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DWAV 모형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utomatic Calibration of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s of the FLDWAV Model (FLDWAV 모형의 가변 조도계수 자동추정에 관한 연구)

  • Kim, Jin-Soo;Jun, Kyung-Soo;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14-318
    • /
    • 2005
  • 잠실 및 신곡 수중보의 영향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된 FLDWAV 모형을 한강 하류부의 하천구간에 적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FLDWAV 모형에 포함된 자동추정 기법을 적용하여 부분 선형함수 가변 조도계수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팔당대교부터 전류까지의 하천구간을 3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유량 등급별 조도계수의 초기 가정치를 변화시켜 가며 각 경우에 대하여 홍수사상별로 매개변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최소유량(영) 등급 및 최대유량 등급에 대한 조도계수 추정치들은 초기 가정 값에 민감하여 초기치가 최종 추정치로 종료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홍수사상에 대하여 추정 매개변수를 사용한 계산수위와 관측수위의 편차 합은 영에 근접하나, RMS 오차는 다양한 값들을 나타내었다. 양의 오차들과 음의 오차들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편차가 영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이는 편차 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만족시키는 최적해가 유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Optimization for Roughness Coefficient of River in Korea - Review of Application and Han River Project Water Elevation - (실측 자료를 이용한 국내하천의 조도계수 산정 -적용성 및 한강의 계획홍수위 검토-)

  • Kim, Jooyoung;Lee, Jong-Kyu;Ahn, Jong-Se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B
    • /
    • pp.571-578
    • /
    • 2010
  •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were reevaluated for the computation of river flow of the Han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Geum River. The roughness coefficients were estimated by two methods. On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oughness is primarily a function of grain diameter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findings that roughness may vary significantly with the flow discharge. The roughness coefficients adopted in each river improvement master plan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FLDWAV in this study, and their applicabilities have been reviewed, using the FLDWAV and HEC-RAS models. The design flood water levels computed by the abovementioned models with the roughness coefficients proposed in this study have show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of time variation. The roughness coefficients computed using the FLDWAV model showed nearly no close correlation with the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grain size and river depth, etc.. Finally the design flood water levels and levee safety about the downstream part from the Paldang Dam of the Han River has been reviewed using HEC-2 model with roughness coefficient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parts of the existing levees were short of safety.

Modeling and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in Natural River (자연하천의 홍수범람 모의 및 가시화)

  • Goh, Tae-Jin;Jung,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157-164
    • /
    • 2008
  • A modeling and visualization system of flood inundation in natural river, FloodViz, has been developed. Unsteady river flow and flood inundation are calculated by FLDWAV model. FLDWAV model and HEC-RAS model have been applied to a flood event at the same time to check model reliability. Simulation results of the two models showed good agreements. Flood propagation and inundation process can be analyzed accurately and easily by using visualization function of the FloodViz. Even though FloodViz users don't know well about both hydraulics and hydrology, they can understand flood inundation phenomena easily. This system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 forecasting flood inundation and observing the simulation results. Countermeasures for natural disaster prevention due to flood inundation can be established rapidly by using the FloodViz.

Enhancement of FLDWAV Model for the Simulation of Flow at Submerged Weirs (수중보 흐름의 모의를 위한 FLDWAV 모형의 개선)

  • Jun, Kyung-Soo;Kim, Jin-So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09-313
    • /
    • 2005
  • 한강 하류부의 잠실 및 신곡 수중보가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도록 FLDWAV 모형을 수정, 개선하였다. 고정좌 측에서 발생하는 월류형 흐름에 대해서는 월류 유량 관계식을, 가동보 측에서의 하도형 흐름에 대해서는 Manning 형의 유량관계식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복합적인 형태의 수중보 흐름을 모의하도록 하였다. 월류 유량식으로는 수중 위어형 및 자유 월류형 흐름에 대한 식들이 적용 가능하며, 가동보 개방 시 또는 미개방 시의 흐름을 모두 모의할 수 있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중보 지점에서의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계산을 수행한 결과, 각 경우에 대한 배수효과가 잘 모의되었다. 평수시 흐름에 대한 모의 기능을 검사한 결과, 수중보의 존재로 인한 수위의 불연속성이 잘 모의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Hydraulic Flow Characteristics by Dam Release on the Nakdong River (댐방류량에 따른 낙동강수계 수리학적 흐름특성 분석)

  • Lee, Eul-Rae;Shin, Chul-Kyun;Kim,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01-17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일차원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인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에 대해서 댐하류유역의 하도망을 구성하여 모형을 수행함으로서 댐 방류에 따른 안동댐에서 하구둑까지의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구간은 안동댐${\sim}$하구둑까지의 본류구간과 임하댐직하${\sim}$반변천합류점, 합천댐직하${\sim}$황강합류점, 남강댐직하${\sim}$남강합류점까지의 단면을 적용하였으며,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나타난 실측하상단면자료를 FLDWAV모형에 적합하게 변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형은 1차원 부정류 해석모형으로서 단일하도 뿐만 아니라 지류와 연계된 하도망의 해석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모형에 의해 산정된 유량 및 수위의 값들은 당시의 실측값과 비교하여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정량적, 정성적인 부분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상구간의 전체하도에 대한 적용절차 및 분석기법 등을 참조하여 다른 수계로의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단면변환 및 경계조건 산정방법, 모형의 수행 및 결과 분석 과정 등이 댐방류 또는 지류의 유입을 고려한 합리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 Junctions Using FLDWAV Model (FLDWAV 모형을 이용한 하천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 연구)

  • Cho, Hyeon-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10 no.4
    • /
    • pp.275-283
    • /
    • 2007
  • This study aims at the calculation of a vari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of main channel for tributary inflow in river junction. So this study was analyzed the variation of flow depth and velocity in main channel for a change of inflow degree. For this purpose, FLDWAV model are carried out for variations of $30^{\circ}$, $60^{\circ}$ and $90^{\circ}$ tributary inflow at junction. Results show that velocity ratio(V1/V3) increases and flow depth ratio(H1/H3) decreases for discharge ratio(Q1/Q3) of upstream and downstream when degree increases in junction. And FLDWAV model was applied at a real river junctions. Selected area is a junction of Gumho river and Sin stream. Results show that pattern is similar to a virtual channel.

  • PDF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Hydraulic Channel Routing Model on the Nakdong River (I) Theory and Evaluation of Travel Time (낙동강 유역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 구축 및 적용 (I) 이론 및 도달시간 산정)

  • Lee, Eul Rae;Shin, Chul Kyun;Kim, Sang 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1
    • /
    • pp.73-82
    • /
    • 2006
  • In this study, the hydraulic channel routing model is applied to analyze water surface elevation pattern on the Nakdong river in flood cases. The procedure to apply FLDWAV model is presented to solve the Saint-Venant Equations by using four points implicit finite differential scheme. And the flood travel time is studied for reasonable dam management. As this results, variable assumption and constraint are followed to evaluate flood travelling time by hydraulic model. A guideline of reasonable dam's decision making considering downstream effect is showed by this constructed model, and scientific hydraulic analysis is possible by it.

  • PDF

Optimal Reservoir Operation Systems During Flood Season Considering the Downstream Effects (홍수기 저수지의 최적연계운영)

  • Han, Kun-Yeun;Kim, Keuk-Soo;Cho, Wan-Hee;Yoo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08-17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 안동댐과 임하댐의 홍수시 연계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안동댐과 임하댐의 하류부인 안동시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HEC-5모형을 이용한 모의기법을 통해 해석을 실시하였다. 모의운영을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FLDWAV모형에 적용하여 댐하류부의 홍수추적을 실시하였다. 홍수시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계운영을 위해 안동댐과 임하댐에 대해서 각각 100년 빈도조건, 200년 빈도조건, PMF 조건, 200년 빈도와 PMF가 조합된 조건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류지 모의기법을 적용한 모의운영을 위해서 안동댐의 경우 안동댐 치수능력 증대사업 기본 계획보고서에서 제시된 일정률-일정량 방식의 댐 운영률을 이용하였고, 임하댐의 경우는 임하댐 치수능력 보고서에 제시된 일정률-일정량 방식을 적용하였다. 하류부 하천 제방의 여유고를 확보하기 위해 안동댐 운영의 대안으로서는 기존의 일정률을 조정하여 100년 및 200년 빈도하에서 기존 3,800m3/s를 3,490m3/s으로 최대 방류량을 변경한 100년 빈도조건, 200년 빈도조건, PMF 조건, 200년 빈도와 PMF가 조합된 조건을 적용 분석하여 댐의 방류량을 결정하였다. 댐 하류부의 홍수추적을 위해서 안동댐 및 임하댐 하류부로부터 지보수위표 지점까지의 53.9 km 구간에 대해서 FLDWAV 모형을 적용한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댐 하류부에서의 시나리오별 홍수위를 산정하여 기존의 제방고와 비교함으로써 안동시 구간에서의 제방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ydraulic Flood Forecasting Model for the Lower Geum River (금강하류부 하도의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 개발)

  • Song, Jae-Hyun;Yoon, Kwang-Seok;Kim, Joo-Young;Yeo, Kyu-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51-755
    • /
    • 2007
  • 금강 홍수예보시스템의 유출모형은 이미 구축되어 있던 한강의 홍수예보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저류함수법과 단위도법에 의한 홍수 유출 모형을 근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수시 금강하구둑으로 인한 홍수시 하류부의 조위 또는 하구둑의 내수위 변화가 상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현재 운영되고 있는 홍수예보 시스템의 저류 함수모형으로는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류부의 조위 변화에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의 홍수예측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문학적 상황으로 인하여 하구둑 저수지에 의한 배수 영향은 저류함수법에 의한 홍수예측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FLDWAV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으로 배수영향을 받는 홍수예보지점인 규암, 강경지점을 모의하였다. 이를 통해 근본적으로 수문학적 모형이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없애고, 수문학적 모형과 병용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홍수예보업무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