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EA method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7초

건설업에서의 시공FMEA적용 방안 연구 (Approach to Method of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or Construction Industry)

  • 김윤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1-274
    • /
    • 2002
  • 산업체에서 이미 보편화되어 온 FMEA기법의 목적은 발생가능성이 있는 하자형태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미칠 고장 발생 요인을 우선 순위별로 사전에 제거하도록 이행하는 예방조치의 한 수단이다. FMEA는 초기 단계(Design 개념 설정시)에서 작성하는 Design FMEA와 양산되기 전에 시기 적절하게 작성하는 Process FMEA의 두 종류가 있다. (설계기능이 없는 공급자에게는 Process FMEA만 해당) 본 연구에서는 Process FMEA를 건설업의 시공분야에 적용하여 품질향상의 신뢰성을 높이고 Life Cycle Analysis, Risk Analysis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기본자료(DATA)를 축적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철도시스템 FMECA 수행 절차 및 분석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FMECA Process and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ailroad System)

  • 박권식;김태웅;정현용;박준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61
    • /
    • 2006
  • FMEA(Failure Mode and Effects)분석 기법이란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잠재적 고장 모드를 선별하고 이의 고장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여 고장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기법이다. 최근 FMEA기법이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각 분야별로 그에 알맞게 특화된 FMEA기법이 제안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방산 분야의 MIL-1629a, 자동차 분야의 SAE-J1739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의 많은 산업분야에서도 특화된 FMEA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철도 산업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특화된 FMEA규격은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SAE-J1739,MIL-1629a, IEC-60812의 규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철도 시스템에 특화된 FMEA규격을 제안하였다.

  • PDF

철도차량의 고장모드 영향분석(FMEA) (A Study on FMEA for Railway Vehicle)

  • 박병노;주해진;이창환;임성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2-168
    • /
    • 2009
  •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is a failure analysis method for the system to identify the potential failure modes, and their effects and causes to reduce or mitigate the critical effects of the system. FMEA for railway was introduced with reliability of railway system, and this was used for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possible hazards qualitatively to meet the requirements in early stage of business. In general, the overall failure data of system could be managed from design stage by FMEA, and also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many predicted failures could be established by identification of failure modes and assement of failure effects by FMEA. Using these advantages of FMEA, the effectiveness of reliability improvement could be expected if FMEA is applied continuously in operation stage. It is essential that railway vehicles are maintained with high level of safety and reliability not to happen any failures in operation. This paper is proposed the proper FMEA for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s compared with existing FMEA.

  • PDF

회전익 항공기 착륙장치에 대한 퍼지 FMEA (Fuzzy FMEA for Rotorcraft Landing System)

  • 나성현;이광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51-758
    • /
    • 2021
  • 군수품은 품질 보증을 위해 개발과 양산단계에서 위험 식별을 수행해야 한다. 위험 식별은 부품, 구성품, 계통 등에 대한 고장 요소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양한 신뢰성 기법 중에서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을 이용하고 있다. FMEA는 위험 식별 중 고장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위험도(RPN)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FMEA는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가 같은 중요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단점을 가진다. 퍼지 FMEA는 FMEA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퍼지이론을 이용한 것이다. 퍼지 이론은 현상의 불확실한 상태를 표현해주는 방법으로, 정량적인 값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퍼지 FMEA는 회전익 항공기 착륙장치의 고장 모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적용되었다. 착륙장치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위해, 퍼지 규칙과 소속 함수를 구성하였다. 퍼지화 모델은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의 크리스프(crisp) 값을 이용하였고,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착륙장치에 대한 퍼지 FMEA 결과는 위험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할 수 있다. 퍼지 FMEA는 회전익 항공기의 품질 보증 활동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철도시스템 이상진단 및 예지정비를 위한 FMEA 분석 방안 연구 (A Study on FMEA Analysis Method for Fault Diagnosis and Predictive Maintenance of the Railway Systems)

  • 오왕석;김경화;김재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3-50
    • /
    • 2023
  • With the advent of industrialization, consumers and end-users demand more reliable products. Meeting these demands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involving tasks such as market information collection, planning, reliable raw material procurement, accurate reliability design, and prediction, including various reliability tests. Moreover, this encompasses aspects like reliability management during manufacturing, operational maintenance, and systematic failure information collection, interpretation, and feedback.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requires prioritizing it from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method to increase product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reanalyzed using the FMEA method and proposed an improved method. Domestic railways lack an accurate measurement method or system for maintenance, so maintenance decisions rely on the opinions of experienced personnel, based on their experience with past faults. However, the current selection method is flawed as it relies on human experience and memory capacity, which are limited and ineffective. Therefore, in this study, we further specify qualitative contents to systematically accumulate failure modes based on the Failure Modes Table and create a standardized form based on the Master FMEA form to newly systematize it.

군수품 정부품보활동계획에 FMEA 분석결과의 적용방안 및 적용결과의 고찰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MEA and it's Results for Hand Grenade in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Planning)

  • 이영우;권인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52-258
    • /
    • 2016
  • 군수품 품질보증을 위한 정부품보활동계획 수립의 기반이 되는 위험식별(Risk Identification)은 품질보증활동의 근간이 되는 업무로서, 위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반영하는 활동이다. 그러나, 현재의 위험도평가 방법은 규격서 등에 명시된 제품에 대한 기능요구조건을 위주로 작성함에 따라 제조프로세스 측면에서의 위험식별 및 반영이 부족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품보원의 개인적인 판단 즉 과거 경험, 노하우 등 정성적인 판단으로 결정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위험식별의 객관성과 전문성의 보완을 위해 정량적인 자료에 의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FMEA 결과를 위험식별의 결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FMEA는 현 제조공정을 기준으로 잠재적 고장형태를 분석하고 고장에 대한 영향 분석을 수행하므로 FMEA의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위험식별을 하게 되면, 더욱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정부품보활동 계획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양산단계 위험식별 업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세열수류탄에 대한 FMEA 수행내용과 이를 토대로 군수품 품보활동계획수립에 대한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작성 목적이 있다.

Fuzzy-FMEA를 이용한 동적위치제어 시스템의 고장유형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ing for Failure Modes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Using Fuzzy-FMEA)

  • 백경동;김성신;천성표;서흥원;이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15
  •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위험성과 신뢰성 평가에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를 적용하고 있으나, 해양 프로젝트가 가진 특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1)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고장 데이터의 일부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단순한 센서고장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완전하고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FMEA의 세 가지 변수인 심각도(Severity), 발생빈도(Occurrence), 검출빈도(Detection)의 평가는 전문가 지식에 근거한다. 2)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할 경우 위험 요소들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3) 위험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고려되지 않아 위험우선순위가 명료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4) 서로 다른 고장모드에 대해 동일한 위험 우선순위 값을 가질 경우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FMEA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Fuzzy-FMEA를 제안하고, 선박/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FMEA 문서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DP FMEA, DP FMEA 입증 시험서(DP FMEA Proving Trials)에 나타낸 전문가 지식을 퍼지 모델로 구현하여 FMEA 위험우선순위(RPN; Risk Priority Number)에 위험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포함시켰다. 제안한 방법은 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기계 및 전장 장비에 적용하여 기존의 FMEA와 비교하였다.

FMEA에 의한 기계 부품의 신뢰도 분석

  • 이상진;고장주;강창학;이치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1
    • /
    • 2004
  • This paper dealt with FMEA, Which is a method of the analysis to secure safety and confidence coming up to customer's expec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corporation, the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by using FMEA, We showed the example analyzed the confidence of the reduction gear. It was proved by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at the rate of the breakdown which is usually regarded as the first important point to reform can't satisfy the selecting basis to improve. Also the result said that it is not right to depend on only the rate of the failure in making the list of the refor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reakdown, FMEA can present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reform to improve the confidence of the system. In this study would show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roduct the goods guaranteed confidence through the method of FMEA.

  • PDF

상호작용기반 FMEA 실행 (FMEA for Interaction Failures)

  • 이득중;장중순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37
    • /
    • 2017
  •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procedure that may infer and identify interaction failures in a module. Methods: In design FMEA, we defined an interaction model between components and proposed a method for selecting a single component by using the standard specification classification table and four methods for choosing the related components. We also introduced the function tree for function and requirement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posed utilization of standard stress lists and 1st and 2nd stress analysis tables to determine the effect the stress analysis has on interactions. Finally, the interaction mechanism diagram was proposed and used to infer the failure mechanism. Process FMEA also established procedures in a similar way. Results: We established a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failure mode due to interaction between components based on Company A's multi-step FMEA procedure. Conclusion: By applying the proposed interaction FMEA procedure to the development model,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new derivation on the failure mode of interaction, which was not predicted by the existing FMEA.

FMEA 기반 우편 기계 유지 보수 방법 (Maintenance Method of Mail Sorting Machine Based on FMEA)

  • 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01-160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FMEA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기법을 적용한 우편기계 유지보수 방법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우편기계 모듈 및 부품에 대해 고장 유형을 정의하고, 고장 유형별 시스템에 주는 영향과 고장 빈도 및 검출도 등을 정의하여 고장 유형에 대한 시스템 위험도를 계산하여 그 값에 기반하여 점점 항목과 점검 주기를 조정하도록 하므로 시스템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고 시스템 가동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율적인 유지보수 방법이다. 실제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소형 통상 우편 구분 기계에 대해 제안된 방법의 적용 예를 보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향후 국내 우편기계 유지보수에 적용시 유지보수 용이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