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PMIPv6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1초

안전한 NEMO 기반 PMIPv6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확장 인증기법 (Authentication eXtention Scheme of Fast Handover for Secure NEMO-based PMIPv6 Networks)

  • 임일균;정종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7-11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을 지원하는 NEMO(NEwork MObility)와 네트워크 기반의 PMIPv6(Proxy Mobile IPv6)가 결합된 유 무선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안을 강화하고 암호계산과 인증지연 비용을 줄이는 가벼운 키 베이스의 $SK-L^2AS$(Symmetric Key-Based Light-Local Authentication Scheme)인증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PMIPv6에서 핸드오버 지연 단축을 위해 빠른 핸드오버 기법을 적용하였고, 지원되지 않는 전역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X-FPMIPv6(eXtension of Fast Handover for PMIPv6)으로 확장 개선하였다. 더불어, 인증과 시그널링의 신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Piggybacks 방식을 적용하여 SK-L2AS과 X-FPMIPv6을 통합한 AX-FPMIPv6 (Authentication eXtension of Fast Handover for PMIPv6)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AX-FPMIPv6 기법은 성능분석 결과 인증과 핸드오버 지연에서 기존 기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OAI PMIPv6를 이용한 FPMIPv6 테스트베드의 구현 및 분석 (An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FPMIPv6 Test Bed Using OAI PMIPv6)

  • 도미솔;;박창용;손민한;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8-721
    • /
    • 2012
  • PMIPv6 (Proxy Mobile IPv6)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로 MN (Mobile Node)의 이동성 프로토콜 스택 유무와 관계없이 MN의 이동성을 지원한다. 하지만 핸드오버 과정에서 이동성 관련 시그널링을 완료할 때까지 지연이 발생하고 핸드오버 동안 MN으로 향하는 패킷이 손실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으로 FPMIPv6 (Fast Handover for PMIPv6)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MIPv6의 오픈소스인 OAI PMIPv6 (OpenAirInterface PMIPv6)를 기반으로 FPMIPv6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MN의 핸드오버를 실험하여 실제 FPMIPv6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지연 및 패킷 손실 정도를 측정한다.

PMIPv6 빠른 핸드오버에서의 Out-of-Order 패킷 분석 (Out-of-Order Packet Analysis in Fast Handover for Proxy Mobile IPv6)

  • ;손민한;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7-289
    • /
    • 2013
  • Fast Handover for Proxy Mobile IPv6 (FPMIPv6), a protocol described in RFC 5949, is used to reduce handover latency and minimize packet loss problem occuring in the Proxy Mobile IPv6 (PMIPv6) protocol. However, during the study of implementing FPMIPv6, we found the Out-of-Order Packet (OoOP) problem that occurs in the experiment of FPMIPv6. Since the OoOP is an issue that affects significantly to QoS of the network,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OoOP problem by using network model. The analysis conducts the cause of occurring OoOP problem due to there exist two paths for data transmitted from Correspondent Node (CN) to MN in FPMIPv6.

이종의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이동성 QoS와 보안효과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관리 기법 (Mobility Management Scheme based on User Mobility QoS and Security-Effective Network in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 이형우;정종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7-97
    • /
    • 2015
  • 효율적인 이동성을 지원하는 MIPv6, FMIPv6, HMIPv6과 같은 호스트 기반의 이동성관리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이 논문에서 AAAC(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and Charging) 시스템을 적용한 보안효과적인 네트워크에 PMIPv6, FPMIPv6을 포함하는 기존의 IPv6을 비교분석 하며 IPv6 MMP(Mobile Management Protocol)의 특징과 성능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IPv6 MMP 성능을 전송 끊김의 확률, 패킷 손실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동성과 QoS의 통합을 위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QoSB의 사용법을 제시하였다. 평가결과는 전체적으로 빠른 핸드오버 구조의 이동성 관리 기법들이 좀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별히 PMIPv6와 FPMIPv6가 여러 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빠른 핸드오버 구조의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관리 기법이 최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프록시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 LMA도메인 간 핸드오버 기법의 보안성 분석 및 구현 (Security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Fast Inter-LMA domain Handover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 채현석;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2호
    • /
    • pp.99-118
    • /
    • 2012
  • PMIPv6는 기존 프로토콜과는 다르게 MN이 이동성의 주체가 아니라,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이 MN의 이동성을 보장해준다. MN이 해야 했던 일들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대신 수행해줌으로써 MN은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그중에서PMIPv6(Proxy Mobile IPv6)[1]프로토콜에서 인증, 권한 검증, 과금을 지원하는 AAA 프로토콜을사용하여 이동성과 MN장치의 보안성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MN장치의 보안성을 제공하고 패킷손실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보호되지 않는 시그널링 메시지에 대한 보안 위협이 있으며, 도메인간의 전역 이동성은 지원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You-Lee-Sakurai-Hori의 ESS-FH 기법과 Kang-Park[3] 기법을 분석하여 PMIPv6 환경에 적용하여 AAA 프로토콜을 통해 각 객체간의 상호인증과 비밀키 설정 및 관리를 통해 안전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서비스 거부 공격 및 리다이렉트 공격으로부터 안전함을 설명하고, 논리적인 BAN로직 도구를 이용하여 및 이동성 모델링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PMIPv6 환경하에서 도메인간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하다.

Analytical Approach of New Random-walk Ba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IP-based Mobile Networks

  • Song, Myungseok;Cho, Jun-Dong;Jeong, Jongp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13
    • /
    • 2014
  • In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s, provisioning of IP-based network architecture and seamless transmission services are very important issues for mobile nodes. For this reason, a mobility management mechanism to support global roaming is highly regarded. These technologies bring a broader life by using a global roaming account through the connection of multiple devices or technology to mobile users; they also provide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of fast handover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F-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 Proxy Mobile IPv6 (PMIPv6), and fast Proxy Mobile IPv6 (FPMIPv6) using the fluid-flow model and random-walk model. As a result, the location update cost of the PMIPv6 and FPMIPv6 is better than that of HMIPv6 and F-HMIPv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s superior to the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n the mobility environment.

사물인터넷(IoT)환경에서 센서 노드들의 이동성 관리 방안에 관한 제안 (Proposal of a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sensor nodes in IoT(Internet of Things))

  • 박승균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9-64
    • /
    • 2016
  • IETF에서 표준화한 6LoWPAN(IPv6 over Low Power Wireless Sensor Network)는 무선 센서 노드들의 이동성을 지원 하지 못한다. 무선 센서 노드가 CPU, 메모리, 배터리 사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Mobile IPv6와 같은 기존의 프로토콜들을 적용하기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센서 노드들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핸드오버 절차 수행을 호스트가 하지 않는 FPMIPv6(Fast PMIPv6)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6LoWPAN와 연동하는 새로운 이동성 관리 구조와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동을 위해 6LoWPAN에서 현재 사용되지 않는 dispatch code pattern의 사용을 제안하였으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인증 지연으로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줄이고 재전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센서 노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MAG과 MAC, MAC와 AAA 사이에 임시 보증(temporary guarantee) 및 트러스트 관계(trust relationship)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인증절차와 구조는 인증 지연으로 인한 핸드오버 절단과 패킷 손실 및 재전송을 크게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기종 망간의 최적화된 플로우 기반 다중 무선 채널 지원을 위한 상황인지 수직핸드오버 네트워크 연구 (A Study on Context Aware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Supporting Optimized Flow Multi-Wireless Channel Service based Heterogeneous Networks)

  • 신승용;박병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
    • /
    • 2019
  • 최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향후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융합 콘텐츠 서비스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QoS가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트래픽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증가 문제를 선결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기종 망간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을 통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리소스 관리 및 이동성 지원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황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핸드오버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MIH기술을 활용하였으며, FPMIPv6 통합망에서의 계층형 이동성 관리기법 도입을 통한 지능형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한 ACLMIH-FHPMIPv6(Advanced Cross-Layering Algorithm for MIH over FHPMIPv6)설계기법을 제안한다.

Global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Seamless Mobile Multicasting Service Support in PMIPv6 Networks

  • Song, Myungseok;Cho, Jun-Dong;Jeong, Jong-P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2호
    • /
    • pp.637-658
    • /
    • 2015
  •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applications has followed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network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transfer-speed broadband and seamless mobile multicasting services betwee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Multicasting services support efficient group communications. However, mobile multicasting services have two constraints: tunnel convergence and handoff latenc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protocols and handoff method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 inter local mobility anchor (inter-LMA) optimized handoff model for mobile multicasting services in proxy mobility IPv6 based (PMIPv6-based) networks. The proposed model removes the tunnel convergence issue and reduces the router processing costs. Further, it the proposed model allows for the execution of fast handoff operations with adaptive transmission mechanisms.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e exhibits low packet delivery costs and handoff latency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chemes and ensures fast handoff when moving the inter-LMA domain.

F-PMIPv6 네트워크에서 지능적인 계층적 이동성 지원 기법 (Intelligent Hierarchical Mobility Support Scheme in F-PMIPv6 Networks)

  • 한성희;정종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4호
    • /
    • pp.337-34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i-FP(intelligent Fast PMIPv6)로 명명한 새로운 이동성관리 네트워크 기법을 제안한다. i-FP는 지역 이동성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했다. 하나의 도메인 내에서 MN(Mobile Node)을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i-FP에서는 PMIPv6(Proxy Mobile IPv6)의 세가지 네트워크 엔티티인 LMA(Local Mobility Anchor), MAG(Mobile Access Gateway), MN의 개념을 확장하여 기능을 추가했다. 세가지 네트워크 엔티티로 i-FP에서는 MN의 핸드오버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고 IP 헤더 스와핑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트래픽 오버헤드를 회피하여 네트워크 처리량을 증가 시킨다. i-FP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i-FP와 같은 로컬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인 HMIPv6(Hierarchical Mobile IPv6), PMIPv6까지 이상 총 세가지 기법으로 다양한 기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법의 성능을 측정 / 평가하였다. 성능평가 결과를 종합해서 i-FP가 트래픽 오버헤드가 없어지고 다른 비교 기법 대비 평균 라우팅 홉수 10.2%, 트래픽 시그널링 비용 58.5%, 핸드오버 지연은 16.3% 감소의 성능향상이 일어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