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cial growth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6초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른 경부견인 헤드기어의 효과에 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effect of cervical pull headgear based on facial growth patterns)

  • 강은하;장종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3-510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경부견인 헤드기어(cervical pull headgear)를 사용할 때, 치료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언급되는 효과들이 실제로 발현되는지의 여부와 안모의 성장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알아 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삼성서울병원 치과교정과에서 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경부견인 헤드기어로 치료받은 환자중, 성장기에 있으면서 비발치 치료를 받은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을 "후안면/전안면 고경비" 에 따라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직성장군 15명(남자 5명, 여자 10명)과 수평성장군 11명(남자 4명, 여자 7명)의 치료전, 후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서 SN-PP angle, SN-GoGn angle, SN-MP angle, PFH/AFH ratio, SN to 6, PP to 6 등을 계측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수직성장군에서 구개평면이 전하방으로 경사되었다. 2)수평성장군에서 후안면/전안면 고경비가 증가하였다. 3)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 모두에서 하악평면각은 변화하지 않았다. 4)상악대구치의 정출양에 있어서 수직성장군과 수평성장군의 차이는 없었다.

  • PDF

Comparison of condylar displacement between three biotypological facial groups by using mounted models and a mandibular position indicator

  • Ponces, Maria Joao;Tavares, Jose Pedro;Lopes, Jorge Dias;Ferreira, Afonso Pinha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312-319
    • /
    • 2014
  • Objective: Facial-type-associated variations in diagnostic features have several implications in orthodontics. For example, in hyperdivergent craniofacial types, growth imbalances are compensated by displacement of the condyle. When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nvolves centric relation (CR), detailed knowledge of the condylar position is desirable. The present study aimed to measure condylar displacement (CD) between CR and maximum intercuspation in three facial types of an asymptomatic orthodontic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108 patient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36 individuals each (27 women and 9 men; mean age, 20.5 years), based on the following facial patterns: hyperdivergent, hypodivergent, and intermediate. To quantify CD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the condylar position was analyzed using mounted casts o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and a mandibular position indicator. The Stu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CD between the groups. Results: Vertical displac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yperdivergent and hypodivergent groups (p < 0.0002) and between the hyperdivergent and intermediate groups (p < 0.0006). The differences in horizontal displacement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In each group, vertical CD was more evident than horizontal displacement was. Conclusions: All facial types, especially the hyperdivergent type, carried a significantly high risk of C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D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considered in the assessment of all orthodontic cases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jaw relationships and avoid possible misdiagnosis.

부정교합 아동의 성장에 따른 연조직 측모의 변화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CHANGES - Study report from 9 to 13 years of age -)

  • 장병천;김정민;경희문;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7-97
    • /
    • 1989
  • 연조직 측모의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양상을 정확히 규명하고자 정상적인 안모 및 교합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9세 아동 남자 29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2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얻어진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연령에 따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조직 측모의 평가에서 soft tissue facial angle, total facial convexity angle은 연령증가에 따른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었으며 기타 항목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연조직 후경은 연령증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두안부의 하안면부(point B, pog) 보다는 구순부(point A, LS, LI)에서의 증가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안면고경의 바율은 GL'-Sn/Sn-Me' 1:1, Sn-St/St-Me' 0.51:1, Sn-LI/LI-Me' 0.82 : 1 로 연령증가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Antegonial notch depth 에 따른 하악골 성장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cephalometric study on the depth of the mandibular antegonial notch as on indicator of mandibular growth pattern)

  • 강신애;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7-93
    • /
    • 198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isclose whether the depth of the mandibular antegonial notch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mandibular growth potential. The patients composed of 76 samples and were classified following 3 groups, based on the depth of mandibular antegonial notch : Deep notch group (more than 3mm), Neutral notch group (1-3mm), Shallow notch group (less than 1mm). For each case, the first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prior to the start of treatment and the second films 3-4 years af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eep notch group had a shorter corpus, less ramus height and greater genial angle than did Shallow notch group. 2. Deep notch group had a more retrusive mandibular position than Shallow notch group. 3. Deep notch group had longer total anterior facial height and longer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group. 4. Deep notch group grow vertical clockwise growth pattern, while Shallow notch group grow horizontal counterclockwise growth pattern. 5. Deep notch group had less mandibular growth than Shallow notch group during observation period.

  • PDF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제 2 세부과제 : 두개 및 안면 연조직의 성장변화 (SEMI-LONGITUDINAL STUDY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6 TO 17 Part II :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SOFT TISSUE)

  • 박영철;이기준;한희경;이장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40
    • /
    • 1996
  • 현대의 교정치료에 있어 치열궁의 문제뿐 아니라 안모에 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안모형태를 결정하는 연조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과거의 교정학 발달을 살펴볼 때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통한 경조직성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으나 연조직 성장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러한 연구는 연구대상자 수와 분석방법, 계측방법에 있어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이고, 성장변화에 대한 연구는 태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남.녀 6세에서 17세 사이의 악안면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의 일부로 시행되었으며 3년간에 걸쳐 전신질환이 없고 발육상태가 양호하며 정상교합을 갖는 6-17세의 남자 409명과 여자 43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아동의 성장에 따른 안면부 연조직의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두개안면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안모의 형태, 입술의 위치 및 형태, 코의 형태 그리고 입술의 두께 등을 계측한 후 연령별, 성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도표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론 1. 일반적으로 안모의 형태(facial form)는 여자에서보다 남자에서 더 장기간 성장이 지속되었으며 안면의 상부에 비하여 안면 하부구조의 길이가 더욱 큰 증가율을 보였다. 2. 상순과 하순의 두께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나, 서양아동에 비하여 돌출된 입술의 양상을 보였다. 3. 코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4. 하안면부의 수평적인 두께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상순의 비저부위의 두께[A-Sn(FH)]의 성장이 다른부위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 PDF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른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 평가 (Evaluation of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Types and the Sex of Growing Children)

  • 조선경;김병화;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14-424
    • /
    • 2021
  •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인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라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184명의 8 - 14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성별 간 비교를 위해 3개의 군을 각각 남아와 여아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는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은 수평적 성장군보다 경추골 및 수완부 골의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치아 성숙도는 수직적 성장군에서 가장 높았다. 남아보다 여아에서 골격적 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치아 성숙도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수직적 안모 형태 분석은 교정치료 시작 시기 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정상 교합자의 세가지 안면 성장유형에 따른 ODI, APDI의 변화 (A Longitudinal change of ODI and APDI on Three Facial Growth Pattern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이선령;박경덕;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7-568
    • /
    • 1996
  • 본연구는 안면성장유형에 있어서의 피개교합심도지수, 전후방부조화지수의 성장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 보기 위하여 정상교합자 남자 19명, 여자 14명의 10년간 격년으로 촬영한 두부 X-선 규격사진을 Y-axis의 연구기간동안 총변화량에 따라 Drop, Neutral, Forward의 세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각 계측항목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남녀 각 안면유형에서 각 연령군의 각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cdot$ 안면유형에 따른 세 그룹간 비교에서 전후방부조화지수와 피개교합심도지수는 전 연령구간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 전 연령구간에서 Drop, Neutral, Forward의 크기순으로 나타났다. $\cdot$ 피개교합심도지수와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전연구기간동안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없이(p>0.05) 안정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cdot$ Y-axis의 총변화량과 각 계측항목의 상관성 조사에서 A-B plane angle, Fac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었고(p<0.05)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여자에서만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p<0.001)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 PDF

실험으로 유도된 구개열 마우스의 안면골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AL BONE GROWTH OF PALATAL CLEFTS EXPERIMENTALLY INDUCED IN MICE)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29-342
    • /
    • 1988
  • In methods of finding causes for cleft palate, many cases have been studied by investigators using teratogenic agents. Among them, a synthetic agent known as triamcinolone acetonide (TA) was widely used. When this drug was injected into mice during palatogenesis, it induced lowered body weight and a deformed mandible. But many cases have been studied on growth changes, only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alat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raniofacial growth in experimentally induced cleft palate mice after finishing palatogenesis namely just before birth. Normal, alcohol treated, and TA treated DDY mice were obtained at 18-days of gestation and heads were prepared for serial sectioning in the sagittal plane. The midsagittal sections were photographically enlarged (${\times}40$) and measurements made to asses the amount of growth.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left palate was 41.2% when TA was injected. 2. The body weight of the cleft palate group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3. In the cleft palate group, mandibular length (H-M) was lighter than the control group. 4. In the cleft palate group, degree of staining was not distin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the double staining method. 5. In the cleft palate group, anteroposterior posture of the tongue tip to facial plane (C-M) was more posterior than the control group. 6. The cause of posterior posture of the tongue tip to facial plane (C-M) in the cleft palate group, was not short and retracted tongue but the mandibular length was increased. 7.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hyoid cartilage to cranial base was the same in all groups.

  • PDF

Changes in longitudinal craniofacial growth in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s using the Ricketts analysis

  • Bae, Eun-Ju;Kwon, Hye-Jin;Kwon, Oh-W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7-87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the Korean norm values for the Ricketts analysis. Methods: In this longitudinal study, lateral cephalograms of 31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biennially from ages 9-19 years.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arameters for which the 10-year change did not exceed one standard deviation were defined as unchang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measured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r each age group.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in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olar relationship, incisor overjet, incisor overbite, mandibular incisor extrusion, interincisor angle, lower incisor tip (B1) to A point-Pogonion (A-PO) plane, upper incisor tip (A1) to A-PO plane, B1 inclination to A-PO, A1 inclination to A-PO, B1 inclination to Frankfurt plane (FH), convexity, lower facial height, facial axis, maxillary depth, maxillary height, palatal plane to FH, cranial deflection, ramus Xi position, or porion location. Continual changes over the 10 years of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distal position to pterygoid true vertical plane,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to FH, anterior cranial length, mandibular arc, and corpus length. Conclusions: Clinicians can apply the Korean norms at age 9 as determined in this study when using the Ricketts analysis. The patient's ag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their sex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rawing visual treatment obj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