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FO 조건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ynamic Network Loading Method and Its Application (동적 네트워크 로딩 방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한상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01-110
    • /
    • 2002
  • This study first explains general features of traffic assignment models and network loading method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n it introduces a dynamic network loading method, which accounts far time variable additionally. First of all,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ome requirements for the dynamic network loading, such as causality, FIFO(First-In-First-Out) discipline, the flow propagation, and the flow conservation. The details of dynamic network loafing methods are explained in the form of algorithm, and numerical examples are shown in the test network by adopting deterministic queuing model for a link Performance function.

The Development of Predictive Multiclass Dynamic Traffic Assignment Model and Algorithm (예측적 다중계층 동적배분모형의 구축 및 알고리즘 개발)

  • Kang, Jin-Gu;Park, Jin-Hee;Lee, Young-Ihn;Won, Jai-Mu;Ryu, Si-K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123-137
    • /
    • 2004
  • The study on traffic assignment is actively being performed which reflect networks status using time. Its background is increasing social needs to use traffic assignment models in not only hardware area of road network plan but also software area of traffic management or control. In addition, multi-class traffic assignment model is receiving study in order to fill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traffic assignment model. This model is made up of two, one of which is multi-driver class and the other multi-vehicle class. The latter is the more realistic because it can be combined with dynamic model.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build multidynamic model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two areas. This has been a theoretic pillar of ITS in which dynamic user equilibrium assignment model is now made an issue, therefore more realistic dynamic model is expected to be built by combining it with multi-class model. In case of multi-vehicle, FIFO would be violated which is necessary to build the dynamic assignment model. This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build multi-vehicle dynamic model with the existing dynamic assignment modelling method built under the conditions of FIFO. This study builds dynamic network model which could relieve the FIFO conditions. At the same time, simulation method, one of the existing network loading method, is modified to be applied to this study. Also, as a solution(algorithm) area, time dependent shortest path algorithm which has been modified from existing shortest path algorithm and the existing MSA modified algorithm are built. The convergence of the algorithm is examined which is built by calculating dynamic user equilibrium solution adopting the model and algorithm and grid network.

Path-based Dynamic User Equilibrium Assignment Model using Simulation Loading Method (시뮬레이션 부하기법을 이용한 경로기반 동적통행배정모형의 개발)

  • 김현명;임용택;백승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101-113
    • /
    • 2001
  • Since late 1970s. one of the principal research areas in transportation problem is dynamic traffic assignment (DTA). Although many models have been developed regarding DTA, yet they have some limits of describing real traffic patterns. This reason comes from the fact that DTA model has the time varying constraints such as state equation, flow propagation constraint, first in first out(FIFO) rule and queuing evolution. Thus, DTA model should be designed to satisfy these constraints as well as dynamic route choice condition, dynamic user equilibrium. In this respect, link-based DTA models have difficulty in satisfying such constraints because they have to satisfy the constraints for each link, while path-based DTA models may easily satisfy them. In this paper we develop a path-based DTA model. The model includes point queue theory to describe the queue evolution and simulation loading method for depicting traffic patterns in more detail. From a numerical test, the model shows promising results.

  • PDF

The effects of MMH task conditions on muscle activity and fatigue of the trunk musculature (MMH 작업조건에 따른 몸통부위 근육군의 활동변화에 관한 연구)

  • 이욱기;김상호;정민근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223-235
    • /
    • 1993
  • 요통(Lowback Pain)을 유발하는 주요원인으로 알려져있는 MMH(Manual Materials Handling) 작업에 있어서 작업조건의 변화가 근육의 활동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4가지 서로 다른 작업조건하에서 몸통부위(Trunk)의 주요근육에 대한 EMG 파형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대항작업은 실제 작업조건과 유사하레 설계된 120분간의 단속적인 인양(Lifting)/하역(Lowering) 작업으로서 작업중량은 작업자의 MVIS(Maximum Voluntary Isometric Strength)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며, 매 10분 간격으로 EMG 측정이 이루어졌다. 작업물이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한 대칭형(Symmetric) 작업의 경우 배면부(Dorsal) 근육인 천극근(Erector Spinae)과 활배근(Latissimus Dorsi)이 활동근(Active Muscle)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중면(Medial Plane)을 중심으로 좌우측 근육이 동일한 근력을 발휘하였다. 작업물이 작업자의 한쪽 측면에 위치한 90도 비대칭형(Asymmetric) 작업의 경우 천극근과 활배근외에 작업물과 반대쪽 외사근(External Oblique)이 활동근으로 추가되었으며, 작업물과 반대쪽의 근육들이 더욱 큰 근력을 발휘하였다. 작업의 반복에 따른 근육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EMG 파형의 Spectral Analysis 결과, 비대칭형 작업시 작업물과 반대쪽의 천극근에서 작업시간의 경과에 따라 중위주파수(Median Power Frequency)가 저주 파수대로 천이(Lower Shift)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일정한 작업량이라도 작업중량을 줄이고 작업 빈도를 높여서 작업할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작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MVIS의 감소 현상은 작업빈도가 높고 비대칭형 작업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적인 기능으로 보여지는 것에 좁혀서 작업능력의 연령증가 변화에 대하여다원적 평가를 하는 것이 실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능중에서 수지교 치성과 연령증가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만약 연령증가 만으로 수지교치성을 평가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이 수지기민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다.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 PDF

New Low-Power and Small-Area Reed-Solomon Decoder (새로운 저전력 및 저면적 리드-솔로몬 복호기)

  • Baek, Jae-Hyun;SunWoo, Myung-H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5 no.6
    • /
    • pp.96-103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new low-power and small-area Reed-Solomon decoder. The proposed Reed-Solomon decoder using a novel simplified form of the modified Euclid's algorithm can support low-hardware complexity and low-Power consumption for Reed-Solomon decoding. The simplified modified Euclid's algorithm uses new initial conditions and polynomial computations to reduce hardware complexity, and thus, the implemented architecture consisting of 3r basic cells has the lowest hardware complexity compared with existing modified Euclid's and Berlekamp-Massey architectures. The Reed-Solomon decoder has been synthesized using the $0.18{\mu}m$ Samsung standard cell library and operates at 370MHz and its data rate supports up to 2.9Gbps. For the (255, 239, 8) RS code, the gate counts of the simplified modified Euclid's architecture and the whole decoder excluding FIFO memory are only 20,166 and 40,136, respectively. Therefore, the proposed decoder can reduce the total gate count at least 5%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CME decoder.

An Ergonomic Study on Carpal Tunnel Syndrome (손목관증후군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 김철홍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3-14
    • /
    • 1993
  • 손목관증후군(CTS)이란 장기간에 걸쳐 여러가지 의학적, 생리학적, 직업적 요인들에 기인 하여 발생하는 누적외상병(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의 대표적인 한 형태이다. 이 증 후근은 1960년에 국제노동기구(ILO)에 의해 직업병으로 인정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구미각국에 서는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작업손실시간및 산업재해보상으로 인한 경비손실에 중요한 요인의 하 나로 규정되어 이에 대한 예방책의 연구가 정부기관, 대학, 연구소, 그리고 산업체를 중심으로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인식및 예방책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직업적 요인을 중심으로 손목관증후군(CTS)의 발병가능성이 높은 직업 및 그 작업조건들을 고찰하고 이의 예방을 위한 연구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손목 관증후군에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하여 어떠한 직업들이 보다 높은 발병위험에 직면하고 있으며 어 떤 작업조건및 환경적 요인들이 손목관증후군(CTS)을 발병시킬수 있는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미국등의 대학및 연구소에서 여러가지 작업조건들을 통제한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이 증후군 의 발병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안전한 작업기준들을 검토하고 정부기관(NIOSH, OSHA)의 정책방향을 검토하였다. 세째, 미국의 연구소및 경영자문회사등에서 산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종합적인 누적외상병(CTD)의 예방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손목관증 후군(CTS)을 중심으로한 누적외상병의 현실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예방을 위한 연구방향및 방법과 정책적 대응방안등에 대하여 연구검토하였다.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기서 사용된 아이콘에 대해서만 타당한 것으로 이것을 모든 아이콘에 대해 일반화시키기는 어려우나 이후에 행해질 Icon-based User Interface 분야의 많은 연구들의 기초가 될 것이다. 더불어 아이콘과 관련된 많은 요인들(문화적 영향, 아이콘 색깔, 크기, 아이콘의 위치등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확인하고 각각의 기능을 분명히 했다.가 수월하게 하였고 메모리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smpl에 디버깅용 함수 및 설비(facility) 제어용 함수를 추가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who_server(), who_queue(), pop_Q(), push_Q(), pop_server(), push_server(), we(), wf(), printfct() 같은 함수들이다. 또한 동시에 발생되는 사건들의 순서를 조종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각의 사건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 우선 순위에 의하여 사건 리스트(even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