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GF271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복합 생약추출물의 식물성 에스트로겐 활성이 OVX rat에 미치는 골대사 변화 (Phytoestrogenic Effects of Combined Plant Extracts on the Change of Bone Metabolism of OVX Rats)

  • 김수남;이용순;서홍덕;이동근;김민섭;이성표;이권택;이재경;김재수;권명상;장판식;곽보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6-3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1년간의 임상연구 결과 폐경기 증상 개선효과와 골밀도 개선 효과가 관찰된 에스트로몬의 주요 성분인 복합 식물추출물인 FGF271의 식물성에스트로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난소를 절제한 rat 동물모델에서, FGF271과 에스트로몬을 비교 실험하였다. 시험군과 OVX 대조군간의 체중, 자궁, 신장, 및 간 무게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FGF271이나 에스트로몬이 이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FGF271을 투여한 군에서 혈청 osteocalcin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한편, FGF271과 에스트로몬 투여군에서 대퇴부 골밀도(Femoral Bone Mineral Density, FBMD)는 투여용량 73.5, 180, 440 mg/kg/ day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FGF271 투여군의 상대적 FBMD는 용량 의존적인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FGF271 기준으로 동량 투여시(73.5 mg/kg/day; G4와 G8, 180 mg/kg/day; G5와 G9) 비교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에스트로몬 투여군의 FBMD 증가가 에스트로몬의 주요성분인 백수오등 복합추출물인 FGF271만에 의해서 증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임상시험에서 폐경기 증후군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에스트로몬의 식물성에스트로겐 효과는 Cynanchum wilfordii(백수오), Phlomis umbrosa(속단), Angelica gigas(당귀) 복합추출물로 구성된 FGF271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유래 추출물(FGF271)의 여성호르몬 대체 효과 (Effect of Plant Extract [FGF271] on Estrogen Replacement)

  • 김재수;박준홍;조한성;박점석;홍억기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409-415
    • /
    • 2002
  • 폐경기 여성들에게 있어서 에스트로겐의 결핍현상은 골다공증, 동맥경화, 심장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고, 혈관 운동 불안정으로 인하여 일과성 열감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며, 치매의 위험이 있다. 또한, 안면홍조, 우울증, 무력감 등의 증상을 경험하는데, 식물성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으로서 위와 같은 폐경기 증후군을 치유 예방 관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동물성 혹은 화학적 에스트로겐 요법에서 우려되는 유방암 및 자궁암 등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씻어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안전하면서 각종 폐경기 증후군에 대처할 수 있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대체제 (Phytoesoogen)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가장 고전적인 효과인 생식기 조직의 재생효과를 확인하였고,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확인된 여성호르몬 대체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 FGF271이 추가의 연구를 통해 여성들이 인생의 1/3에 해당되는 폐경기를 즐겁고 안정된 삶으로 보낼 수 있도록 되기를 바란다.

PMS 〔post-/Premenopausal Syndrome〕 여성에 대한 대체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 (Effect and Safety of Replacement Therapy for PMS〔post-Premenopausal Syndrome〕)

  • 이득주;홍억기;김재수;조한성;한인권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83-87
    • /
    • 2004
  • 폐경 전후 여성에서의 갱년기 증상 등은 흔하게 발생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여성호르몬 대체 요법에 따른 유방암 및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로, 자연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자연 생약 추출물이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복합 자연 요법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시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기초적인 신체 특성과 혈중 호르몬 수치, 골대사지표, 그리고 혈중 지질은 차이가 없었다. 성장호르몬 수치로서 IGF-1 혈중농도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연구시점에 갱년기증상을 가지고 있었던 대상자중 실험군에서는 57.1%, 대조군에서는 16.7%에서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OR=6.67, 95% C.I.0.49-91.33), 연구 개시점에는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는 않았으나 연구 종료 시점에서 이전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실험군에서 58.3%, 대조군에서는 21.7%로서 실험군에서 개선된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OR=5.04, 95% C.I. 1.40-18.14). 치료 후 3개월에 시행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체질량지수, 혈압, 혈중, E2, FSH, Osteocalcin, Total cholesterol, LDL, HDL, TG 등은 연구개시점과 연구종료 시점 사이에서의 평균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골생성 지표인 혈중 ALKP는 시험제 투여 3개월 이후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여 1년 후 골밀도의 상승효과가 기대되었다(p<0.01). 혈중 중성지방 (TG)은 시험제 투여 1개월 후 대조군에서는 투여전 대비 26.9$\pm$62 (mg%) 증가하였고, 3개월 후 12.852 (mg%)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1개월후 -8.040 (mg%) 감소하였고, 3개월 후 -4.436 (mg%)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Student t-test). 시험제 3개월 치료 후 실험군의 체중,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05). 연구시점에 고혈압 상태였으나 시험 제 투여 3개월 후 정상혈압으로 판정 된 사람의 비율은 실험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았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Contraction Behavior of Collagen Gel and Fibroblats Activity in Dermal Equivalent Model

  • Yang, Eun-Kyung;Lee, Doo-Hoon;Park, Sue-Nie;Choe, Tae-Boo;Park, Jung-Keu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67-271
    • /
    • 1997
  • We developed a dermal equivalent (DE) which was engineered using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a matrix of collagen gel. The in vitro construction of the DE was accomplished by casting a porcine collagen type I solution plus concentrated medium with isolated and cultured fibroblasts. These constructs were attached to culture dishes or left floating in culture medium. Contraction of attached gels results in decreased gel thickness without a change in gel diameter, and contraction of floating gels results in decreased gel thickness and diameter. After contraction, there was no increase in cell number in floating gels, but cells in attached gels began to increase after about 4 days of the lag phase in cell growth curve. At this lag phase, addi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at a concentration of $0.1{\mu}$/ml promoted cell proliferation in the attached collagen gels, but no effect in floating g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thod of contraction had an influence o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organization, and this influenced not only cell growth but also fibroblast responsiveness to FGF. This suggests that attached collagen gel is more suitable as a dermal equivalent than the floating gel. And the final contracted area of attached gel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floating gel since floating gel is contracted in all directions but attached gel is contracted only vertically.

  • PDF

양수 세포를 이용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배양 (Human Amniotic Fluid Cells Support Expansion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 김희선;설혜원;안희진;오선경;구승엽;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61-271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rolonged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 SNUhES2) on human amniotic fluid cells (hAFC), which had been storaged after karyotyping. Method: The hAFC was prepared for feeder layer in the presence of Chang's medium and STO medium (90% DMEM, 10% FBS) at $37^{circ}C$ in a 5% $CO_2$ in air atmosphere. Prior to use as a feeder layer, hAFC was mitotically inactivated by mitomycin C. The hESCs on hAFC were passaged mechanically every seven days with ES culture medium (80% DMEM/F12, 20% SR, bFGF). Results: The hAFC feeder layer support the growth of undifferentiated state of SNUhES2 for at least 59 passages thus far. SNUhES2 colonies on hAFC feeder appeared slightly angular and flatter shape as compared with circular and thicker colonies observed with STO feeder layer and showed higher level with complete undifferentiation in seven days. Like hESC cultured on STO feeders, SNUhES2 grown on hAFC expressed normal karyotype, positive for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high telomerase activity, Oct-4, SSEA-3, SSEA-4, Tra-1-60 and Tra-1-81 and formed embryoid bodies (EBs). Conclusion: The hAFC supports undifferentiated growth of hESC. Therefore, these results may help to provide a clinically practicable method for expansion of hESC for cell therap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