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movement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8초

군 수사현장에서 용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Detecting lies through suspect's nonverbal behaviors in the investigation scene)

  • 김시업;전우병;전충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2호
    • /
    • pp.101-114
    • /
    • 2006
  • 본 연구는 실제 사건의 용의자를 대상으로 거짓말 탐지의 비언어적 단서와 Othello의 오류(상대방이 자신의 결백을 믿지 않는 것에 대한 '불신의 두려움'을 거짓말 하는 사람이 나타내는 '발각의 두려움'이라고 잘못 판단하는 오류) 단서를 찾고, 기존의 연구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영내 무단 음주사건의 혐의자 18명이었다. 이 중 8명은 실제 음주행위를 했던 용의자들이었고(거짓집단), 나머지 10명은 무혐의자들이었다(진실집단). 거짓집단이 사건 무관련 질문(거짓을 말할 필요가 없음으로 진실반응을 나타냄)과 사건 관련 질문(사건과 관련되기 때문에 거짓반응을 나타냄)에서 나타낸 행동특징들 중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행동을 거짓말 탐지의 단서로 삼았다. 또한 진실집단이 사건 무관련 질문(진실반응)과 사건 관련 질문(진실반응)에서 나타낸 행동특징들 중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행동을 Othello의 오류 단서로 삼았다. 그 결과, 거짓집단에게서 발견된 거짓말 탐지단서는 잠시멈춤 시간, 잠시멈춤 빈도, 미세표정, 머리움직임이었다. 즉 거짓을 말할 때 잠시멈춤 시간과 빈도가 감소하였고, 미세표정과 머리움직임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진실집단이 사건 관련 질문에서 더 짧은 답변지연시간을 나타낸 것은 Othello의 오류와 관련된 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본 연구와 기존의 국내 연구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잠시멈춤 빈도가 일치된 단서로 나타났다. 즉, 진실을 말할 때보다 거짓을 말할 때 잠시멈춤빈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이는 상대방에게 신뢰로운 인상을 주고자 행동통제를 시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Real-time Tracking and Identification for Multi-Camera Surveillance System

  • Hong, Yo-Hoon;Song, Seung June;Rho, Jun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1호
    • /
    • pp.16-22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solution for personal profiling system based on user-oriented tracking. Here, we introduce a new way to identify and track humans by using two types of cameras: dome and face camera. Dome camera has a wide view ang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tracking human movement in large a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person only by using dome camera because it only sees the target from above. Thus, face camera is employed to obtain faci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erson. In addition, we also propose a new mechanism to locate human on targeted location by using grid-cell system. These result in a system which has the capability of maintaining human identity and tracking human activity (movement) effectively.

Temporomandibular Joint False Ankylosis in a Cat: A Case Report

  • Sanghyeon Yoon;Jung-Ha Lee;Seo-Eui Lee;Hakyoung Y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65-369
    • /
    • 2023
  •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kylosis is a rare disease impairing mandible movement and can either be intra-articular (true) or extra-articular (false). A cat presented with an inability to open its mouth, drooling, and facial asymmetry. Computed tomography (CT) confirmed an extracapsular abnormal TMJ fusion, and a surgical plan was devised based on the CT imaging. Post-surgery, the cat regained mouth mobility (indicating false ankylosis) and showed an improved prognosis. This case of CT-diagnosed and treated feline TMJ false ankylosis underscores the indispensable role of CT in diagnosing and devising surgical strategies for feline TMJ false ankylosis.

3D모델링에서 살펴본 눈 주변의 표정에 대한 연구 (Study of facial movement around eyes in 3D modeling)

  • 문희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
    • pp.597-600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움직임이 커서 확실하게 움직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입 주변의 움직임보다 움직임이 세밀하고 다양해 표현하기가 까다로울 수 있는 눈 주변의 움직임에 있어서 눈 주변의 세밀한 움직임의 근육을 잡는 것과 움직임의 기준정, 또 타겟들의 적절한 조합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보고 절기에 근거를 두어 블렌드쉐이프를 적용하여 표정 타겟을 만들어 눈 주변의 표정에 대한 연구를 하여 3D얼굴 애니메이션에 적용시키는 방법으로 페이셜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눈 주변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제안한다.

  • PDF

Le Fort II 골절단술을 이용한 비중안모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율에 대한 연구 (THE AMOUNT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FOLLOWING LE FORT II OSTEOTOMY)

  • 김명진;이안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63-69
    • /
    • 2000
  • Le fort II osteotomy is much useful technique to correct the midfacial hypoplasia including nasomaxillary complex especilly in patient with dish face appearance. Not in simple orthognathic surgery but in Le Fort II osteotomy, the standardization of prognostic value is essential in treatment planning to achieve satisfactory postoperative results. According to pervious reports,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s varies as to different surgical methods and different facial regions. But there are few report about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following Le Fort II osteotomy. So we tried to develop standarized soft tissue surgical treatment objective. We have followed up 16 patients, who had received Le Fort II osteotomy by one operator from 1990 to 1996, one year postoperatively. In cephalometrics, we used Frankfort line as horizontal reference line, and vertical reference line as one drawn from Sella to horizontal line perpendicularly. The landmarks are G to soft tissue G, N on reference line to soft tissue N, ANS to Pn and A to S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aving statistical significancy at G, N2, N3 point. 2. At G, N2, N3 point, the ratio of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was 0.51, 0.98 and 0.80 respectively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y, while at N1, ANS, A point, that was 0.72, 0.49 and 0.26 but did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is result shows much the same change of the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movement on the upper nasomaxilla, and less the same change on the lower maxilla and so the Le Fort II osteotomy can be recommended as a reliable effective operation method for correction of nasomaxillary retrusion.

  • PDF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premolar positions in Angle Class I subjects with different vertical facial type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Duan, Jun;Deng, Feng;Li, Wan-Shan;Li, Xue-Lei;Zheng, Lei-Lei;Li, Gui-Yuan;Bai, Yan-Ji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80-189
    • /
    • 2015
  • Objective: To compare the positions of the mandibular premolars in Angle Class I subjects according to vertical facial type. The results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predicting effective tooth movement i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120 Angle Class I subjects.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short, normal, and long face types according to the Frankfort mandibular angle. Parameters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right premolars and the mandible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axis and buccal cortex,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buccal cortex, angle of vestibularization, arc of vestibularization, and root apex maximum movable distanc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hort face type than in the long and norm face type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axis and buccal cortex, the distance from root apex to buccal cortex, and the arc of vestibulariza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hort face type than in the normal face type. Conclus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premolar positions in Class I subjects according to vertical facial type.

The Application of Make-up through Optical Illusion - Focused on Lineal Illusion -

  • Cho, Ko-Mi;Cho, Jin-A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6호
    • /
    • pp.57-66
    • /
    • 2003
  • With the occurrence of interest in image-presentation that helps express one's individuality in several place in our society, it has affected make-up field. Now, make-up is getting to be recognized as a key role player that reflects our social and cultural concerns not only by presenting a appropriate one that is proper when to use and what for, but also presenting individualistic images that are able to express one's attractiveness free from a last plain concept that meant merely applying cosmetics to one's face is makeup. Like above, the reason that a change for consciousness of the function of make-up was possible is a noticeable outcome tha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make-up. In other word, with the help of Corrective Make-up that makes use of optical illusion, the analytic research for features could have been carried out systematically, therefore, women get to present their beauty of innate facial shape and features at their pleasure.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rrective Make-up, which was introduced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existing make-up take advantage of lines and colors that are part of the optical illusion. The nature of direction and movement was expressed by the direction and angle of lines and the colors are also able to induce the variation of images depend on the whole color around them or contrastive color around. This thesis is mainly about optical illusion through lines that are part of elements that induce the optical illusion and deals with phenomena that occur when we apply lines that are part of design into the make-up. And this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ast basis of make-up more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variation when we apply the nature of lines into our features and deriving facial image variation from it. This is also for study into the role of make-up as for psychological effect that is able to make facial images look different when the optical illusion with possible visual errors is applied into it. In conclusion, we can say "Make-up is optical illusion through visual elements such as lines, surfaces, books, touch and so on."

가상 아바타의 각막면에 비친 반사영상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 요소 (Realistic Expression Factor to Visual Presence of Virtual Avatar in Eye Reflection)

  • 원명주;이의철;황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15
    • /
    • 2013
  • 최근 가상환경에서는 실재감 있는 인간의 얼굴 모델을 설계하기 위하여 얼굴의 형태나 근육의 움직임과 같이 단순히 일반적인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모델링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얼굴 자체의 외형적 요소 이외에도 외적 요소에 의한 얼굴 부분의 변화 인자는 가상 아바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각막면에 비친 반사영상(eye reflection)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한다. 실험결과, 각막면의 반사율을 크게 하여 반사영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표현요소의 구체적인 표현 범위를 제시함으로써 사실적인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기 혼합치열기에서의 Face mask의 임상적 적용 (FACE MASK THERAPY IN EARLY MIXED DENTION)

  • 이창주;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3-648
    • /
    • 2001
  • III급 부정교합은 전치가 수평적으로 반대로 물리는 양상 때문에 치과의사뿐만 아니라 일반인에 의해서도 쉽게 발견되므로 비교적 조기에 치과를 찾는 빈도가 높다. 이러한 III급 부정교합 치료 시에 치과의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정형적 Face mask는 III급 부정교합에 기여하는 모든 요소 즉, 상악골 후퇴, 하악전돌, 낮은 전방하안면고경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폭넓게 적용가능하고 가장 짧은 기간에 극적인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부분의 발육중인 III급 증례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원에 내원한 III급 부정교합 환아에서 Face mask를 적응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치부 반대 교합이 상악골의 전방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에 의해 해소되었다. 2. 경조직, 연조직에서 안모의 개선이 나타났다.

  • PDF

모바일 기기에서의 얼굴 특징점 및 선형 보간법 기반 시선 추적 (Gaze Detection Based on Facial Features and Linear Interpolation on Mobile Devices)

  • 고유진;박강령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089-1098
    • /
    • 2009
  • 최근에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파악하여 더욱 편리한 입력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 연구들은 큰 모니터를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에서 시선 추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근 이동단말기의 사용 증대로 이동 중에 시선 추적에 의한 단말기 제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형 컴퓨터 (Ultra-Mobile PC) 및 컴퓨터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추적하고, 얼굴내의 특징점의 위치를 능동외관모델 (Active Appearance Model)을 기반으로 추적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독창성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소형 화면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점과 정밀한 얼굴 특징점 검출을 위하여 능동외관모델을 사용한 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초기 캘리브레이션시 얻어진 특징값을 기반으로, 입력 특징값들을 정규화 함으로써, Z거리에 따라 시선 위치 정확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험결과, 약 1.77도의 시선 오차를 발생하였으나, 추가적인 얼굴 움직임에 의한 마우스 움직임 기능으로 이러한 시선 오차는 더욱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