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P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4초

STRUCTURAL ANALYSIS OF RAPAMYCIN'S ROLE IN BINDING FKBP12 AND FRAP

  • Park, Jungwon;Jie Chen;Stuart Schreiber;Jon Clardy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6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9
    • /
    • 1996
  • The immunosuppressive and cell cycle arrest agent rapamycin works by binding together two proteins: the FK506 binding protein (FKBP12) and the FKBP-rapamycin associated protein (FRAP). A 2.7 $\AA$ resolution crystal structure of the triple complex of human FK506 binding protein (FKBP12), rapamycin, and FKBP12-rapamycin binding domain (FRB) of FRAP, reveals two proteins bound together through rapamycin' s ability to simultaneously occupy two different hydrophobic binding pockets. (omitted)

  • PDF

토종 복분자 Rubus coreanus와 외래종 복분자 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occidentalis)

  • 김이선;윤상혁;김지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57-13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의 항산화 활성과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사람의 장내 세포인 Caco-2 cell에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자극시켜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를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assay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도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토종과 외래종 복분자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 역시 외래종 복분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AP value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RAP value가 높았던 외래종 복분자 100% EtOH 추출물이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장세포 산화스트레스 보호능 모두 높은 추출물로 확인되었다.

β-Carotene과 Lycopene의 양자역학 및 화학적 항산화능과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nd Chemical Antioxidant Activity of β-Carotene and Lycopene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 박선영;정하나;진창호;황금택;곽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43-1150
    • /
    • 2017
  • 본 연구는 ${\beta}$-carotene과 lycopene의 양자역학 및 화학적 항산화능과 세포 내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beta}$-Carotene과 lycopene의 항산화능을 양자역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lycopene의 항산화능이 ${\beta}$-carote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산화능의 차이는 FRAP로 측정하였을 때도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Trolox와 비교했을 때 ${\beta}$-carotene과 lycopene의 FRAP 수치는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LPS에 의한 세포 내 ROS 생성을 낮추는 데는 두 카로티노이드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비교한 ${\beta}$-carotene과 lycopene의 양자역학적 항산화능은 화학적 항산화능을 일부 반영하지만, 실제 세포 내 ROS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저하 효과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온도에 따른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Sparassis crispa Depending on Extraction Temperature)

  • 이다솜;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17-16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 온도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부위별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총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FRAP 활성, 환원력 실험에서는 $95^{\circ}C$에서 추출한 꽃송이버섯의 균사체가 가장 높은 함량과 활성을 보였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60^{\circ}C$에서 추출한 꽃송이버섯의 균사체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95^{\circ}C$에서 추출한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동일한 부위에서 추출 온도별로 비교하였을 때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에서는 $60^{\circ}C$에서 추출한 꽃송이버섯보다 $95^{\circ}C$에서 추출한 꽃송이버섯에서 더 높은 함량과 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한 추출 온도에서 부위별로 비교하였을 때는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 환원력 실험에서 균사체가 자실체보다 더 높은 함량과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추출 온도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6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보다 $95^{\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가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자실체보다는 균사체에 더 많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주로 이용되는 자실체뿐만 아니라 균사체에도 많은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온도에서 추출했을 때 그 성분의 용출이 더 용이해짐을 알 수 있어 이를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의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서의 이용과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왕겨초액의 산화억제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haff Vinegar Liquor)

  • 남동윤;이시림;박철홍;박규식;남상헌;허진철;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0-434
    • /
    • 2010
  • 왕겨초액은 최근 목초액을 대신할 수 있는 소재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왕겨초액과 목초액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왕겨초액과 홍삼 및 로즈마리 농축액과의 발효를 통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와 FRAP 활성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왕겨초액의 항산화 활성은 목초액 보다는 다고 미흡하나, 로즈마리와의 동시 발효를 통해 왕겨초액의 항산화 활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취 제거로 인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FDY003의 항산화활성 및 표준화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Standardization of FDY003)

  • 이대연;김완수;이호성;이영우;조주휘;이인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12-1121
    • /
    • 2019
  • Objectives: FDY003 is a raw material for medicine consisting of a natural product that is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s of low side effects and high efficacy. In this study, we predict the efficacy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drug by method validation of anticipated index compounds and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FDY003 is prepared by extracting and purifying 70% of ethyl alcohol (EtOH). The method validation of cordycepin and chlorogenic acid w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 diode array (HPLC-PDA) and the content of FDY003 was calculated. In order to monit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FDY003,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 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The equivalent values of antioxidants such as trolox, ascorbic acid, gallic acid, and caffeic acid were measured by ABTS and FRAP. Results: Chlorogenic acid and cordycepin were both found suitable for method validation in HPLC and FDY003 containing 9.92±0.50 and 17.97±0.27 ㎍/g, respectively. In DPP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value of FDY003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FDY003 confirmed antioxidant activity by ABTS and FRAP. Conclusions: FDY003 contains certain components including cordycepin and chlorogenic acid and has antioxidant ability by various mechanism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DY003 is capable of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ctivity.

아로니아, 블랙커런트, 마키베리의 기능성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Blackcurrant, and Maquiberry)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22-1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블랙커런트, 마키베리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안토시아닌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활성, 환원력,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마키베리가 73.66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아로니아 59.26 mg GAE/g, 블랙커런트 43.70 mg GAE/g 순이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마키베리 28.08 mg/g, 아로니아 24.26 mg/g, 블랙커런트 16.82 mg/g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마키베리가 12.8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아로니아와 블랙커런트가 각각 9.52 mg/g과 8.95 mg/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키베리는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환원력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시료 농도 5 m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다음으로는 아로니아가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블랙커런트는 대부분의 기능성 실험 결과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키베리는 천연 항산화제 및 건강 기능성 식품재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Plasma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Comparing with Urinary 8-Isoprostane Level

  • Lee, Sang Gil;Wang, Taoran;Vance, Terrence M.;Hurbert, Patrice;Kim, Dae-Ok;Koo, Sung I.;Chun, Ock 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388-394
    • /
    • 2017
  • Although several analytical methods for measuring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have been applied to biological samples, there were often dissimilar results due to the different principles of methods applied. Thu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four conventional analytical methods for measuring plasma TAC, including the ABTS assay, DPPH assay, FRAP assay, and ORAC assay, by comparing with urinary 8-isoprostane concentration. In addition, TAC results were compared with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erythrocyte, and catalase in plasma. Plasma TAC measure by ABTS assay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result by FRAP assay. Plasma TAC by FRAP and ORAC assay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rythrocyte SOD activity. The agreement among the four TAC assay methods and 8-isoprostane was determined using 95% prediction limits of linear regression, expressed as the mean of 8-isoprostane ${\pm}95%$ prediction limits. The ABTS method better agreed with 8-isoprostane than the other methods, demonstrating narrow prediction of limits. Furthermore, only plasma TAC determined by the ABTS assa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urinary 8-isoprostane (r = -0.35, p < 0.05). In summary, the ABTS assay would be an appropriate method to measure overall plasma antioxidant capacity and predict the body's antioxidant status.

오이풀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Biofunction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Leaves Ethanol Extract)

  • 박성진;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71-17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재배된 70% 오이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페놀릭 화합물과 항산화성(DPPH, ABTS, FRAP, 환원력)에 대해 실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19.3{\pm}1.54mg$ gallic acid and $59.6{\pm}1.43mg$ rutin를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릭 화합물의 주된 물질은 Catechin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이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성 및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서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해조류 청각(Codium fragil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weed Sea Staghorn(Codium fragile) Ethanol Extract for Antioxidant)

  • 이주희;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67-472
    • /
    • 2019
  • 해조류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섬유소가 풍부하며 녹조류에 속하는 청각(Codium fragile)은 청각과이며, 우리나라,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안에 분포해 있고 우리나라와 각국에서 식재료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활성, FRAP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6.25, 12.50, 25, 50, $100{\mu}g/mL$ 농도에서 0.83, 22.83, 38.27, 40.93, 45.60%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23.13, 33.63, 33.93, 44.07, 59.07%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RAP과 ABTS도 앞에서 했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천연 소재인 청각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