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OPOGRAPH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통계와 GIS를 이용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Stand in Korea Using Spatial Statistics and GIS)

  • 이종수;이우균;윤정호;송철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63-671
    • /
    • 2006
  • 본 연구는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수치 임상도와 현존식생도를 활용하여 $100m{\times}100m$ 격자 단위로 전국 단위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100m{\times}100m$ 래스터 격자 단위의 지형, 기후, 토양 관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이상의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분포도와 주제도간의 GIS 기반 공간 분석을 실시하여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공간분포 특성을 활용하여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출현빈도모델을 제시하였다. 소나무림의 경우 참나무류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고가 낮고 경사도가 완만하며 기온이 높은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나무림은 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화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한 반면, 참나무류림은 사양토, 보통 이하의 얕은 토심지역이며 배수가 양호한 변성암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지리형태학적 인자에 따른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의 공간분포 패턴을 회귀식으로 도출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형, 기후, 토양 등의 환경 요소를 고려한 소나무림과 참나무류림 임분의 합리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관통 터널 입출구부 위치와 훼손 면적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s of Tunnel Entrance and Areas Affected by Deforestation in the Forest in Korea)

  • 김동필;홍석환;최송현;이상철;안미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4-111
    • /
    • 2017
  • 터널은 산림 훼손면적이 다른 공법에 비해 입구부와 출구부만 훼손하면서 도로가 지하로 건설되기 때문에 훼손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터널 건설 시 산림이 훼손되는 터널입출구부를 중심으로 주변 지형과 관계를 살펴보고, 훼손면적을 최소화하고 지형 훼손을 저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진입유형별 훼손면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내 주요도로의 터널 150개를 선별하여 입구부와 출부구를 합쳐 300개 지점에 대해 진입유형을 구분하고 터널 진입부 훼손면적과 터널 상부 훼손면적을 산출하였다. 터널조성 위치에 따른 통계분석결과 진입유형별 훼손면적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경사면직교형은 다른 진입유형에 비해 터널입출구부의 훼손면적은 작았으며, 반대로 골짜기진입형, 경사면평행형은 다른 진입유형에 비해 훼손 면적이 크게 나타났다. 지형을 고려한 터널위치 선정은 터널 1개소 당 최대 약 1.5ha 정도의 산림훼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 서부권역 천연림의 산림피복형별 생태적 해석 및 종다양성과 지형조건 특성에 근거한 천이경향 추정 (Ecological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of Successional Trend by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versity and Topography for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Jirisan)

  • 정상훈;황광모;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37-546
    • /
    • 2014
  • 본 연구는 지리산 서부권역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7가지로 분류된 산림피복유형(신갈나무 순림형, 신갈나무-졸참나무림형, 중생혼합림형,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 들메나무림형, 졸참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별로 생태적 특성을 설명하고, 각 유형별로 천이경향을 추정하였다. 고도가 높은 능선에 분포하는 신갈나무 순림형과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의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낮게 나왔으며, 계곡에 주로 분포하는 중생혼합림형과 들메나무림형의 종다양성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성과 지형조건을 바탕으로 추정한 산림피복유형들의 천이경향은 다음과 같다. 1) 능선부의 신갈나무 순림형과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은 신갈나무-구상나무림형으로, 2) 능선부과 산복부 사이의 신갈나무-졸참나무림형은 신갈나무-서어나무-까치박달림형으로, 3) 산복부의 졸참나무림형은 졸참나무-신갈나무-서어나무림형으로 천이가 진행 될 것이라 예상된다. 4) 주로 계곡에 분포하고 있는 중생혼합림형, 들메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은 현재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목장림의 조성 및 관리 방안 - 인천가족공원을 대상으로 - (Construction and Management Directions of Woodland Burial Forest -Case Study of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

  • 오충현;김용훈;이숙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2
    • /
    • 2010
  • As social environment of Korea was changing, the cremation is increased instead of traditional funeral culture. Therefore woodland burial appears new funeral culture in Korea. This research had been executed to find ou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of woodland burial forest. The case study was worked at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which was national pilot projec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were surveyed in slope, soil compaction,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communities,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didn't consider the damage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environment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Problems for the Law on funeral facilities of Korea is a lack of natural friendly standards for slope, management 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facilities for users in it. It had steep topography, soil compaction, reduc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poor plant growth on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it increase in the future, vegetation environment of woodland burial will be devastated. And so we need to improve standards of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 settle down burial culture of woodland burial in Korea.

Insect Fauna of Adjacent Areas of DMZ in Korea

  • Kim, Seung-Tae;Jung, Myung-Pyo;Kim, Hun-Sung;Shin, Joon-Hwan;Lim, Jong-Hwan;Kim, Tae-Woo;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25-141
    • /
    • 2006
  • Insect fauna in adjacent areas of Demilitarized Zone (DMZ) in Korea was surveyed seasonally in $2001{\sim}2003$. The survey area was divided into 3 regions (eastern mountain, middle inland, and western coastal regions)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y. Sampling methods such as sweeping, sieving, beating, brushing and suction were us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and military conditions. Total 361 genera and 437 species of 116 families belonging to 14 orders were identified. Among these, 46 species were new to insect fauna of DMZ areas.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in the eastern mountain region. Numbers of habitat-common and -specific species were 96 (22%) and 195 (47.2%), respectively. The insect species community similarity was highest (0.64) between eastern mountain region and western coastal region. Insect orders showing high species richness were Coleoptera (38.9%), Lepidoptera (19.2%), Orthoptera (9.4%), and Hemiptera (9.2%).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formation for study of history on the change of insect fauna and future conservation in DMZ areas.

Application of a weight-of-evidence model to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Boeun, Korea

  • Moung-Jin, Lee;Yu, Young-Tae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70
    • /
    • 2003
  • The weight-of-evidence model one of the Bayesian probability model was applied to the task of evalua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GIS. Using the location of the landslides and spatial database such as topography, soil, forest, geology, land use and lineament, the weight-of-evidence model was applied to calculate each factor's rating at Boun area in Korea where suffered substantial landslide damage fellowing heavy rain in 1998, The factors are slope, aspect and curvature from the topographic database, soil texture, soil material, soil drainage, soil effective thickness, and topographic type from the soil database, forest type, timber diameter, timber age and forest density from the forest map, lithology from the geological database, land use from Landsat TM satellite image and lineament from IRS satellite image. Tests of conditional independence were performed for the selection of the factors, allowing the 43 combinations of factors to b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contrast value, W$\^$+/and W$\^$-/, as each factor's rating, were overlaid to map laudslide suscepti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alidated using the observed landslide locations, and among the combinations, the combination of slope, curvature, topographic, timber diameter, geology and lineament show the best result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hazard prevention and planning land use and construction

  • PDF

도심내 실개천 조성을 통한 생물서식처 복원방안 - 서울시 강남구 청담근린공원을 사례로 - (Biotope Restoration for a Brooklet Creation in Urban -Focusing on the Cheongdam Neighborhood Park -)

  • 강현경;이수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1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plan of creating a brooklet reflecting an water-friendly space as well as its function as the habitats of wildbird in Cheongdam Neighborhood Park in Seoul. Major fields of this study include a survey of the staus, a basic plan, a master plan, a execution; a survey of this site was focused on topography, water system, trail, existing vegetation, wildbird; a detailed plan was focused on flow plan, planting plan, facility plan.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Quercus mongolica-Q. acutissima forest,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opulus${\times}$albaglandulosa forest, artificial green space, urban area. 11 species and 49 individuals of wildbirds appeared in 2004(3~4month). The plan of creating a brooklet were divided passive-zone, eco-zone, and dynamic-zone. Environment elements of each space including a mountain stream, ecological pond, marshland, ecological landscape forest, wildbird observation trail, waterway etc. The brooklet of Cheongdam Neighborhood Park is rated high as an important space for wildbird biodiversity. Accordingly, continuous monitoring of this biotope as a urban habitat is required as the environment changes.

임분 특성에 따른 종가시나무의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Quercus glauca Thunberg according to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 홍남의;원경록;유병오;정수영;김병로;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67-775
    • /
    • 2016
  • 목재의 재질특성은 토양, 지형, 강우,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뿐만 아니라 임분 특성에 의해서도 바뀌게 된다. 지역 성림기원에 따라 종가시나무 목재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지역에 따른 비교분석은 전라남도와 제주도의 종가시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역에 따른 결과에서 제주지역은 전남지역에 비하여 높은 생장률을 나타내었으며 역학적 특성에서는 휨강도를 제외한 여러 역학적 특성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실제 값으로 볼 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림기원에 따른 결과에서는 생장률 및 역학적 특성에서 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본 Chichibu산지 계반림의 입지환경 (Riparian forest and environment variables relationships, Chichibu mountains, central, Japan)

  • Ann, Seo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100
    • /
    • 2003
  • In most mountainous parts of the temperate zone of Japan along the Pacific Ocean, some climatic climax forests, whose main dominant species is Fagus crenate, F. japonica or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are distributed. In the riparian regions of the zone, however, there appear summer green forests composed of the different species from the climatic climax forests. Clim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distribution of vegetation, but some environmental factors, i.e., topography, soil type, soil moisture content, etc. have a great influence on vegetation formation. Riparian forests seem to be controlled by various geomorphologic disturbances, such as landslide, soil erosion and accumulat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vegetation, soils and landform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riparian forests dominated by Fraxinus platypoda and Pterocarya rhoifolia establishment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central Japan. The study area extends an area of 302 ha with a range of elevation between 925 m and 1,681 m at the Chichibu mountains. The landforms were corditied at sampling grids (25 $\times$ 25 m, n = 4,843) using a hierarchical system,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forest soil classification was also given. The mutual relationship analysis indicated that forest soils and landfor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of riparian forest, and shaping the ultimate pattern of vegetation. At the study area, riparian forests were mainly found on the $B_E$ forest soil type and steep slopes ( > 30$^{\circ}$) at convex slopes along the stream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slo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parian forests. A mosaic of patchy distribution of those riparian forests on the slightly wetter $B_E$ forest soil type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tudy area. This particular soil which contained large talus gravels was found on the land formed by erosion and deposition of landslide.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고도모형에 근거한 광릉 산림 관측지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Gwangneung Forest Site Based o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EM)

  • 문상기;박승환;홍진규;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5-123
    • /
    • 2005
  • 농림생태계에서의 물과 탄소의 순환을 연구하려면, 먼저 관측지의 공간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복잡한 경관에 관측지가 위치한 경우에는 공간 특성의 이해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릉 산림 소유역의 지형, 식생 및 토양과 관련된 변수들의 공간적 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지형의 공간 특성을 산출하기 위해 수치고도 모형 (DEM)에서 계산된 고도, 경사 및 사면 정보를 분석하였다. 식생과 토양 정보는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제작된 지표 피복 지도를 사용하였다. 계절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1999년 6월 30일, 2000년 9월 4일, 2001년 9월 23일, 2002년 2월 14일의 네 위성 영상을 사용하였다. CO₂와 수증기의 플럭스 지수로서, 위성 영상으로부터 식생지수 NDVI를 세 격자 크기 (7km x 7km MODIS 격자, 3km x 3km 집중관측 격자, 1km x 1km 단위 격자)에 대해 각각 도출하였다. 반분산 분석에 근거해서 이 자료들을 사용하여 관측지의 비균질성의 공간 규모를 계산하였다. 예상한대로, 격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비균질성의 규모가 작아졌고, 식생의 계절 변화에 민감하였다. 40m 플럭스 타워가 위치한 두 단위 격자의 경우, 비균질성의 공간 규모는 200~1000m 이었고, 이러한 공간 규모는 모형에서 계산된 타워 플럭스 발자국의 기후도와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