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DD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77초

동축 선로에서의 초고속 근거리 전송을 위한 FEXT 제거기 (FEXT cancellation for high-speed local transmission over twisted pair wiring)

  • 우정수;강규민;임기홍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8C호
    • /
    • pp.782-791
    • /
    • 2002
  • 본 논문은 FEXT (far-end crosstalk) canceller에 관한 연구이다. Fiber to the curb (FTTC), very high speed digital subscriber와 같은 많은 동축선로 시스템에서 양방향 전송을 위해 frequency-division duplexing (FDD)를 사용한다. FDD 동축전송 시스템의 최고의 도달 거리는 하향채널보다는 높은 주파수에 위치한 상향 채널에 의해서 제한된다. 그런 FDD 송수신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높은 주파수에 있는 채널은 FEXT 제거를 적용하게 된다. 시스템을 배열과 그것은 blind startup 은 채널의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FEXT와 다른 잡음을 막기 위해 FEXT 제거기와 등화기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연구한다. 이상적 훈련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제안된 동축선로상에서 초기 수렴과 수렴된 후의 상태를 알아본다. 또한 FEXT 채널의 분석한 모델뿐만 아니라, 측정된 특성은 FEXT 제거기를 위해 필요한 기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또한 FEXT 제거기를 위한 메모리 수가 채널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제안된 시스템은 모든 독립적인 채널 상에서 동축 시스템에 대해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형광 Differential Display법에 의한 파리지옥풀 포충잎트랩 특이발현 유전자 탐색 (Molecular Cloning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First Trap Leaf of Dionaea muscipula by Fluorescent Differential Display)

  • 강권규;이근향;박진희;홍경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07-313
    • /
    • 2003
  • 파리지옥풀 first trap leaf에만 발현하는 유전자군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내배양 식물체와 포충능력을 가진 3년생 실생주을 이용하여 각각의 포충잎 (leaf base), 꽃조직 (flower tissue) 및 포충잎트랩 (first trap leaf)으로부터 분리한 RNA로 Fluorescent differential display (FDD)를 실시하였다. First trap leaf특이발현 유전자 15개를 scree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DNA들은 protease inhibitor (Pl), myo-inositol-1-phosphate synthase 및 lipocalin-type prostaglandin D syn-thase 유전자들과 매우 유사하였다. 또한 Northern blot분석 결과, 이들 유전자들이 first trap leaf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DD방법은 세포, 조직 및 기관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유전자들을 선발하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3GPP LTE FDD/TDD 듀얼 모드 하향링크 수신기에서 초기 셀 탐색을 위한 CP 검출 기반의 SSS 검출 기법 (A CP Detection Based SSS Detection Method for Initial Cell Search in 3GPP LTE FDD/TDD Dual Mode Downlink Receiver)

  • 김정인;장준희;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C호
    • /
    • pp.113-1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FDD/TDD (Frequency Division Duplex/Time Division Duplex) 듀얼 모드 하향 링크 수신기의 초기 셀 탐색을 위한 CP (Cyclic Prefix) 검출 기반의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SSS 검출은 CP 타입을 고려하여 두 번의 SSS 검출을 수행하는 블라인드 검출 구조의 coherent 검출 방식이 고려되나, coherent 검출 방식은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에서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속환경에서 채널 보상 오류로 인해 성능이 열화되며 이러한 채널 보상의 오류는 PSS와 SSS가 세 심볼 떨어져 있는 TDD 모드 프레임 구조에서 더욱 가중된다. 또한 블라인드 SSS 검출 방식은 연산량의 증가로 인해 구현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 이동체 환경에서 FDD 모드뿐만 아니라 TDD 모드에서도 안정적인 SSS 검출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SSS 검출 이전에 CP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블라인드 검출 구조보다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CP 타입 선 결정 검출 구조의 non-coherent SSS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제안된 SSS 검출 기법의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 3GPP LTE FDD/TDD 듀얼 모드 하향 링크 수신기에서 안정적인 검출 성능을 보장함을 입증하였다.

3GPP LTE FDD/TDD 듀얼 모드 하향 링크 수신기를 위한 개선된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 (An Enhanced Frequency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3GPP LTE FDD/TDD Dual Mode Downlink Receiver)

  • 심명준;장준희;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C호
    • /
    • pp.103-11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 TDD(Time Division Duplexing) 듀얼 모드 하향 링크 수신기를 위한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3GPP LTE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의 대략적 주파수 동기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한 상관 방식이 적용되며, 미세 주파수 동기는 OFDMA 심볼의 보호 구간(CP: Cyclic Prefix) 상관 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대략적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들은 페이딩 환경에서 상관 패턴의 열화와 잡음의 제곱으로 인한 SNR(Signal to Noise Ratio) 손실로 충분한 성능 이득을 얻지 못한다. 또한 주파수 분할을 통하여 양방향 송수신되는 FDD 모드와 달리 TDD 모드에서는 상향링크 구간과 하향링크 구간이 시분할로 전송되기 때문에 TDD 모드에서 기존 미세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신호 전력의 차이로 인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3GPP LTE FDD 모드뿐 아니라, TDD 모드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주파수 동기 알고리즘은 기존 방식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3GPP LTE FDD/TDD 듀얼 모드 하향 링크 수신기에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Flow Diverter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Unruptured Vertebral Artery Dissecting Aneurysm

  • Kim, Chang Hyeun;Lee, Chi Hyung;Kim, Young Ha;Sung, Soon Ki;Son, Dong Wuk;Lee, Sang Weon;Song, Geun 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6호
    • /
    • pp.891-900
    • /
    • 2021
  • Objective : Vertebral artery dissecting aneurysm (VADA) is a very rare subtype of intracranial aneurysms; when ruptured, it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several discussions and debates, the optimal treatment for VADA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the last 10 years, flow diverter devices (FDD) have emerged as a challenging and new treatment method, and variou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about their safety and effectivenes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ith the use of FDD in the treatment of unruptured VADA.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data of all patients with unruptured VADA treated with FDD between January 2018 and February 2021 at our hybrid operating room. Nine patients with unruptured VADA, deemed hemodynamically unstable, were treated with FDD. Among other parameters,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the procedure,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angiographic results,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 Successful FDD deployment was achieved in all cases, and the immediate follow-up angiography showed intra-aneurysmal contrast stasis with parent artery preservation. A temporary episode of facial numbness and palsy was noted in one patient; however, the symptoms had completely disappeared when followed up at the outpatient clinic 2 weeks after the procedure. The 3-6 months follow-up angiography (n=9) demonstrated complete/near-complete obliteration of the aneurysm in seven patients, and partial obliteration and segmental occlusion in one patient each. In the patient who achieved only partial obliteration, there was a sac 13 mm in size,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1-year follow-up angiography. In the patient with segmental occlusion, the cause could not be determined. The clinical outcome was modified Rankin Scale 0 in all patients. Conclusion : Our preliminary study using FDD to treat hemodynamically unstable unruptured VADA showed that FDD is safe and effective. Our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cases is small, and it is not a prospective study. However, we believe that the study contributes to evidence regard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FDD in the treatment of unruptured VADA.

OFDM/FDD 시스템에서 Target QoS 만족을 위한 다단계 적응전송 채널예측기법 (A Novel Two-step Channel Prediction Technique for Adaptive Transmission in OFDM/FDD System)

  • 허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8A호
    • /
    • pp.745-751
    • /
    • 2006
  • OFDM 시스템에 적응전송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 송신단은 사용자의 정확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여야 하지만, 고속의 이동성을 가지는 실외 환경의 경우, 실제 채널과 적응 전송시 고려하는 채널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널예측 기법을 적응전송방식에 적용하는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채널 예측 기법은 정해진 시간동안, 예를 들면 한 슬롯동안 채널의 변화가 없다는 가정에서 제안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은 한 슬롯 내에서 빠르게 변하는 채널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Packet Error Rate 성능 열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시변채널에서 적응전송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OFDM/FDD 시스템 기반 채널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채널 예측 기법은 한 슬롯 내에서 변하는 채널의 시변 특성을 고려하여 채널을 예측하는 특징을 가진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ITU-R Veh A 30km/h 채널에서 제안하는 채널 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적응 변조 및 코딩을 수행하는 OFDM/FDD 시스템은 기존의 일반적인 채널예측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스템 Throughput의 손실이 없이 Target PER 1%를 보장할 수 있다.

FDD 기반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 상에서의 낮은 복잡도의 스케줄링 기법 (A Low Complexity Scheduling of Uplink Multiuser MIMO/FDD System)

  • 조성윤;김요한;김동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0-4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FDD를 기반으로 한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을 가정하였다. 실제 시스템 구현을 고려한 전송 기법으로 안테나 선택 기법과 송신 빔포밍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두 가지 전송 기법에 대한 시스템 모델을 설명하고 각각의 전송 기법에 대하여 최대 전송률에 도달하는 동시에 낮은 복잡도를 나타내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스케줄러는 낮은 복잡도를 갖는 동시에 최대 전송률을 나타내는 Brute-force 스케줄러와 비교하여 성능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LTE-Advanced CA 기술 특징 및 진화 방향 (LTE-Advanced CA Features in 3GPP REL-12 and its Future)

  • 임수환;이상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9호
    • /
    • pp.497-507
    • /
    • 2014
  • 본 논문은 3GPP REL-12 에서 논의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의 표준 동향,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요구 사항 정의,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예측한 향후 기술 발전의 방향에 관한 것이다. 이는 REL-12에서 논의되는 상향 링크(Uplink, UL)에서의 2UL CA, 하향 링크(Downlink, DL)에서 3개의 반송파를 집성하는 3DL CA, TDD와 FDD를 결합하는 TDD-FDD CA 등이 포함되며, 또한 단말 RF 단에서 필요한 공존 이슈, 대역외 방사 이슈를 비롯한 여러 RF 요구사항을 분석 및 실험 결과들을 포함한다. 또한 CA 진화의 한 축인 비면허 대역과 LTE 운용 주파수 대역과의 반송파 집성기술인 LTE-U를 포함한 CA 진화 방향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다중 사용자를 위한 적응형 OFDM/FDD 시스템의 상향링크 정보 축소 방안 (A New Reduction Method of the Uplink Information for a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OFDM/FDD System)

  • 장일순;유병한;조경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2A호
    • /
    • pp.140-146
    • /
    • 2004
  • 본 논문은 다중사용자를 위한 OFDMA/FD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전송율로 전송하기위한 무선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감소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한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 채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인근 클러스터간의 무선 채널의 유사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채널 변화 수준(channel variation level)을 사용하며, 모든 클러스터에 대해서 하나의 MCS(Modulation & Coding Scheme)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은 하나의 셀 내에서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알고리즘의 피드백 정보와 유사한 오버헤드로 대역 효율 및 outage probability에서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