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FAUNA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산 보통검물벼룩속(요각아강, 검물벼룩목, 검물벼룩과)의 분류 (Taxonomy on Genus Mesocyclops (Copepoda: Cyclopoida: Cyclopidae) from South Korea)

  • 이지민;전진모;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93-110
    • /
    • 2005
  • 한국 담수산 검물벼룩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보통검물벼룩(Mesocyclops)속의 5종을 분류하였다: 보통검물벼룩 (M. leuckarti) 갈고리보통 검물벼룩 (M. pehpeiensis), 꼭지보통검물벼룩 (M. dissimilis), 민가시보통검물벼룩 (M. woutersi), 털줄보통검물벼룩 (M. mariae). 이 중 뒤의 3종은 한국미기록 종이다. 이들 5종의 분류학적 미세 형질과 종내 변이성을 검토하였다. 한국산 보통검물벼룩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태국 중부지역의 열대 담수어류상 (Tropical Freshwater Fish Fauna of Central Thailand)

  • 최준길;최재석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05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태국 (Thailand) 중부지역의 4개 수역인 Eastern, Chao Phraya, Peninsular, Maeklong 수계를 흐르는 하천에서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160개 조사지점에 대하여 어류상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8과 124종이 확인되었다. Eastern과 Peninsular수역에서 각각 33종, 42종이 출현하였고 Chao Phraya와 Maeklong수역에서 52종과 91종이 확인되었다 4개 수역에서 모두 출현한 종은 Brachydanio albolineatus, Rasbora paviei, Systomus binotatus, Homaloptera smithi, Monopterus albus, Macrognathus circumcintus, Channa gaucha 등 7종이었다.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 Kim, Say-Wa;Han, Myung-Soo;Lee, Kyung;Choi, Young-Kil;Yoo, Kwang-Il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41-144
    • /
    • 2002
  •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has prevented seawater from backwarding to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since 1990. Field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have been carried out three times with two month interval in the summer and autumn in 2000 at three selected stations in Kum river estuary. Blockade of seawater flowing backward to upstream caused sharp contrast of zooplankton fauna and phytoplankton flora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iver mouth dam. Freshwater cladocerans i.e., Bosmina longisrostris and Daphnia galeata dominated in the upstream, and marine copepods of Acartia omorii and Paracalanus crassirostris occurred abundantly in downstream of the dam. Freshwater diatoms did not distribu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except Melosira varians, while marine diatom of Cylidrotheca closterium occurred in benthic waters bath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dam.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 mouth dam seems to play an ecological role to blockade the input of marine organism into the upstream in Kum river estuary.

한국 담수산 수형동물 V. Brachionidae의 2속 Keratella와 Notholca(Rotifera : Monogononta) (Rotifera frm Korean Inland Waters V. Keratella and Notholca of Brachionidae (Rotifera: Monogononta))

  • Chung Chung Eui;Yoo Hung Bin;Kim Seok Y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211-222
    • /
    • 1992
  • 한국 담수산 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90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전국 일대에 산재해 있는 댐, 호수, 저수지, 연못, 논, 웅덩이 등을 대상으로 총 205개 지점에서 채집을 실시하여 조사한 결과, Brachionida 과의 Keratella 속에 3아종 3형과, Notholca 속에 1아종이 밝혀졌는데, 그중 Keratella 속의 1형 Keratella quadrata f. testudo가 한국 미기록으로 판명되어 기극과 함께 도판을 작성하였고, 본 연구에서 확인된 Keratell와 Notholca 속에 속하는 종들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고 (재)기재하였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록된 한국산 수형동물은 총 2강 4목 14과 40속 135종, 15아종, 9변종, 10형이 된다.

  • PDF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담수어류상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Yeosu Peninsula and Geumo Islands, Korea)

  • 채병수;윤희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5-235
    • /
    • 2007
  • 여수반도와 금오열도의 섬들 중 하천이 발달한 돌산도, 금오도, 개도의 39개 지점에서 2003년과 2005년에 걸쳐 담수어류상과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 내의 하천들은 대부분 길이가 짧고 유폭이 좁았다. 주된 하상구성물질은 cobble, pebble, gravel이었으며, 하구에 인접한 곳은 주로 gravel과 sand로 되어 있었다. 39개의 조사지점 중 상류형인 Aa형이 18지점으로 가장 많았다. 담수어류상의 조사에서 모두 16과 39종 3,397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생활형 구분으로는 일차담수어가 27종(69.2%), 주연성 어종 9종(23.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과별 어종구성은 Cyprinidae가 12종(30.8%), Gobiidae가 10종(25.6%)으로 많았다. 한반도 고유종은 Rhodeus uyekii 등 8종이 확인되었는데, 여수반도에서는 8종 모두 나타났고 금오도에서는 1종, 돌산도와 개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외래종은 Lepomis macrochirus 1종이 출현하였다. 각 지구별 우점종을 보면 여수반도에서는 Zacco temminckii, 돌산도에서는 Rhinogobius brunneus, 금오도에서는 Leucopsarion petersii, 개도에서는 Oryzias latipes가 우점종이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여수반도가 가장 다양하고 안정된 집단의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섬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다양도와 풍부도가 떨어졌다. Kichulchoia brevifasciata가 본 조사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본 지역에서는 절멸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Acanthorhodeus gracilis와 L. petersii는 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분포가 알려지게 되었다.

섬진강의 어류상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Korea)

  • 박세권;주현수
    • 환경생물
    • /
    • 제33권3호
    • /
    • pp.314-329
    • /
    • 2015
  • 섬진강의 본류와 지류를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어류상을 연구한 결과, 총 13목 41과 81속 107종 37,751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어류 중에서 1차 담수어류는 57종 (53.3%), 2차 담수어류는 10종 (9.3%), 해산어류는 40종 (37.4%)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8.7%),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5.0%)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전체 21종 (31.3%)이 출현하였으며 보성강 수계에서 19종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급인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II급인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와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등 3종이었다. 외래종은 모두 3종으로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및 베스 Micropterus salmoides였다.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는 섬진강 수계에 이입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낙동강 수계 임하호의 어류상 고찰 (Review on the Fish Fauna of the Imha-Dam Reservoir in the Nakdonggang River System, Korea)

  • 정충훈;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4
    • /
    • 2018
  • 낙동강 수계의 임하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다양성과 종 목록을 고찰하고자 1992년부터 2016년까지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하호 내에서 출현한 전체 어류는 총 4목 11과 36속 46종 23,269개체가 보고되었다. 잉어과가 27종(58.7%), 미꾸리과 5종 (10.9%), 망둑어과 3종 (6.5%), 메기과, 꺽지과, 검정우럭과가 각각 2종(4.3%)씩 보고되었다. 우점종은 9,333개체 (40.1%)가 출현한 강준치였고, 아우점종은 2,281개체(9.8%)가 출현한 끄리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유종은 17종으로 출현어종 46종의 37.0%를 차지하였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3종, 국내이입종은 5종, 외래종은 3종이 보고되었다.

서해로 유입되는 독립하천의 어류상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전남과 전북을 대상으로 (Fish Fauna and the Health Assessment of Independent Stream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in Korea: a Case of the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 김진재;주현수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33-544
    • /
    • 2017
  • 본 연구는 서해로 유입되는 전남과 전북의 24개 독립하천들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어류상을 조사하고, 생물 및 비생물 평가지수(BAc index)를 선정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출현 어류는 총 18과 44속 59종 4,127개체가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로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Rhodeus uyekii) 등 12종이었다. BAc index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1 또는 0.05)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단계별 분포는 보통 단계(Fair)가 41.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양호 단계(Good)와 불량 단계(Poor)는 20.8%, 최적 단계(Excellent)는 16.7%로 각각 나타났다. 독립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은 생물학적 평가지수보다 지형적 특성, 인위적 자연적 제한 요소에 따른 비생물학적 평가지수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The freshwater Ichthyofauna of Deogyusan National Park, Enclosing Baekdudaegan)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6-332
    • /
    • 2004
  • 백두대간 중 덕유산 중심의 무주군과 장수군, 거창군과 함양군 일원에서 발원하는 낙동강 및 금강 수계의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2003년 5월부터 9월까지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14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몰개, 왕종개, 꺽지, 동사리를 포함한 5과 15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금강수계에서는 14종이, 낙동강 수계에서는 7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돌고기, 버들치, 갈겨니, 미꾸리, 꺽지 그리고 동사리로서 6종이었다. 이들 중 우세종은 갈겨니와 버들치였다. 기존의 백두대간에 관한 연구는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향후 동ㆍ식물이 하천통로에 공존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석을 제시코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