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ISTIC STUD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7초

원주지역 산지초지의 연간 생초수량과 버려진 초지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Annual Flesh Weight Yield of Oversowing Grassland and Vegetation Succession of Abandoned Grassland in Wonju area)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7-26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present situiatioq of oversowing grassland yield and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ondoned since 6 years passed grassland in Wonju. The highest annual h s h weight yield was 28ton/ ha and the lowest was I lton/ha and the grass rate of investigated oversowing grasslands were range from 19.5% to 9lS%. The soil properties of abandoned oversowing grassland, such as soil pH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pota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5.7, 3.88%, 3lppm, O.lme1100g 4.9meI 100g and 2.3me/100g, respectively.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abandoned grassland were composed 26 species of vascular plants.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 of grassland wer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56.32%). Artemisia feddei(48.62%) and Dactylis glomerata(43.85%).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Forest in Daegu, Southeastern Korea

  • Cho, Hyun-Je;Bae, Kwa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05-211
    • /
    • 2001
  •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ate forest, natural monument no. 1, were investigated in the Daegu city, southeastern Korea. Vegetation stratification have four layers including tree (>5m), subtree (2m-5m), shrub (1m-2m) and herbs (<1m), which occupied 63.8%, 10.7%, 12.1% and 49.4%, respectively.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Artemisia keiskeana - Quercus variabilis and Pyrrosia linearifolia-Thuja orientalis (OAV) communities. Frequency distribution for diameter classes of the Oriental Arbor-vitae population showed a reverse-J shap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OAV forest of this site might maintains continuously the present state. The annual radial growth of OAV,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present site showed 0.29, 1.01 and 1.28 mm/year, respectively. Competition of OAV with theh other species including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could influence negatively on the growthand survival of OAV forest in this site.

  • PDF

Taxonomic notes on Leycesteria Wall. (Caprifoliaceae): a newly recorded genus for the flora of Vietnam

  • Quang, Bui Hong;Choudhary, Ritesh Kumar;Lee, Joongku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335-340
    • /
    • 2019
  • Two species of Leycesteria, L. gracilis (Kurz) Airy Shaw and L. formosa Wall. (Caprifoliaceae), from the Lao Cai and Yen Bai Provinces are reported here as a new generic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During floristic surveys of northern Vietnam, L. gracilis and L. Formosa were encountered. A critical morphological study of all the collected specimens and the type of materials consulting the relevant literature led us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collected specimens as L. gracilis and L. formosa. The genus differs from other Vietnamese genera of Caprifoliaceae by the presence of a spike inflorescence or flowers in sessile whorls of 6. Taxonomic notes, description, and photographs are provided, together with short notes on the distribution, ecology and phenology of the two species.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Munsusan, Bonghwa

  • Lee, Hye Jeong;Byeon, Jun Gi;Heo, Tae Im;Kim, Ji Dong;Park, Byeong Joo;Lee, Dong Hyuk;Lee, Jun W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33-660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fulness of Mt. Munsusan (1,205 m) in Bonghwa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investigated in 2 years (2019 ~ 2020) with 15 times consisted a total of 571 taxa; 94 families, 310 genera, 496 species, 4 subspecies, 63 varieties and 8 formas. For the Korean endemic plants, 17 taxa were recorded and 3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9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Furthermore, IV, III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8 taxa and 27 taxa, respectively. Among them, edible, medicinal, ornamental, feed/composting, industrial plants were 391 taxa, 359 taxa, 301 taxa, 241 taxa, 217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Sphacelariales, Phaeophyceae): a new record of crustose brown alga from Korea

  • Antony Otinga Oteng'o;Tae Oh Cho;Boo Yeon Won
    • 환경생물
    • /
    • 제42권2호
    • /
    • pp.187-192
    • /
    • 2024
  •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is a crustose brown algal species in the family Lithodermataceae and order Sphacelariales. This species is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across the world including, Europe, Western Atlantic, Middle East and Asia (Hong Kong and Japan). Recent floristic surveys along the Korean coastal shores have revealed new records of encrusting brown algae. In this study, we report P. subextensum as a new record from Korea. Morpho-anatomical and molecular studies on Ralfsia-like specimens from Korea identified some of them as P. subextensum. Pseudolithoderma subextensum is characterized by dark chestnut brown crust with a hypothallial basal layer and erect perithallial filaments, tufts of hairs occasionally arising from the basal layer, several discoid shaped chloroplasts per cell, plurangia arising terminally on erect filaments and without sterile cells, and unangia arising terminally on erect filaments, elongated cylindrical and without paraphyses.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COI-5P (545bp) reveal that P. subextensum are nested within Lithodermataceae and forms the same clade with P. roscoffense. The genetic divergences for COI-5P between them is 24.5%.

우리나라 남해안지역(南海岸地域)에 있어서 해송림(林)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y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 on the Southern Seacoast of Korea)

  • 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83-91
    • /
    • 1988
  • 우리나라 남해안(南海岸)의 각지역(各地域)에 분포(分布)되고 있는 해송림(林)의 적절(適切)한 조림방법(造林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얻고자 임내(林內)의 식생조성(植生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상층목(上層木)의 해송에 대(對)한 평균밀도(平均密度), 평균(平均)거리, 평균지적(平均地積) 등(等)은 조사지간(調査地間)에 차이(差異)가 적게 보였다. 하층(下層)에 있어서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는 해송의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14-98%,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의 범위(範囲)로서 낮은 값을 보였다.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에서 출현(出現)된 종수(種數)는 26종(種),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종(種)으로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많았다. 다양도지수(多樣度指數)도 남해안(南海岸)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보다 높았으며 최대다양도(最大多樣度), 균재도(均在度)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서부구내(西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 높았으며 동부구내(東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는 낮은 경향(傾向)이었고 서부구(西部區)와 동부구간(東部區間)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세걸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geolsan in Korea)

  • 김윤영;나누리;송혜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127
    • /
    • 2016
  • 지리산 국립공원에 포함되는 세걸산(1,261 m) 및 공안리, 산덕리 일대의 식물상을 2014년도 4월부터 9월까지 총 12일에 걸쳐 조사하였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108과 376속 584종 5아종 73변종 16품종으로 총 67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 노각나무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숙은촛대승마, 금꿩의다리, 삼도하수오, 금오족도리풀은 지리산 일대가 남방한계선인 것으로 추정되며, 지리대사초는 지리산 일대가 분포의 주요지역으로 파악됨에 따라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자원식물은 총 633분류군, 민속식물은 359 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확인되어 귀화율(9.0%) 및 도시화지수(17.4%)가 높게 산출되었다.

한반도 습지(영월, 강원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the Hanbando wetland(Yeongwol-gun, Gangwon-do))

  • 안성모;박유정;강하람;이하림;김경아;유기억;천경식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169-183
    • /
    • 2021
  • 본 연구는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하는 한반도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내륙습지 생태계의 식물 자원 관리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3과 309속 456종 10아종 37변종 5품종 등 총 508분류군이었다. 이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II급에 해당하는 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8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3분류군, IV등급에 10분류군, III등급에 15분류군, II등급에 17분류군 그리고 I등급에 26분류군으로 총 7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의한 귀화율은 11.2%, 도시화지수는 17.8%로 산출되었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람사르습지에 등재되어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한반도 습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생물다양성 특정지역 풍혈지(정선군 여탄리)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Algific Talus Slope (Yeotan-ri, Jeongseon-gun) in a Specific Area of Forest Biodiversity)

  • 이종원;윤호근;황태영;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17-345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 생물다양성 특정 지역인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여탄리 풍혈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식물 등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풍혈 바람구멍을 기분으로 풍혈의 내부 625 m2와 외부 6,925 m2를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총7,550 m2를 조사지역으로 설정하였고,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총9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여탄리 풍혈의 관속식물은 84과 203속 296종 6아종 27변종 2품종 총3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724종의 약 7%로 나타났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버들개회나무 등 19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등급(CR)은 산작약 1분류군, 위기등급(EN)은 산개나리와 복사앵도나무 2분류군, 취약등급(VU)은 세잎승마와 백작약 2분류군, 약관심등급(LC)은 등칡 등 4분류군 등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7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V등급은 산작약과 갈퀴아재비 2분류군, IV등급은 도깨비부채 등 14분류군, III등급은 눈개승마 등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석회암지대 식물은 참골담초 등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서양민들레 등 2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 6.04%와 도시화율 5.33%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인 정선 여탄리 풍혈의 식물지리학적 특정식물은 버들개회나무와 꽃개회나무 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Boraebong)

  • 김지은;김영수;이정심;장주은;정현진;김알렉세이;한상국;길희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61
    • /
    • 2024
  • 식물상 연구는 종 다양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변화를 평가 및 예측하고 한반도의 기후환경 및 생물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다. 보래봉은 보존 가치가 있는 식물자원을 보유하나 등산로와 임도를 통한 인위적인 간섭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 및 사진자료에 기초하여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을 보고하고, 보래봉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침입 외래식물 유입 방지에 활용하고자 한다.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조사한 결과, 87과 269속 401종 13아종 35변종 6품종으로 총 45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적색목록은 총 4분류군(EN 2분류군, NT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1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2분류군(V 등급 1분류군, IV 등급 16분류군, III 등급 31분류군, II 등급 31분류군, I등급 23분류군)이 나타났다. 게다가 보래봉에서 외래식물 1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 2분류군, 자원식물은 43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선행 연구와의 비교 결과, 38과 76속 86종 1아종 8변종 3품종 총 98분류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