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EA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44초

회전익 항공기 착륙장치에 대한 퍼지 FMEA (Fuzzy FMEA for Rotorcraft Landing System)

  • 나성현;이광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51-758
    • /
    • 2021
  • 군수품은 품질 보증을 위해 개발과 양산단계에서 위험 식별을 수행해야 한다. 위험 식별은 부품, 구성품, 계통 등에 대한 고장 요소를 분석하는 것으로, 다양한 신뢰성 기법 중에서 고장 모드 영향 분석(FMEA)을 이용하고 있다. FMEA는 위험 식별 중 고장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위험도(RPN)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FMEA는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가 같은 중요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단점을 가진다. 퍼지 FMEA는 FMEA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퍼지이론을 이용한 것이다. 퍼지 이론은 현상의 불확실한 상태를 표현해주는 방법으로, 정량적인 값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퍼지 FMEA는 회전익 항공기 착륙장치의 고장 모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적용되었다. 착륙장치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위해, 퍼지 규칙과 소속 함수를 구성하였다. 퍼지화 모델은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의 크리스프(crisp) 값을 이용하였고, 위험도를 도출하였다. 착륙장치에 대한 퍼지 FMEA 결과는 위험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할 수 있다. 퍼지 FMEA는 회전익 항공기의 품질 보증 활동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건설업에서의 시공FMEA적용 방안 연구 (Approach to Method of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or Construction Industry)

  • 김윤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1-274
    • /
    • 2002
  • 산업체에서 이미 보편화되어 온 FMEA기법의 목적은 발생가능성이 있는 하자형태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미칠 고장 발생 요인을 우선 순위별로 사전에 제거하도록 이행하는 예방조치의 한 수단이다. FMEA는 초기 단계(Design 개념 설정시)에서 작성하는 Design FMEA와 양산되기 전에 시기 적절하게 작성하는 Process FMEA의 두 종류가 있다. (설계기능이 없는 공급자에게는 Process FMEA만 해당) 본 연구에서는 Process FMEA를 건설업의 시공분야에 적용하여 품질향상의 신뢰성을 높이고 Life Cycle Analysis, Risk Analysis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기본자료(DATA)를 축적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모델 기반 결함 주입 기법을 이용한 Electronic Fuel Injection 전장 시스템 FMEA 사례연구 (Case Study of Electronic Fuel Injection Powertrain System FMEA Using Model-Based Fault Injection technique)

  • 김예주;나예원;이동민;김주영;나종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36-446
    • /
    • 2023
  • 안전 필수 분야의 전장 장비에서 다양한 고장요인 (고장모드)에 따른 고장 영향 분석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이 필수적이다. 이는 기기나 시스템의 잠재적인 결함들을 식별하고, 그로 인한 발생 가능한 위험을 평가하여 이를 방지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개선안을 수립한다. 그러나 최근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소프트웨어의 영향이 중요해지며 전통적인 FMEA 만을 설계 단계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은 모델기반설계기법을 기반으로한 Automatic FMEA 방식을 제안한다. 모델의 구조와 동작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FMEA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설계 초기 단계에서도 고장모드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사례연구로 차량 연료 제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Automatic FMEA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utomatic FMEA 분석도구의 성능을 입증하는 동시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철도차량의 고장모드 영향분석(FMEA) (A Study on FMEA for Railway Vehicle)

  • 박병노;주해진;이창환;임성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2-168
    • /
    • 2009
  •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is a failure analysis method for the system to identify the potential failure modes, and their effects and causes to reduce or mitigate the critical effects of the system. FMEA for railway was introduced with reliability of railway system, and this was used for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possible hazards qualitatively to meet the requirements in early stage of business. In general, the overall failure data of system could be managed from design stage by FMEA, and also the countermeasures to prevent many predicted failures could be established by identification of failure modes and assement of failure effects by FMEA. Using these advantages of FMEA, the effectiveness of reliability improvement could be expected if FMEA is applied continuously in operation stage. It is essential that railway vehicles are maintained with high level of safety and reliability not to happen any failures in operation. This paper is proposed the proper FMEA for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s compared with existing FMEA.

  • PDF

철도시스템 FMECA 수행 절차 및 분석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FMECA Process and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ailroad System)

  • 박권식;김태웅;정현용;박준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61
    • /
    • 2006
  • FMEA(Failure Mode and Effects)분석 기법이란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잠재적 고장 모드를 선별하고 이의 고장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여 고장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기법이다. 최근 FMEA기법이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각 분야별로 그에 알맞게 특화된 FMEA기법이 제안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방산 분야의 MIL-1629a, 자동차 분야의 SAE-J1739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의 많은 산업분야에서도 특화된 FMEA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철도 산업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특화된 FMEA규격은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SAE-J1739,MIL-1629a, IEC-60812의 규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철도 시스템에 특화된 FMEA규격을 제안하였다.

  • PDF

Fuzzy-FMEA를 이용한 동적위치제어 시스템의 고장유형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ing for Failure Modes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Using Fuzzy-FMEA)

  • 백경동;김성신;천성표;서흥원;이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15
  •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위험성과 신뢰성 평가에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를 적용하고 있으나, 해양 프로젝트가 가진 특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1)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고장 데이터의 일부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단순한 센서고장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완전하고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FMEA의 세 가지 변수인 심각도(Severity), 발생빈도(Occurrence), 검출빈도(Detection)의 평가는 전문가 지식에 근거한다. 2)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할 경우 위험 요소들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3) 위험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고려되지 않아 위험우선순위가 명료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4) 서로 다른 고장모드에 대해 동일한 위험 우선순위 값을 가질 경우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FMEA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Fuzzy-FMEA를 제안하고, 선박/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FMEA 문서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DP FMEA, DP FMEA 입증 시험서(DP FMEA Proving Trials)에 나타낸 전문가 지식을 퍼지 모델로 구현하여 FMEA 위험우선순위(RPN; Risk Priority Number)에 위험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포함시켰다. 제안한 방법은 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기계 및 전장 장비에 적용하여 기존의 FMEA와 비교하였다.

Development of Energy-FMEA for Energy Review of ISO 50001 Energy Management System

  • Song, Kyung-Il;Jang, Joong-Soon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7-146
    • /
    • 2014
  • This paper is to develop Energy-FMEA for Energy Review of ISO 50001 Energy Management System. Energy Review is the core requirement of ISO 50001. This study develop Energy-FMEA and suggest Energy Review Inventory and Assessment Criteria for performing Energy-FMEA. Also, it shows case study to verify whether to proper.

상호작용기반 FMEA 실행 (FMEA for Interaction Failures)

  • 이득중;장중순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37
    • /
    • 2017
  •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procedure that may infer and identify interaction failures in a module. Methods: In design FMEA, we defined an interaction model between components and proposed a method for selecting a single component by using the standard specification classification table and four methods for choosing the related components. We also introduced the function tree for function and requirement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posed utilization of standard stress lists and 1st and 2nd stress analysis tables to determine the effect the stress analysis has on interactions. Finally, the interaction mechanism diagram was proposed and used to infer the failure mechanism. Process FMEA also established procedures in a similar way. Results: We established a procedure for predicting the failure mode due to interaction between components based on Company A's multi-step FMEA procedure. Conclusion: By applying the proposed interaction FMEA procedure to the development model,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new derivation on the failure mode of interaction, which was not predicted by the existing FMEA.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wii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Applying FMEA to Evaluate the Safety of Tangible Game - Focusing on Wii Accident Cases -)

  • 김우리;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35
    • /
    • 2010
  • 본 논문은 제품의 고장모드를 예측하고 제거하는 FMEA를 체감형게임의 안전성 평가척도에 적용함으로써 체감형게임의 사용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문이다. 체감형게임이 제공하는 작동화된 인터랙션이라는 특징 때문에 사용자들은 예상치 못한 사고들을 겪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Wii 사고사례들 중 게임기기와 신체상해부위의 두 가지 분류 내의 위험요인(고장모드)들을 FMEA를 사용해 우선순위를 매겨보았다. 그 결과 게임기기에서는 TV가, 신체상해 부위에서는 손열상 및 타박상이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안정성 평가 순위를 제공하고, 상이한 체감형게임 기기들 간의 일관성 있는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Development of 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Based Risk Assessment Tool for Information Security

  • Lai, Lotto Kim Hung;Chin, Kwai Sang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87-100
    • /
    • 2014
  • Risk management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element i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while the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widely used in risk analysis in manufacturing industry.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 work of the Information Security FMEA Circle (InfoSec FMEA Circle) which is used to support the risk management framework by modifying traditional FMEA methodologi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foSec FMEA Circle for the purposes of assessing information security, a case study at Hong Kong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Corporation (HKSTP) is employed. The "InfoSec FMEA Circle" is found to be an effec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at h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roviding a stepwise risk management implementation model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