내에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GNPTAB 유전자 돌연변이로 진단된 뮤코지방증 2형 1례를 포함한 국내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분석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of 11 Korean Patients with Mucolipidosis II and III Including a Case of Mucolipidosis II with a Novel Mutation of GNPTAB)

  • 김진섭;양미선;양아람;조은혜;박형두;손영배;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5-91
    • /
    • 2017
  • 뮤코지방증 2형과 3형은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은 리소좀 효소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mannose-6-phosphate와 리소좀 효소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리소좀 효소들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리소좀 효소의 부족으로 인해 리소좀 기능 이상 및 뮤코지질의 축적으로 인해 다양한 임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새롭게 진단된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 및 생화학, 분자유전학적 양상을 기술하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11명의 뮤코지방증 2, 3형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저자들은 17개월에 특징적 얼굴 모양 및 관절 구축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효소 검사를 통해 리조솜 효소의 혈장 내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GNPTAB 유전자의 직접염기 서열분석을 통해 복합이형접합자 돌연변이 (c.3428 dupA [pAsn1143Lysfs*3], c.673C>T [p.Gln225*])를 발견하였다. 새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하여 총 11명의 환자(뮤코지방증 2형: 7명, 3형: 4명)들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고 진단 시 나이는 뮤코지방증 2형은 2세 1개월, 3형은 6세 9개월이었으며 진단 시 신장 표준편차지수는 각각 -3.2 (${\pm}1.5$), -1.3 (${\pm}1.1$)였다. 심초음파 결과에서 뮤코지방증 3형 환자들은 심장 판막의 이상만을 보였으나 2형 환자들에서는 비후성 심근증(n=3), 좌심비대(n=1)이 동반되었다. 간비비대(n=4)는 뮤코지방증 2형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뮤코지방증 2형의 경우, 3명의 환자가 호흡 곤란으로 기관 절개 및 호흡기 보조를 받았으며 2 명의 환자가 호흡기 문제로 사망하였다. Pamidronate 치료는 4명의 뮤코지방증 3형 환자와 4명의 2형 환자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유효성 및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